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West, M. A. (2002). Sparkling fountains or stagnant ponds: An integrative model of creativity and innovation implementation in work group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1(3), 355-387. 원문보기

저자: Michael A. West: Aston Business School, University of Aston, and Center for Economic Performance, London School of Economics. [lancaster.ac.uk]

논문성격: 이론 연구

연구목적

창의성과 혁신 과정을 통합한 모델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논문구성

  • Introduction
  • Creativity and Innovation Implementation
  • Group Task Characteristics
  • Group Knowledge Diversity and Skills
  • External Demand
  • Group Process
  •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 Conclusion

연구방법

선행 연구들을 개관하여 연구 명제를 도출하고, 그에 기초해서 통합 모형을 제안함


연구내용

1. 서론

창의성과 혁신에 관한 과거 연구들에서 세 가지 주제를 주로 다룸: 1) 집단 과제, 요구, 기회의 중요성, 2) 집단 구성원들 사이의 지식과 기술의 다양성, 3) 팀의 통합성

본 연구자는 선행 연구들에서 무시 했던 네 번째 요소인 외적 요구가 중요하다고 제안. 외부 환경은 두 단계로 나눠 질 수 있는 혁신 과정에 다른 영향 미치리라 예상

  • 창의성: 팀에 대한 외부 요구는 창의성을 저해
  • 혁신 실행(innovation implementation): 팀에 대한 외부 요구는 혁신 실행 고무

이러한 외부 환경을 고려하지 않으면, 이론들은 혁신 과정을 예측하는데 제한 되고, 혁신적 결과를 촉진하려는 개입(intervention)은 실패함

대부분의 선행 연구들은 팀 효과(effectiveness)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살폈고, 어떤 연소들이 팀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형성하고 실행하고, 제품과 서비스와 일하는 방법을 증진시켜 주는가에 대한 연구는 적음. 그러한 이유 중 하나는 혁신과 창의성의 개념에 관한 혼동 때문.

창의성은 혁신 과정의 초기 단계라고 할 수 있고, 혁신 실행은 창의적 아이디어를 적용하는 단계라고 할 수 있음. 다음에서 창의성과 혁신을 정의함

2. 창의성과 혁신 실행(Creativity and innovation implementation)

창의성은 새롭고 가치 있는 아이디어를 생산해내는 과정을 포함함

혁신은 작업장에서 무엇인가를 하는데 있어 새롭고 증진된 방법을 소개하는 것을 의미. 구체적으로 혁신은 직무, 작업 팀, 또는 조직 내에서 새롭고, 유익이 되는 아이디어, 절차, 생산물, 과정 등을 의도적으로 소개하고 적용하는 것을 의미.

혁신의 예: 기술적 변화, 새로운 생산 과정, 전략 변화 등

혁신의 특징: 새로운 것을 포함 할 수도 있고 안 할 수도 있음, 작은 변화 일수도 있고 큰 변화 일수도 있음, 오랜 시간이 걸릴 수도 있고 짧은 시간이 걸릴 수도 있음, 계획된 것일 수도 있고 계획되지 않은 것일 수도 있음

창의성과 혁신의 관계: 창의성은 혁신 과정 중 초기 단계에 가장 명백하게 나타나고, 그 후에는 혁신 실행으로 이어짐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네 가지 요소를 제안. 네 요소 중 외적 요구는 창의성과 혁신에 다른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

2016-11-12-192620

3. 집단 과제 특징(Group Task Characteristics)

집단이 수행하는 과제는 작업 집단, 작업 집단의 구조, 과정, 기능적 요구 등에 근본적인 영향을 줌. 어떤 면에서 팀은 과제 특징에 의해서 정의된다고 할 수도 있음

집단 과제 특징은 과제 난이도(difficulty), 해결 방법의 다양성, 내적 흥미, 집합적 요구, 갈등 또는 협력 요소, 과제 수행 방식(홀로 vs. 함께, 가산적, 접합적 등) 등을 포함.

과제의 몇몇 조건은 내적 흥미 개념과 유사한 과제 지향을 일으킴. 1) 과제 완성 정도, 2) 다양화된 요구, 3) 사회적 상호작용 기회, 4) 자율성, 5) 학습 기회, 6) 과제에 관한 발달 가능성

4. 집단 지식 다양성과 기술(Group Knowledge Diversity and Skills)

지식과 기술의 다양성은 집단 과정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서 혁신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 집단 구성의 다양성이 높으면 이슈에 관한 다른 견해들 가져오는 것과 정보적 갈등을 통해서 유사한 사람으로 구성되었을 때 보다 혁신 적일 것임. 또한 과제 특징이 더 전면적이고, 다양하고, 발달된 과제이면 구성원의 지식과 기술의 다양성을 요구하게 됨. 그러한 면에서 지식과 기술의 다양성은 중요한 영향 요소임

많은 선행 연구들에 따르면 다양성이 혁신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 보고. 그러나 어떠한 형태의 다양성이 어떠한 상황에서 혁신을 자극하는지를 모름. 본 연구자는 필수적인 지식 다양성(requisite knowledge diversity)이 혁신을 이끈다고 제안. 이러한 다양성은 집단의 과제가 복잡 할수록 증가.

그러나 다양성이 집단의 안정과 통합을 위협하기 시작하면, 창의성, 혁신 실행을 저하시킴. 또한 다양성이 과제에 관한 공유된 이해를 저해하면서 극대화 되면, 집단이 효과적으로 혁신하는 능력을 위협하게 됨. 예: 다양성이 집단 목표의 명확성과 목표에 관한 헌신을 줄이면, 혁신적 시도는 저항을 받게 됨.

과제에 관한 공유된 견해와 효과적으로 의사소통하고 일하는 능력을 저해하지 않는 정도의 다양성 필요

5. 외부 요구(External Demands)

외부 위협은 부분적으로 사람, 집단, 조직을 혁신적이게 하지만, 창의성을 저하 시킬 것임.

방대한 증거들이 개인이 압박으로부터 자유롭고, 안정감을 느낄 때 창의적 인지가 발생한다고 제안

선행 연구 결과들은 조직이나 팀이 처한 환경이 위협적이고 불확실 할 때 불확실성이나 위협을 제거하기 위해서 더 혁신적이게 된다고 제안

외부 요구의 종류: 불확실성, 시간 제한, 경쟁, 혹독함 또는 도전

외부 환경과 혁신 실행 간의 관계: 이 둘 간의 관계는 역U자형. 즉, 외부 환경의 요구가 너무 낮거나 높으면 혁신 실행에 방해가 될 수 있음

과제 특성이 혁신 실행을 촉진 할 수 있고, 외부 요구도 혁신 실행을 고무 할 수 있음. 이 둘을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연구 명제를 제안하는 것이 가능

1) 집단 과제 특성의 수준이 내적 동기를 고무하고 외부 요구가 높으면 혁신 실행 수준은 높을 것이다.

2) 집단 과제 특성의 수준이 내적 동기를 고무하고 외부 요구가 낮으면 혁신 실행 수준은 중간 정도일 것이다.

3) 집단 과제 특성의 수준이 내적 동기를 고무하지 않고 외부 요구가 높으면 혁신 실행 수준은 중간 정도일 것이다.

4) 집단 과제 특성의 수준이 내적 동기를 고무하지 않고 외부 요구가 낮으면 혁신 실행 수준은 낮을 것이다.

위의 연구 명제들은 높은 수준의 과제 특성과 외부 환경이 혁신 실행에서 필수적임을 제안함

6. 집단 과정(Group Process)

2016-11-12-192711

과제 특성과 지식 다양성의 효과를 아이디어의 생성과 실행으로 바꾸는 과정을 나타냄. 지식 다양성과 외부 요구는 둘 다 집단 과정에 영향을 줌.

6.1. 공유된 목적을 명백하게 하고 그 목적에 헌신하도록 하라(Clarifying and Ensuring Commitment to Shared Objectives)

집단 혁신에 관한 맥락에서 집단 목표를 명확하게 하는 것은 새로운 아이디어의 개발에 초점을 두게 해서 혁신 촉진. 이론적으로 명확한 목표는 구성원들이 팀 목표에 헌신하고 있을 때에만 혁신 촉진.

6.2. 의사 결정 참여(Participation in Decision Making)

의사 결정 연구에 따르면 의사 결정 참여가 통합성과 헌신 촉진한다고 제안

의사 결정 참여와 창의성

1) 브레인스토밍을 다룬 실험 연구의 결과 평가 불안, 무임 승차 등의 이유로 명목집단(nominal group)이 상호작용하는 집단 보다 수행 높았다는 보고가 있으나 적절한 조건(사회 비교 과정, 개인 수행에 관한 피드백 제공)에서 참여는 창의성을 높일 수 있음.

2) 또한 다른 구성원들과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것은 독특하고 새로운 아이디어를 양산할 가능성을 높임. 이러한 가능성도 집단 구성원들이 다른 구성원들의 아이디어에 주의를 기울인다는 조건에 한정됨

의사 결정 참여와 혁신 실행: 의사 결정 참여는 변화에 관한 저항 가능성을 줄여 혁신이 실행될 가능성을 높임

6.3. 효과적으로 갈등 관리하기(Managing Conflict Effectively)

정보적 갈등이나 건설적인 논쟁은 의사결정과 창의성의 질을 높임. 건설적 논쟁은 경쟁적인 맥락보다는 상호 이익이 되는 목표를 강조하는 협동적인 집단 맥락에서 발생.

반대 의견을 더 개방적이고 완전하고 직설적으로 논의했을 때 문제에 관한 혁신적인 해결 방안을 개발

소수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른 의견을 지닌 소수가 지속적이고 확신 있게 자신의 의견을 주장하면 전환(conversion)이 일어난다고 제안. 이러한 제안과 일관되게 일부 연구자는 소수가 다른 의견을 말하는 것을 억압하는 것이 창의성과 혁신이 줄이는 것 발견. 그러나 이러한 결과는 단지 참여 수준이 높을 때만 나타남

전반적으로 과제 관련 갈등과 참여적 환경에서 소수가 다른 의견을 말하는 것은 논쟁과 가용한 정보에 관한 다른 해석을 고려하게 해서 창의성 이끌어냄

6.4. 혁신 지원(Supporting Innovation)

혁신은 혁신을 지원하고 혁신적 시도에 대해서 처벌하기 보다는 보상하는 조직에서 더 많이 발생하리라 예상

혁신에 대한 지지는 직무 환경에서 새롭고 증진된 방법을 제안하는 시도에 관해서 기대하고, 승인하고, 실질적 지원을 하는 것을 의미.

조직 내에서 새로운 아이디어는 거절되거나 무시 될 수도 잇고 언어적이나 실질적 지지를 받을 수도 있음. 그러한 집단 과정은 개인과 집단의 행동을 형성하고 혁신을 소개하는 팀 구성원들을 고무하거나 단념시킬 수 있음

27개 병원 최고 관리 팀을 대상으로 한 종단 연구에서 혁신에 대한 지지가 팀 혁신을 예측하는 강력한 집단 과정인 것으로 밝혀짐

6.5. 집단 내 안정성 개발(Developing Intragroup Safety)

집단 내 안정성은 집단 상호작용 동안에 동료 집단 구성원들에 대해서 심리적이거나 심리사회적인 안정성 지각을 의미함. 집단 내 안정성에는 집단의 정서적 분위기, 안정적인 풍토, 갈등 수용 등이 포함됨.

집단 내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개발한 집단은 정적 집단 정서, 건설적 갈등 관리, 학습하기 좋은 안전한 풍토 창출 등을 통해서 더 건설적이고 혁신적이게 됨

예: 정서적 분위기는 집단 내 일관적이고 동질적인 정서 반응을 의미하는데, George는 정서적 분위기가 그 집단이 얼마나 혁신적일 것인가를 결정한다고 제안

예: 집단 내 갈등의 수용은 과제에 기초한 갈등이 개인과 집단의 수행에 미치는 정적 영향을 강화

예: Edmondson의 연구 결과에서 팀 내 안정적 풍토가 다르다는 것을 발견하였는데, 어떤 팀에서는 개방적으로 의료 사고를 논하고 학습하는 반면, 다른 집단에서는 의료 사고를 감추었음. 후자보다 전자가 미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혁신을 고안함. 이 결과에 기초해서 연구자는 팀의 안정성 지각이 팀 구성원들이 더 혁신 행동을 하도록 이끈다고 제안

전반적으로 집단 내 안정성은 창의적 아이디어의 표현과 혁신 실행을 촉진 할 것이라고 결론 내릴 수 있음

6.6. 반영(Reflexivity)

팀 반영은 팀 구성원들이 팀의 목적, 전략, 과정을 반영하고, 그에 따라서 적응하는 정도를 의미.

반영의 요소

1) 숙고(reflection): 주의(attention), 인식(awareness), 감시(monitoring), 숙고에 관한 평가로 구성

2) 계획(planning): 숙고의 불확실성의 잠재적 가능성 중 하나로, 일련의 행동이 심사 숙고되고, 의도가 형성되고, 계획이 개발되고, 그것을 실행할 가능성이 발달됨. 실행 계획이 더 구체적일수록 그것들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짐.

3) 행동 또는 적용: 행동은 팀 목적, 전략, 과정, 팀에 의해서 구분된 조직과 환경의 바람직한 변화를 성취하는 것과 관련된 목표 지향적 행동을 의미.

6.7. 통합 기술(Integration Skills)

통합적 기술은 팀 구성원들이 팀 내에서 일을 효과적으로 하기 위해서 관련 지식, 기술, 능력을 가지고 있는 정도라고 할 수 있음. 통합적 기술이 과제 수행과 관련되는 KSAs와는 구분됨.

통합 기술은 팀 수준의 것이 아니라 개인 수준의 것이지만 집단 과정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줌. 통합 기술에는 갈등 해소 통합 기술, 협동적 문제 해결 통합 기술, 목표 설정, 수행 관리 등이 포함

팀이 더 많은 통합 기술을 가질수록 더 통합된 방법으로 일 할 것임. 집단 과정이 충분히 통합되어 있으면 집단 과정은 집단 창의성과 혁신 실행을 촉진 할 것임


연구의 한계

본 연구는 선행 연구들에 기초해서 이론을 제안하는 연구임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된 연구 명제들은 실증 연구를 통해 검증이 필요함

실천적 함의

팀 과제를 처음부터 끝까지 완수하도록 설계하는 것 필요. 이러한 설계는 팀에게 다양한 요구를 만들고, 그들의 지식과 기술을 독립적으로 사용하게 하기 때문

프로젝트 초기에 충분한 시간을 팀에게 주어서 새롭고 증진된 생산물이나 작업 방식을 산출할 수 있도록 해야 함

혁신 과정 후기에는 압박, 위험, 불확실성은 혁신 실행에 도움이 됨

혁신 과정이 효과적으로 진행 되기 위해서는 각 개인들이 통합 기술을 발달 시키도록 도와 주어야 함

연구의 가치

혁신 과정을 창의성과 혁신 실행이라는 두 단계로 나누어 제안 하였다는 점에서 가치 있음

기존에 연구 되지 않았던 외부 요구를 모델에 넣어서 보다 포괄적인 모델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가치 있음

핵심단어

통합 모형, 창의성, 혁신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