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Cohen, W. M., & Levinthal, D. A. (1990). Absorptive capacity: A new perspective on learning and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35, 128-152. 원문링크

저자

  • Wesley M. Cohen: Professor of Economics and Management at Duke University. 논문 집필 시 Professor of Economics and Social science at Carnegie Mellon University에서 전략, 기술과 지식 경영, 기술적 변화의 경제학에 대한 연구 중. [econ.duke.edu]
  • Daniel A. Levinthal: Professor of Management at University of Pennsylvania. 산업 진화, 조직적 학습, 기술적 경쟁에 대한 연구 중.

논문성격: 실증연구

연구목적

R&D에 대한 회사의 투자 모델을 세우고(R&D가 회사의 흡수력에 기여하는), R&D에 대한 회사의 투자가 산업내의 기술적 변화의 기초가 되는 지식과 관련된다는 가설을 검증하기 위함

논문구성

  • 서론
  • 인지구조(cognitive structure)
  • 개인 흡수력부터 조직 흡수력까지
  • 경로 의존성(path independence)과 흡수력
  • 흡수력과 R&D 투자
  • 연구방법
  • 자료와 측정
  • 결과
  • 혁신활동을 위한 함의
  • 결론

연구방법

1.참여자: 151개 사업라인에 속한 318개 회사의 1,719개 사업 단위(units)

2.연구설계: 횡단적 설문(cross-sectional survey)

3.측정

기술적 기회: 각 사업 라인에서 기술적 진보의 관련성(relevance)과 중요성(importance)에 대한 Levin 등(1983, 1987)의 7점 척도 문항 사용

전유가능성(appropriability): Levin 등(1983, 1987)의 6개 메커니즘의 효과성(effectiveness) 최대 점수를 사용

  • 기술적 진보의 원천
  • 기초과학 분야: 생물, 화학, 수학, 물리
  • 응용과학 분야: 농업, 응용수학, 컴퓨터공학, 지질학, 재료 과학, 의학, 야금학(Metallurgy)
  • 산업 외부적 원천: 장비 공급자, 재료 공급자, 제품 사용자, 국가연구소, 학교

C4: 산업 내 상위 4개 사의 산출량 비율

PELAS: 산업수준에서 수요에 대한 가격 탄력성

4.통제변수: 산업 요구 조건, 산업 성숙도

이론적 배경

외부 지식을 활용하는 능력은 혁신 과정의 중요한 요소이며, 외부 지식을 평가하고 사용하는 능력은 대부분 사전 관련 지식 수준의 영역. 사전 관련 지식은 새로운 정보의 가치를 인식하고 영리 목적에 맞게 이해하고 적용하는 능력을 제공. 그리고, 이러한 능력들이 모여 회사의 “흡수력”을 구성함. 흡수력의 개념은 학습의 기초가 되는 인지구조에 대한 연구를 통해 보다 수월하게 개발될 수 있음.

1) 인지구조

흡수력의 전제는 조직이 새로운 지식을 이해하고 사용하기 위한 사전 관련지식을 필요로 한다는 것임. 이에 관련된 3가지 개념은 지식 획득, 학습을 위한 학습, 문제해결 기술임.

① 기억 발달에 대한 연구는 축적된 사전 지식이 새로운 지식을 기억하는 능력(지식 획득)과 이를 사용하기 위해 회상하는 능력을 증가시킨다고 제안함. 또한 심리학자들은 연합학습(associative learning)에 의해 기억이 발달되기 때문에 사전 지식이 학습을 증진시킨다고 주장함.

② 사전 지식의 촉진은 유사한 방식으로 조직화되고 표현되는 지식 주요 부분에 걸친 학습기술의 변형일 수 있음. 그 결과로 하나의 학습 과제에서의 경험이나 수행이 다음 학습 과제에서의 수행에 영향을 미치고 향상시킬 수 있음. 이를 “학습을 학습함(learning to learn)”이라고 부름. 초기 학습과 다음 수행 간의 관계에 대한 설명은 학습을 위한 사전 지식의 중요성을 강조함.

③ 문제해결 기술도 유사하게 개발될 수 있음. 문제해결 방법과 발견적 학습법(heuristics)은 개인 각자가 관련 문제해결능력을 얻도록 하는 전형적인 사전지식의 구성요소임.

문제해결과 학습 능력은 유사하지만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음. 학습 능력은 기존의 지식을 이해하는 능력의 발달을 포함하지만, 문제해결 기술은 새로운 지식을 창조하는 능력을 의미. 창의적 과정에서 문제해결을 위한 사전 조건인 관련 지식과 기술을 사전에 지니고 있는 것은 창의성을 높이고, 이전에 시도된 적이 없었던 다양한 연계와 연결을 가능케 함. 심리학 문헌은 창의적 능력과 흡수력이 상당히 유사하다고 제안함.

효과적인 흡수력 개발은 개인을 단지 관련 사전 지식에 짧게 노출시키는 것만으로는 충분치 않으며, 철저한 노력이 필수적임. 또한 학습은 누적되며, 학습 수행은 학습의 목적이 이미 증명이 된 것과 관련된 것일 때 가장 좋음.

2) 개인 흡수력부터 조직 흡수력까지

조직 흡수력은 조직에 속한 개인의 흡수력에 따라 좌우됨. 하지만 개인 흡수력의 단순한 합이 조직의 흡수력은 아니기에 흡수력의 면면들을 고려해야 함. 흡수력은 조직에 의한 정보의 획득과 이해뿐 아니라 조직의 능력을 활용하는 것으로도 볼 수 있음.

의사소통 시스템은 외부 정보를 전달하는 전문가에 따라 달라지거나, 탈 구조화된 패턴을 가짐. 회사의 흡수력은 회사와 외부환경의 인터페이스나 회사 내 사업부(subunit)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담당하는 개인에 달려 있음. 인터페이스 기능은 조직 전반에 확산되어 있거나 또는, 매우 집중되어 있음. 이 때, 집단 내에서 상대적으로 중심도가 높은 사람들이 주로 문지기(gatekeeper)나 경계망 보기(boundary-spanning)의 역할을 함.

그러나 내부 의사소통 과정과 조직 흡수력의 용이함/어려움은 단지 문지기뿐만 아니라 정보를 문지기에게 전달하는 전문가에 의한 것이기도 함. 조직에게 있어 공유 지식 및 전문 지식 같은 일반적인 지식을 강조하는 문지기와의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배경지식은 필수.

다양한 지식 구조 외에 개인이 조직 흡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질 수 있는 지식의 종류 역시 중요. 지식은 문맥적, 기술적 지식뿐 아니라 조직 내/외 어디에 유용한 지를 아는 것도 포함 됨. 그러므로 조직은 넓고 활발한 대내/외적 관계 네트워크를 개발해야 함.

다양한 지식에 의해 보완된 이상적인 지식구조는 개인들의 지식 다양성과 공통성(commonality) 사이에 존재하는 조직의 이해관계(organizational trade-off)를 언급. 공통 지식이 의사소통을 향상시키는 동안 공통성이 개인의 다양성을 줄어들게 하지는 않음. 흡수력에 있어, 급격한 기술 변화 하에서 이루어지는 행동들이 생산 효율성을 추구하는 경향을 보이고, 이러한 지나친 전문화로 인해 발생하는 어려움은 중요. 행동에 의한 학습에서 회사는 보다 실천적으로 행동하며, 이미 경험이 있는 활동에서는 더 능숙해짐. 행동에 의한 학습은 창의성에 대해 비판적이기 때문에 다양성에 기여하지 않음.

3) 경로 의존성(path dependence)과 흡수력(Absorptive capacity)

지식을 활용하고 융합하는데 사전 지식의 역할은 개인과 조직의 수준에서 모두 조망할 수 있음. 사전 지식은 새로운 지식의 활용과 동화를 모두 가능케 하며, 흡수력의 개발에 이어 매우 중요한 함의를 내포하고 있음. 사전 지식의 가장 기본적인 역할은 흡수력의 두 가지 특징을 통해 제안. ①일정 기간 동안, 흡수력이 축적되는 것은 추후 보다 효율적인 흡수력 축적을 가능케 할 것이다. ② 연관된 전문성을 가지고 있다 함은 기업의 이해를 돕고, 공동체적인 기술(intermediate technology, 중간 기술로도 번역 가능)적 진보의 취지를 평가하며, 이는 결과적으로 새로운 기술 개발의 장점. 결국 사전 지식은 불확실한 환경에서 발전된 기술의 상업적 잠재성과 보다 정확한 현상을 예측할 수 있도록 함.

4) 흡수력과 R&D 투자

혁신을 위한 흡수력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에서 중요한 통찰은 혁신 활동에 대한 흡수력의 함의를 경험적으로 검증할 수 있다는 것임. 산업 내 기술의 변화는 회사의 지속적인 R&D 활동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회사가 외부 정보를 활용하는 능력은 R&D의 부산물로 나타남.

본 연구에서 R&D를 선택한 2가지 이유

  • R&D는 새로운 지식을 발생시킬 뿐 아니라 조직의 흡수력에도 기여함
  • 학습에 대한 R&D 활동의 반응성(responsiveness)이 흡수력의 경험적 중요성 지표로 고려됨

본 연구는 영업에 의해 분리된 R&D로 정의되는 간단한 R&D intensity 모델을 만듦. 영업에 의한 R&D의 표준화(normalization)는 R&D 노력 단위별 수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회사의 규모를 통제하기 위함.

[그림 1]은 흡수력이 R&D 지출 결정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기본 모델이며, 연구자들의 예측은 다음과 같음.

  • 학습 incentive가 R&D 지출에 직접적인 영향을 가질 것임
  • 기술적 기회, 전유가능성(appropriability), 회사와 경쟁자의 지식 이해 정도, 흡수력과 같은 결정요인들과 학습 incentive의 영향이 위의 효과를 매개할 것임
  • 전유가능성 조건(예. spillovers)의 효과는 경쟁자의 상호의존성에 의해 조절될 것임(상호의존성은 경쟁자의 기술적 진보가 회사의 이윤을 낮추는 정도로 정의함)

2016-11-12-224221

모델에 대한 설명과 연구 결과 예측

① 학습 용이성의 직접적 영향: ‘이해되고 활용되어야 하는 지식의 양’과 ‘학습 난이도’ 2개의 요인이 학습 용이성에 영향을 미침. 이 모델은 학습의 용이성이 줄어들수록 학습이 R&D에 더 의존하고, R&D 지출이 증가할 것을 나타냄.

② 기술적 기회(technological opportunity): 회사가 산업 내에서 표준화된 기술적 진보의 unit을 얼마나 많은 비용을 들여 성취했는지를 나타냄. 기술적 기회는 산업 외부 기술 지식의 양(정부나 대학 실험실에서의 지식)과 새로운 지식 unit의 정도라는 2차원을 가짐.

예측: 기술적 기회의 증가는 더 어려운 학습 환경에서 더 많은 R&D를 이끌어낼 것이다

③ 전유가능성(appropriability): 회사가 혁신 활동에 연결된 이윤을 획득하는 정도와 공식적 영역에서 가치 있는 지식이 유출되는 정도.

예측: 유출(spillovers)과 내생적 흡수력의 상호작용 때문에 유출이 부분적으로 R&D를 운영하는데 긍정적인 인센티브(incentive)를 제공

[그림 2]는 R&D의 역할인 새로운 지식 창출과 흡수력에의 기여 중

2016-11-12-224257

R&D를 통해 새로운 지식이 생성 되는 지와 국가연구소나 대학과 같은 산업 외부적 원천인 경쟁자가 만들어 낸 지식도 회사의 지식에 기여하는지를 나타냄. 이 모델의 주요한 특징은 회사의 흡수력이 외부 지식이 유용한지의 정도를 결정한다는 것임. 이 모델의 핵심 가정은 경쟁자의 연구 결과의 활용이 회사의 흡수력과 경쟁자 유출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현실화된다는 것임. 이 상호작용은 회사가 외부적으로 사용 가능한 지식을 수동적으로 이해할 수 없음을 의미함.

연구 결과

1) 기술적 기회

예측: 학습이 어려우면 지식 관련성(예: quantity)에서의 증가는 R&D intensity에 더 정적인 효과를 가질 것임.

응용과학의 계수 값이 기초과학보다 낮게 나타나(컴퓨터 공학 제외) 예측을 지지함.

본 연구에서 예측했던 산업 외부적 지식의 원천에 대한 계수 크기의 순서도 대체적으로 지지됨(대학, 국가연구소, 소재 공급자, 장비 공급자 순)

2) 사용가능성

R&D intensity에 대한 사용가능성 증가의 효과는 혁신에 기초과학보다 응용과학이 관련된 산업에서 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음.

이 결과는 유출과 정적 흡수 incentive의 연합이 학습이 더 어려운 산업에서 더 크다는 것을 나타냄. 또한 시장 집중도와 사용가능성 수준의 상호작용이 유의하게 정적 효과를 가짐(시장 집중도가 높아지면 R&D intensity에 대한 사용가능성 수준의 정적 효과가 증가함). 또한 학습 환경이 R&D 지출에 대한 유출의 효과에 영향을 미치고, 부적 사용가능성 incentive와 관련된 정적 흡수력 구축 incentive의 중요성이 경쟁자 상호의존성 정도에 의해 조절됨.

결론

새로운 지식을 이해하고 활용하기 위한 능력을 만드는 R&D에 대한 관찰은 다수의 발견이 공적 영역으로 유출됨에도 불구하고 어떤 회사에서는 왜 기초 연구에 투자하는지에 대한 설명을 제공. 흡수력의 인지적 조직적 측면에 대한 논의에서 기초 연구가 새로운 지식으로 중요한 겹치는 부분을 생성하는 회사의 지식 기반을 넓혀주고, 이 작업이 과학과 기술의 급격한 진보를 이룰 새로운 기술 개발을 하는데 유용한 더 깊은 이해를 제공한다고 봄.

R&D 투자에 대한 경험적 연구는 회사가 운영하는 학습 환경의 특성에 더 민감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함.


연구의 한계

R&D에 초점을 두어 혁신이나 흡수력을 회사 내 다양한 기능에 까지 일반화 가능한지에 대한 부분이 추가로 논의되어야 할 것임

실천적 함의

혁신의 정도에 영향을 받는 학습의 용이성, 기술 채택은 향후 사용자의 사전 지식의 기초와 관련됨

자본 설비(capital equipment)에서 충분히 통합된 혁신은 현실에서 유리된 혁신보다 더 빠르게 확산될 수 있음

흡수력은 벤처들의 협력에 대한 설명을 제공함

연구의 가치

흡수력이라는 개념이 기업의 혁신이라는 현상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밝혔으며, 기업이 얻을 수 있는 정보의 원천을 다양하게 함으로써 보다 포괄적인 이론화를 시도하였음

키워드

흡수력, 혁신, 학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