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Kanter, R. M. (1988). Three tiers for innovation research. Communication Research, 15(5), 509-523.

저자: Rosabeth Moss Kanter: Profess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Harvard University. [wikipedia]

연구목적

본 논문은 어떻게 조직 혁신에 관해서 연구 할 것인가에 관해서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논문구성

  • Tier 1: Comparing Apples and Lemons: Studies of Innovation Project
  • Tier 2: Engines of Progress: Innov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 Tier 3: “The Massachusetts Miracle”: Innovation and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 Toward the Future

연구내용

조직 혁신에 관한 연구를 가르칠 때 세 가지 수준으로 하는 것이 적합하다고 연구자는 생각, 이 세 수준에 관해서 다룬 후 미래 연구 방향에 관해서 논함

1.혁신적 프로젝트에 관한 연구(Tier 1: Comparing Apples and Lemons: Studies of Innovation Project)

조직 혁신에 관해서 연구 할 때 성공/실패에 관해서 비교 할 수 있음

그러나 성공/실패를 구분하기 힘들거나, 성공했다고 해도 혁신적이라고 말하기 어려울 때가 있는 등 여러 문제점을 지닐 수 있음

이에 본 저자는 성공/실패를 비교하지 않고, 혁신적인 정도(더 또는 덜)를 비교 하였음

이러한 비교를 사용한 연구 과정: 개인적 수준에서 성공적인 관리자들에게 지난 2년간의 성공적인 혁신 프로젝트 구분하도록 함, 독립적인 평가(independent judges)가 이 프로젝트들을 혁신 또는 일상적 노력으로 구분, 혁신과 일상적 노력에 관해서 비교

결과

1) 네 가지 혁신적 과제

  • 아이디어 생성과 혁신을 주도하는 사람의 활동,
  • 연합 형성(coalition building)과 아이디어를 실제로 옮기는데 필수적인 권력 인정,
  • 아이디어 구체화(idea realization)와 혁신적 생산,
  • 아이디어를 모델(사용 될 수 있는 생산물, 계획 또는 모범(prototype))로 바꾸는 것, 전환(모델을 보급하는 것, 생산품의 상용화, 아이디어의 적용 등)

2) 혁신 지표(innovation index) 점수가 높은 조직에 관한 연구 결과

융통성, 빠른 실행, 연합 형성, 경계간 연결 허용

통합적 구조, 다양성을 강조하는 문화, 조직 내외의 다양한 구조적 연결, 사람들의 재능에 관한 집합적 신념과 자부심, 팀워크 등

전략적인 제한 안에서 사람들이 하고 싶은 것을 할 수 있도록 허용, 외부 주요 자원과 잘 연결 되어 있고, 호의적인 조직 환경

2.조직 수준의 혁신(Tier 2: Engines of Progress: Innovation at the Organizational Level)

앞부분에서는 개인 혁신에 초점을 맞추어서 다루었으나 이 부분에서는 조직의 맥락이 분석의 단위로 사용됨

프로젝트 수준에서 혁신 점수가 높다는 것이 조직이 효과적임을 말하는 것은 아님(예: Chipco vs. GE medical), 그렇기 때문에 개별 프로젝트 수준이 아니라 조직 수준에서 연구할 필요 있음(즉, 혁신 프로젝트가 조직 변인들에 미치는 영향)

혁신 프로젝트와 그 프로젝트의 성공/실패는 그 후 진행되는 일련의 프로젝트에 대한 조직의 맥락을 바꿈

경험 효과(experience effect: 많은 혁신 경험 못한 집단보다 경험한 집단이 더 효과적인 혁신자임을 의미)를 일으키기도 하지만 거만 효과(arrogant effect: 효과적인 실행에 요구되는 단계를 무시하는 거만을 보이는 것)를 일으키기도 함

프로젝트 수준에서 발생된 효과는 조직 수준, 즉, 프로젝트들이 보여지는 맥락에서 이해 될 수 있음

조직이 혁신은 조직의 구조에 의해서 강화 될 수도 있고 제한을 받을 수도 있음, 그러한 점에서 혁신을 양산하거나 확산시키는 조직 구조에 관해서 연구할 필요 있음,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진행상의 엔진(engines of progress)”에 관한 연구 설계 필요.

조직 수준에서의 연구는 기업가 수단(entrepreneurial vehicles) 자체인 “어떻게 조직이 뉴스트림(newstream) 활동을 찾고, 양성하고, 사용하는지”를 중심으로 실시 하였음, 이 기업가 수준은 다음과 같은 차원으로 분류 될 수 있음

우선, 기업가 수단은 의도(목표) 차원에서 나눠 질 수 있음

1) 경제적(economic): 조직의 주류에 영향을 주는 여부와 관련 없이 새로운 수익을 만들어 내는 것, 뉴스트림(newstream)의 활동 의도는 수익에 관한 것, 이때 경영자는 뉴스트림 전략을 정하는데 포함되는 경향을 보임, 주류(mainstream)과 뉴스트림(newstream) 간의 잦은 분리 있음

2) 문화적(cultural): 새로운 활동의 경제적 이익의 정도와 관계 없이 조직의 주류에 어떻게 하면 더 혁신적일 수 있음을 보이는 것, 뉴스트림은 낮은 수준의 관리인이나 종업원으로부터 제안될 가능성이 높고, 뉴스트림과 주류(mainstream) 간의 가까운 연결이 유지됨

다음으로 기업가 수단은 전제에 따라 투자자(investor)와 발명자(inventor)로 나눠 질 수 있음

1) 투자지향(investment-oriented):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자원-생산(resource-production) 기계

새로운 아이디어를 추구하는데 자원을 공급하는 능력 포함

이 과정에는 잠재적 기업가를 고무하고, 상담하는 것, 지원에 도움이 될 사람을 선별하는 것, 자금을 지원하는 것, 선택된 아이디어를 지지할 추가 개발을 양성하는 것 등을 포함

이 아이디어는 회사 내-외부나 전통적인 연구나 기대하지 않은 발견 등으로부터 나올 수 있음

이러한 아이디어를 추구하는 사람은 발명자라기 보다는 투자자임

2) 창의성 지향(creativity-oriented): 자원을 추구하는 아이디어-생산(idea-production) 기계

이 단위(unit)는 다른 단위가 이용할 수 있도록 아이디어를 지속적으로 양성 함

이러한 기업가 수단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샘플이나 모범(prototype)을 가져와서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자원에 연결해 주는 역할을 함

3) 이 두 아이디어 유형 간의 차이는 집단이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자극이나 새로운 아이디어를 개발하는 기업가적 활동 중 어느 것을 자극하느냐의 여부임

4) 이 수단 중 전통적인 것이 있음

전통적 자원 생산 수단: 순수하게 재정과 관련

전통적 아이디어 생산 수단: 잠재적 상용화를 크게 고려하지 않고 기초 연구를 수행하는 고립된 연구

이 둘은 투자자-발명자 연속선의 양 극단에 있음

3.혁신과 기업 환경(Tier 3: “The Massachusetts Miracle”: Innovation and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혁신의 개발, 전달, 확산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수용적 정치, 경제, 사회 법적 환경이므로 가장 거시적임.

예: 노동 조직의 형태와 정부 정책과 규제

미국에서 혁신 확산이 상대적으로 느린 곳에서는 여러 노동 조합들이 경영자와 독립적으로 협상하는 것이 부분적으로 저조한 확산 비율을 설명

조직이 속해 있는 더 큰 환경(its large community)가 조직 내 혁신을 조장하거나 제한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연구자들이 조직이 속해 있는 더 큰 환경에 관해서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있음

본 논문의 저자는 Massachusetts에서의 사례로 기업환경에 관한 연구 소개

Massachusetts 사례

1) 연구 목적: 어떻게 Massachusetts 사업과 지역 환경이 상호작용해서 주(state)의 경제, 사회, 정치적 특징이 조직 내와 조직에 의해서 혁신에 영향을 주는지 탐색

2) 연구 질문: 어떤 맥락적 요소가 조직 혁신을 강화 하거나 방해 하는가? 어떻게 이런 요소들이 조직 혁신에 영향을 주는가? 어떻게 지역 환경이 혁신을 차이를 가져오는가?

3) 연구 방법: 우선, 생산이나 과정 혁신을 통해서 직업을 창출하는 회사를 구분하고, 인터뷰를 통해서 기업 혁신의 투입(input), 원천, 지역 환경과의 연결, 지역 환경의 평가 등을 수집

4) 결과

혁신에 관한 투입을 요할 때 지역 환경에서 더 새롭고 젊은 회사에 관한 의존성이 높아짐

혁신에 유리한 분야(fertile fields)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짐.

  1. 혁신 투자를 위한 자본 형성 수단의 가용성(availability)
  2. 혁신자(innovators)와 사용자 사이의 많은 의사소통과 가까운 근접성
  3. 고도의 기술을 지니고 있고, 전문적이고, 다국적의 노동 인력
  4. R&D 센터로부터 새로운 기술적 아이디어가 흘러 나옴
  5. 혁신을 고무하는 더 복잡하고 이질적인 환경
  6. 새롭고, 기업가적 회사들 간의 경쟁, 즉, 모험적 자본(venture capital)의 가용성으로부터 이득을 얻는 것
  7. 조직 간 상호의존성과 통합성
  8.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공식적인 고무

연구의 한계

본 연구는 다양한 연구자들의 연구를 종합적으로 리뷰 한 것이 아니고 본 연구의 저자가 수행한 연구들을 기초해서 기록한 것임으로 본 연구자의 편파적인 기술이 있을 수 있음

앞서 지적한 한계와 관련해서, 혁신 연구에서 사용하는 방법은 연구자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본 논문의 저자는 저자 자신이 사용한 방법 이외에 다른 방법은 제시 하고 있지 않음

실천적 함의

조직 혁신은 조직 내에서만 일어 날수도 있지만 다른 조직과의 관계나 환경적 영향에 의해서 발생 할 수 있음, 그렇기 때문에 연구자들이나 현장에서 일하는 사람들은 이에 관해서 고려할 필요가 있음

연구의 가치

혁신이나 창의성 연구를 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대상의 수준에 따라 제시

여러 연구자들의 결과들을 리뷰 한 것은 아니지만, 논문 저자가 수행한 연구를 구체적으로 나열 하는 것을 통해서 모범적 연구 방식 제안

키워드

창의성, 분석 수준별 접근, 환경적 영향, 연구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