Mumford, M. D., & Gustafson, S. G. (1988). Creativity syndrome: Integration, application, and innov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03(1), 27-43.
저자
- Michael D. Mumford: Professor, School of Psychology,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 높은 수준 재능(high talent)의 개발과 측정에 초점 두고 연구. 현재 창의적 사고 기술의 구분과 측정, 역동적 조직 상황에서 리더의 높은 수행을 위한 기술, 기술 성장과 발달과 관계되는 직무 장소의 구조 점검, 직무 개발을 이해하기 위한 도구로서 생활사의 적용 가능성 등에 관심. [ou.edu]
- Sigrid B. Gustafson: University of Stockholm
논문성격: 이론 리뷰
연구목적
주요한 기여와 사소한 기여 기저에 있는 과정(process) 비교
주요한 기여와 사소한 기여의 과정에 관한 해석을 창의성에 관한 개인차 연구로 확장 및 해석
논문구성
- Definition Issues
- Age and Achievement
- Differential Processes
- Differential Attributes
- Developmental Consideration
- Environmental Considerations
- Conclusion
연구내용
1.주요한 기여와 사소한 기여
주요한 기여: 다양한 문제에 대한 새로운 아이디어나 생산적 적용을 반영
사소한 기여: 알려진 사실과 원리의 실용적이고 제한된 확장을 반영
2.나이와 성취(Age and Achievement)
주요한 기여와 사소한 기여에 관한 Lehamn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 주요한 기여는 청년기에 있었고, 사소한 기여와 관계망 생산성은 중년에 절정에 달함
- 주요한 기여는 청년기 말에 급격하게 떨어지지만, 사소한 기여는 60대 중반에 서서히 떨어짐
- 선천적 능력에 의존하는 영역에서 나이 곡선은 하향 곡선을 그리지만, 훈련과 인생 경험을 요하는 영역에서는 상향 곡선을 그림
- 이 발견은 제한된 문화 집단들과 역시 기간에서 안정적임
이러한 결과에 관해서 이전에는 다음과 같은 설명이 제안됨
1) 나이 감소(age decrements): 청년기 이후의 직업적 투자는 신체적 능력 감소(physical decrements)와 건강 악화에 의해서 제한된다고 주장. 이 주장은 40대 이후에 지적 감소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적 능력을 요하는 사소한 기여가 낮아지지 않는 현상은 설명하지 못함
2) 사회적 몰입(social commitments): 경쟁적 관리와 자녀 양육 책임으로 인해서 주요한 기여 감소한다고 주장, 그러나 청년기에도 경쟁적 과제를 수행하고 사소한 기여도 시간을 요하기 때문에 이 주장에 대한 의문 있음
3) 창의성 감소(declining creativity): 나이의 증가와 함께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 능력이 감소하기 때문이라고 주장. 이 주장은 창의성을 작업 가능한 해결책이라는 관점에서 볼 때 나이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는 점에 기초해 볼 때 적절하지 않음
4) 누적된 이점(cumulative advantage): 나이와 경험과 함께 개인적 경험, 사회적 접촉, 전문적 기대에 대한 지식의 증가가 전문적 인정과 생산성의 가능성 증가 시킨다고 주장. 이 주장은 중년기의 사소한 기여에 관해서 설명해 주지만 청년기의 주요한 기여 경향은 설명해 주지 못함
5) 경험/열정(experience/enthusiasm)
이에 대해서 본 논문의 저자는 다음과 같은 대안 설명을 제안
1) 이전 설명이 설명력이 약한 것은 이전 설명들이 한 연령대는 지니고 있고 다른 연령대는 지니고 있지 않은 면에 초점을 두었기 때문임, 청년기와 중년기에 직면하는 독특한 발달 과제에 초점을 맞춤으로 더 적절한 설명 가능
지지 연구: Rothenberg 등의 일련의 실험 연구는 둘 또는 그 이상의 범주를 병합하도록 자극하는 조건이 창의적 생산물을 촉진 시키는 것 발견. Owen(1969)의 조사연구에서 다양한 대안 범주를 찾고 사용하는 것이 창의적 산물과 관련 있다고 보고
2) 청년기에 통합, 재조직, 재구조화가 일어나는 이유: 청년들은 발달과정에서 필연적으로 중요한 과제들을 완수해야 함(예: 결혼, 직업 개발, 적절한 수입 획득 등) → 과제 완수 위에 외부 환경(특히 과제 완수의 핵심이 되는 직업 환경)의 객관적 자료에 민감하고 욕망과 능력을 그들이 속해 있는 환경의 잠재성과 기대에 맞춰야 함 → 이를 위해 범주를 재구조화하고 환경에 관해 고려할 때 객관적 정보에 기초해서 상호관계를 범주화 하는 것 요구 → 이러한 잦은 통합과 재구조화가 독특하고 더 효율적인 이해 창출
직업 성취와 관련된 통합 노력을 강화하는 청년기의 세 가지 특징: 직업 세계가 과제 완수에 있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기 때문에 청년들은 직업 영역에서 정보 탐색하고 구조 통합을 할 것 같음. 청년들의 넓은 사회의 효과성에 관한 노려는 직업적 문제 해결과 관련된 객관적 정보를 탐색하게 함. 개인의 경력 초기에는 경력 부족으로 인해서 직업적으로 관련된 범주가 적게 포함되어 있어서, 이것이 새로운 정보를 포함시키는 재통합 또는 재구조화를 받아들이게 해줌
3)중년기에 사소한 기여와 관계망 생산성이 절정인 이유
중년기에는 사회적 기술과 지적 기능이 잘 개발되어 있는 시기이기도 하지만 다가올 죽음과 이전에 이루지 못했던 목표에 관해서 고려하는 인생에 관해 재평가하는 시기임
재평가는 중년기 사람들로 하여금 현실적이고 획득 가능한 목표에 의해서 제공된 틀 내에서 자신의 인생의 남아 있는 부분을 통제하는데 초점을 맞추게 함. 이러한 사실은 중년기에 사소한 기여가 높은 것을 설명
또한 앞서 언급한 특질은 동기적 성향, 가용한 도구의 소유, 잘 발달된 지식 구조 등과 함께 기존의 패러다임 내에 있는 문제를 구분하고 풀도록 이끌어줌
잘 발달된 인지적 구조는 안정성, 이전에 사용하던 것, 자동성에 대한 추구에 의해서 재통합을 방해함
지지 증거: Taylor(1963)은 중년기에 개인이 기존의 이해에 초점을 맞추고 그것을 적용하면서 창의적 성취에 있어 아이디어 생성이 덜 중요하게 된다는 것 발견
3.과정 차이(Differential Process)
주요한 기여와 사소한 기여의 기저에 있는 과정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음
주요한 기여의 기저에는 인지 구조의 재조직과 통합이 있고, 사소한 기여의 기저에는 기존 구조의 확장이 있음
- 통합적 노력(주요한 기여)에 영향을 주는 특징: 대안적 이해의 개발과 발달, 기존의 이해와 일치하지 않는 요소 발견, 문제 해결을 위한 다양한 이해 적용, 이해한 범위 내에서 요소들 재조직화
- 기존 구조를 적용(사소한 기여)하는데 영향을 특징: 관련 이해에 풍부함 또는 포괄성 차이, 관련 정보를 구분하는 능력 차이, 기존에 이해한 범위 내에서 설명 될 수 있거나 설명 될 수 없는 문제에 대한 구분, 특정한 이해에 함의된 문제를 구분하는 차이
생산 과정
- 확산적 사고(divergent thinking): 문제에 대한 다양한 잠재적 대안을 생성하는 능력으로 개인의 능력은 문제 해결책을 내어 놓는 빈도, 융통성 및 독창성에 의해 평가됨
- 다양한 대안을 내어 놓는 능력(확산적 사고)는 통합의 근본적인 기초여서 주요한 기여를 할 확률을 증가시키나 사소한 기여는 항상 확산적 사고를 요하는 것은 아님
연상 과정
- 확산적 사고 능력과 함께 연상적 사고 능력이 창의적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고 고려됨
- 유추 또는 연합 능력은 문제 해결과 관련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정도만큼만 유용
- 상상과 은유를 사용하는 능력도 아이디어 생성과 관련 있는 것으로 보임
무의식적 과정
- 최근 무의식적 과정이 창의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제안됨
- 창의성은 무의식적 아이디어와 연상이 무의식으로 흘러가도록 허용함으로 무의식의 적응적 사용하는 것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사고 방향의 재설정과 통합의 기초 제공
- 무의식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억압된 재료(repressed)가 의식적 이해에 대한 재 개념화와 재구조화에 필요한 더 다양하고 복잡한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아이디어 생성에 기여하는 것을 의미
- Kaha(1983)은 창의적인 사람은 우선적으로 무의식이나 전의식(preconscious)적인 과정을 사용하고, 2단계로 합리적인 과정을 사용한다고 주장
- 지지연구: Domino(1982)는 창의적인 학생들이 다른 학생들에 비해서 더 꿈을 흔히 보고 그것들의 심리적 중요성을 믿음
4.특질 차이(Differential Attributes)
개인이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개발된 아이디어를 행동으로 옮기는데 실패하는 이유 중 하나가 특질임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특질
1) 어떤 특질은 지식 구조의 통합과 재조직화를 통해서 새로운 이해 창출을 촉진시키거나 더 포괄적인 이해를 발달 시킴
예: 지능, 미적 가치, 복잡성 선호, 모호성에 대한 인내, 폭넓은 관심, 성취에 관한 고려, 자율성, 자기 확신 등
이 특질들은 개인이 다양한 이해를 하게 하고,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때 다양한 이해를 사용하려는 의지를 높이고, 기존에 알고 있던 것과 다른 정보에 민감하게 하고, 갈등이 있는 사실이나 이해를 해결하려는 의지를 높임
2) 다른 특질은 아이디어를 행동으로 옮기는데 영향을 줌
예: 자율성, 독립성, 자기 확신, 넘치는 에너지, 일하려는 의지 등
이 특질들은 모든 분야에서 주요한 기여와 사소한 기여 둘 다를 실행하는데 핵심적인 특징으로 여겨짐
5.발달상의 고려(Developmental Considerations)
다양한 환경적 요인이 중심 특징의 발달과 과정 차이에 영향을 줌
초기 영향
1) 인지적 발달에 관해 선호하는 배경
예: 지적 가치를 조장하고 인지적 자극을 주는 가정 환경이 창의성과 관련 있음, 첫째가 환경 자극 많이 받아 창의적
교육 수준의 증가와 함께 이 효과 감소하나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함
2) 독립성과 자율성 개발
예: 창의적 과학자가 창의적이지 못한 과학자들보다 덜 엄하고 덜 구조화된 환경에서 자람, 확산적 사고 점수가 높은 아이들의 부모는 아이들의 행동에 대해서 덜 주의를 기울이고 통제 하려 하지 않는 반면에 독립적인 것과 개인적 표현을 고무함
Rejskind(1982)에 따르면 독립성과 창의성은 뒤집어 놓은 유(∩)형임
과제와 창의성 유형에 따라 적절한 자유 필요
3) 그 외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 개신교도들의 직업 윤리에 관한 강조, 기독교와 유대교의 종교적 중심 가치(예: 지식, 개인적 성취의 가치 강조), 직업에 관한 호기심과 지적 탐색을 하도록 돕는 것, 경험에 대한 개방성과 역할 취하기(role taking) 강조, 창의성을 고무하는 가정 환경 등
후기 영향
1) 직업 개발 초기의 멘토(mentors)의 능력: 창의성이 높은 사람은 직업적 훈련 기회를 찾고, 다른 창의성이 높은 개인에 의해서 선택됨
이 과정의 일부로 정확한 전문적 기준을 내재화(internalize)하고, 직업적 추구에 관한 자기 확신(self-confidence), 성취감, 유능감을 지각
멘토(mentors)들은 초보자에게 아이디어 생성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지지하고 고무
멘토링(mentoring) 경험과 인정된 창의적 관계의 수 간에 관계 있음
2) 요약: 초기 영향은 아이디어 개발과 실행과 관련된 핵심 특징들이 나타나게 하고, 이 경험은 이해를 구성하고 적용하는 능력에 영향을 줌, 그러나 이러한 초기 발달은 멘토링(mentoring)과 같은 후기 영향에 의해서 달라짐
문화적 영향
문화를 포함한 다양한 환경이 창의성 개발에 영향 줌
예: 정규 교육(전통적 관점 고수하기 전까지), 다양한 인지적 노출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를 고무하는 정칙적 분열 같은 사회적 조건
6.환경적 고려(Environmental Considerations)
분위기 조건(Climatic Conditions)
1) 창의성의 필요를 명확히 언급하거나 창의성에 보상을 제공하는 환경
예: 금전적 자극이 확산적 사고 강화, 창의적이어야 한다는 지시가 창의성 증진, 처벌적이지 않은 교실 분위기, 따뜻하고 지지적이고 유연하나 인지적 요구가 있는 환경, 창의적 노력에 대한 물질적 지지와 독립적 활동 고무, 상호작용과 개인적 자율성과 지식의 생산성을 고무하는 분위기 등
그러나 예견된 외적 보상은 창의성 감소(예견되지 않은 수행 보상은 감소 가져오지 않음)
혁신을 고무하는 환경은 아이디어 생성에 관한 인지적 기초를 제공하고, 그 아이디어의 실행을 위해 획득된 행동을 고무하는 환경임
평가 조건(Evaluative Conditions)
1) 평가와 인정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해와 잠재적 문제 해결에 관한 평가와 인정이 잠재적 사용자들에게 전달되어야 한다는 사실임
2) 평가와 인정의 결정 요소: 평가와 이해의 적용과 관련된 상대적 비용과 이익, 기존 사회 기술 체계와의 조화, 복잡성
3) 또한 평가는 시대 정신의 영향 받음
연구의 한계
발달 상의 고려 다음 부분부터는 주요한 기여와 사소한 기여를 나누어 설명하지 않음
실천적 함의
미래에 창의성을 예측하기 위해서 창의적 노력을 위한 인지, 정보, 정보 처리 과정 등 다차원을 중요성 고려할 필요 있음
창의적 노력에 관한 의미 있는 보상 필요
창의적 혁신의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자율성을 지지하고 자존감(self-esteem)을 지지하는 체계 필요
고무하고자 하는 창의성 유형에 따라 다른 분위기 필요
청년기와 중년기에 창의성 성취 위해 필요한 분위기 다름
주요한 기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청년들에게 투자할 필요 있음
연구의 가치
창의성이 다양한 인지적 특질과 개인 특질을 포함하는 현상이라는 것을 보임
주요한 기여가 청년기에 많고, 사소한 기여가 중년기에 절정을 이루는 것에 관한 설명 제공
키워드
창의성, 주요한 기여와 사소한 기여, 다변량적 접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