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Csikszentmihalyi, M. (1988). Society, culture, and person: A systems view of creativity, In R. J. Steinberg (ed.), The Nature of Creativity, (pp.325-339), Cambridge, MA: Cambridge University Press. 북링크

저자 Mihaly Csikszentmihalyi: Professor of Psychology and Management at Claremont Graduate University. Director of Quality of Life Research Center. 창의성, 혁신, 완전한 몰입(Flow)에 대해 연구 중. [wikipedia]


논문성격: 이론 연구(사례 고찰을 통한 이론적 모델 구축)

연구목적

창의성의 정의와 측정방법을 논의하기 전에 “창의성은 어디에 존재하는가?”에 대한 이론적 모델을 제시하고자 함

논문구성

  • 창의성의 구조
  • 창의적 과정에 대한 역동적 모델
  • 창의성 구조에서 시간 변수
  • 분야(field)의 생산적인 힘
  • 모델의 함의

연구내용

1. 창의성에 대한 체계(systems) 모델

대부분의 사람들은 창의성이 창의적인 사람의 머릿속에 있는 것이라 생각하지만, 단지 개인이나 업적만 가지고 창의성을 논할 수 없음. 창의적인 활동이 발생되게 하는 사회적, 역사적 환경에서 창의적인 사람이나 산출물만을 분리하여 생각할 수 없기 때문임

창의성을 형성하는 3가지 힘(force)

  • 개인(individual): 영역에서 사용되는 지식과 규칙으로 새로운 규칙, 더 나아가 새로운 영역까지도 창조하는 역할을 함
  • 분야(field): 사회적 조직으로 ‘영역’을 유지하고 후세에 새로운 생각을 물려주기 위하여 개인들이 생성한 산출물을 심사하고 선택하는 역할을 함
  • 영역(domain): 상징적 규칙이나 절차, 지식의 집합체로 후대에게 선택된 새로운 생각이나 형식을 보존하고 물려주는 역할을 함

창의성은 위의 3가지 시스템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난 현상임

혁신이 가능한 영역이 문화적으로 형성되지 않았다면 개인은 창의적인 활동을 시작할 수도 없을 것임. 또한 혁신을 받아들일지를 평가하고 결정하는 사람들이 없다면 어떤 것이 창의적인 것인지를 구분할 수 없을 것임

특정 생각이나 사물에 대한 창의성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그 산출물이 적응적인 혁신(adaptive innovation)인지를 역사적인 맥락에서 고려해야 함. 단지 기존에 있던 형식을 재생산하는 것은 창의적인 것이 아님

예) Rembrandt 그림의 모조화는 원본과 같은 기술, 같은 미적 가치를 지녔다고 할지라도 원본과 같은 창의성은 없음

창의성은 같은 범주에 있는 다른 생각 혹은 사물들과 비교한 후에야 받아들일 수 있는 것임. 창의성을 판단하는데 필요한 정보는 영역(domain)에 대한 믿음, 분야(field)의 판단에 기반을 두고 있음. 즉, 창의적인 특성들은 상대적이고 사회적 동의에 기인함. 창의성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창의성의 특성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를 알 필요가 있음

예1) Botticelli는 수 세기 동안 열등한 화가로 평가되었으나 19세기 중반 Ruskin과 같은 비평가들이 Botticelli의 작품을 현대적 감수성에 대한 창의적 예견으로 재평가하기 시작했음(Botticelli의 창의성은 Ruskin의 해석에 의해 형성됨)

예2) Mendel의 유전법칙과 그 함의는 1900년 William Bateson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이는 본래의 창의적 생각이 가져온 기여에 필적할만한 중요한 재해석임

즉, Botticelli와 Mendel 창의성의 구조적인 부분은 창의적인 개인의 마인드, 업적(작품), 후대의 평가로 이루어졌음

2. 창의적 과정에 대한 역동적 모델 (p. 329 그림 13.1)

창의성을 형성하는 3가지 힘이 순환적 인과관계를 가진다는 것을 아는 것이 중요함. 시작점은 정해져 있지 않으나 생각이 시작되는 곳이 사람이므로 사람에서부터 출발할 수 있음. 그러나 특정 영역에 대한 정보가 없는 사람은 창의적 기여를 할 수 없음(음악을 알아야 창의적 교향곡을 쓸 수 있음)

창의적 과정에 기여하는 3가지 힘

1) 개인: 문화에서 얻은 정보로 창의적인 것을 생성함

변이(Variation)의 원천-인지적 유연성, 끈질긴 동기, 경험하기 어려운 사건

2) 분야:

① 장래성 있는 variation을 선택하고 이를 영역으로 통합시키며 영역의 문지기(gatekeeper) 역할을 함(평가 기준이 모호한 분야이거나 문지기가 저명하지 않은 경우 새로운 생각의 창의성이 정립되는데 어려움이 많음. 그러나 해당 분야가 방어적이거나 완고하고 새로운 것을 막는 사회 시스템에 속해있어도 새로운 생각의 창의성이 인정 받기 어려움)

② 더 큰 사회의 자원들은 새로운 생각을 인식하도록 도와주며, 특히 풍족한 재산은 새로운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임

예) 100년 전 영감에 찬 모든 예술가들은 예술에 대한 재정적 영향력이 강력한 파리에 모였으며, 파리는 예술적으로 가장 크고 세련된 곳이 되었음

③ 간혹 현존하는 분야를 벗어나 위대한 창의적 재공식화가 이루어지기도 함. 이들의 경우는 관련 분야의 사람들이 새로운 변이(variation)의 타당성을 알아봐주고, 새로 나타난 분야가 그 자체로 구별되도록 하였음

예) 자신의 생각을 지지해주거나 억압할 전문적인 사회 조직이 없었던 때에 Freud의 정신분석학 창안, 경험 물리학의 시초인 Galileo, 항공역학 분야가 없던 시절의 Wright 형제

이 모델에서 새로운 생각에 매혹되는 관련 영역 사람들이 없다면 창의적 과정은 생성될 수 없을 것임

3) 영역: 영역의 구조에 따라 3가지 힘의 관계가 달라지며, 더 정확한 표시 시스템에서는 창의적 기여를 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고 그 변화를 알아채기 더 쉬움

3. 창의성 구조에서 시간 변수

그림 13.1의 창의적 과정에서 시간은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중요한 발견은 한 영역에서 잉태기간이 길게 나타남. Roentgen의 방사선 발견과 Fleming의 페니실린 발견은 맥락을 배제하고 보면 우연처럼 보이지만, 그들이 암묵적인 긴장상태에서 해결을 위해 보이지 않는 영향을 미쳤기 때문에 그 분야에서의 잠재성에 민감해진 것임

영역에서 개인으로의 변환뿐 아니라 개인에서 분야, 분야에서 영역으로의 변환에도 시간이 영향을 미침. 그 이유는 창의성을 판단하는 유일한 방법이 비교, 평가, 해석이기 때문임

이 모델은 변이(variation), 선택(selection), 변혁(transmission)의 3단계로 이루어진 문화적 진화 과정을 나타내며, 창의성은 진화의 한 측면으로 볼 수 있음

4. 분야의 생산적인 힘

창의적 과정이 주로 영역개인분야영역 순서로 나타나긴 하지만 분야가 새로운 아이디어 출현을 직접적으로 자극할 수 있음

예) 15세기 플로렌스는 분야가 어떻게 창의성 발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잘 보여줌. 불과 몇 년 동안 작은 도시에서 가장 유명한 불후의 명작들이 나오게 된 것은 르네상스가 사회적 시스템으로 자리잡는 변화에 의한 것임. 개인들의 창의적 잠재성은 그대로였으나 자본의 축적으로 예술활동에 대한 지원이 증가하면서 Ghiberti의 north door of the Baptistery, Brunelleschi의 Foundling Hospital과 cathedral cupola 등의 예술품들이 탄생했음. 이는 가족의 이름을 알리고 싶어하는 부자나 정치적 단체, 길드에 의해 이루어졌음

위의 예는 르네상스를 가능하게 한 창의적 과정에 모든 공동체가 관련되어 있음을 보여주며, 이는 무작위로 일어난 사건이 아니라 플로렌스를 새로운 아테네로 만들겠다는 목적에 의해 계산된 것이며 부와 권력을 가진 사람들이 의도한 정책임


연구의 한계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모델은 창의성에 대한 통합적 관점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일 뿐 예측모델이 아니므로 창의성에 대한 예측은 불가능함

실천적 함의    

창의성에 대해 사람-중심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복잡한 환경적 맥락을 고려하였음. 이를 위해 사람이 모든 것의 중심이라는 시각을 사람도 상호 영향과 정보를 주고받는 체계의 일부라는 시각으로 전환해야 함

1. 영역 수준

어떤 상징 체계가 창의적 생각을 더 잘 저장하고 전달할 수 있는지를 밝히기 위해 정보의 구조를 측정할 수 있는 개념과 측정도구 개발 필요

다양한 범주의 개인들에게 차별적으로 개방되는 정보에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 필요

특정 영역에 사람들이 참여하도록 하는 내적 동기를 확보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 필요

2. 개인 수준

개인들이 더 많은 변이(variation)를 산출하도록 하기 위해 인지적 변수와 함께 동기적, 감정적 변수를 고려해야 함. 창의적 아동이 사용하는 정보처리 전략에 대한 연구는 초기 경험, 인구통계적 변수(형제관계, 사회적 계층, 종교적 양육)의 효과에 대해 언급함

3. 분야 수준

위의 두 수준에 비해 상대적으로 연구가 적으나, 향후 어떤 형태의 조직이 새로운 변이의 선택을 촉진하고 이를 영역에 포함시킬 수 있을지에 대한 연구 필요

창의성 연구에 있어 과학이나 생각의 역사, 인지과학, 인공지능, 조직 사회학 등 관련된 연구법을 통한 다양한 학제적 접근이 요구됨

연구의 가치

창의성을 개인 수준의 이슈가 아닌 사회적 맥락과의 상호작용 결과로 파악하고 사례중심적인 관점을 벗어나 통합적 관점을 제시함

키워드

창의성, 체계모델, 사회적 맥락(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