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Clydesdale, G. (2006). Creativity and competition: The Beatles. Creativity Research Journal, 18(2), 129-139. 원문링크

저자 Greg Clydesdale: Massey University. [amazon.com]

논문성격: 사례연구

연구목적

Beatles의 사례를 살펴보는 것을 통해 창의성에 주요한 영향을 주는 요소들을 찾아내는 것을 목적을 함

논문구성

  • Introduction
  • The Environmental in Liverpool
  • Early Mediocrity
  • External Competition
  • The Working Team
  • Conclusion

연구내용

1.리버풀의 환경(The Environmental in Liverpool)

리버풀 항구는 미국의 제품 뿐만 아니라 미국의 음악도 들어와 리버풀에 사는 사람들은 미국 음악에 노출됨

미국 북부에 2차 세계 대전에 미군이 주둔 했던 장소 있었음, 그 장소에 살던 사람들이 미국의 음반 가져옴

위의 환경에서 Beatles가 자랐고, 그들은 Elvis Presley, Little Richard, Jerry Lee Lewis 등을 우상으로 삼음

2.초기의 평범한

평범한 Beatles: Brian Epstein에 의해서 선발되기 전에 햄버거 가게에서 일함, Brian Epstein가 음반사에 접근했으나 매번 거절됨, 이러한 거절은 Beatles가 얼마나 평범했는가를 반영함

발달 과정: Beatles의 음악은 초기에 아주 단순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더 복잡해짐, 이러한 변화(또는 발전 과정) 과정을 통해서 “Yesterday”를 만들 때 표준적 rock ‘n’ roll 음악을 시작됨, Rubber Soul을 제작할 때 Beatles는 그들의 음악을 확장해 감

이러한 발달 과정을 넘어서 Beatles에는 음악적 호기심과 발달에 관한 열망이 있었고, John과 Paul 사이에 경쟁이 있었음

이러한 내부 경쟁으로 인해서 더 좋은 곡들이 작곡되어 팀에 유익이 됨

3.외부 경쟁(External Competition)

경쟁은 외부에서도 있었는데, 이러한 외부 경쟁으로 인해서 Beatle 작품의 완성도가 높아질 뿐만 아니라 경쟁 상대인 Beach Boys 작품의 완성도, 역시 좋아짐

음악 차트에서 두 팀 간의 선두 다툼(한 팀이 좋은 음악 내어 놓으면, 다른 팀이 또 다른 음악을 내어 놓는 방식)

이 두 팀 간의 경쟁을 살펴보면, 이 두 팀들이 서로를 묘사 할 때 영리한(clever), 천재적인(genius), 위대한(great)이라는 단어를 사용

이 두 팀 간의 서로 존중하고 분석적인 관계의 본질이 창의성을 증대시키는데 기여함

Beach boys는 성공적인 팀이었지만, Beatles와의 경쟁에서 패배하고 이후에 쇠퇴. 패배의 원인은 Beatles는 두 명의 작곡가가 지속적으로 도와주고 그들의 기준을 높인 반면 Beach Boys의 Brian Wilson은 홀로 작곡, 프로듀서 역할을 담당 했기 때문에 Beatles와 같이 내부 경쟁이나 경험과 아이디어의 교환이 없었고 Beatles를 이길 수 없었다는 것을 들 수 있음

4.작업 (The Working Team)

Beatles가 지속적으로 성장한 이유로 경쟁이 있었지만, 팀 내 관계와 작업 팀의 기능의 영향도 받음

Beach boys는 Brian Wilson의 혁신을 환영하지 않았지만, Beatles는 서로가 혁신적이 되도록 고무함

Beatles가 의도적으로 다양성을 추구하지는 않았지만 이 팀은 다른 종류의 전문성과 사고 방식을 지닌 구성원들로 구성됨

예: Lennon과 McCartney는 다른 작곡 방식을 지님

팀의 협업: 팀에서 Lennon이나 McCartney는 자신들이 원하는 곡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Martin은 이것을 곡으로 현실화 시킴

Beatles는 Amabile가 강조한 세 가지 창의성을 구성하는 요소를 지님

  • 전문성(expertise): 처음에는 팀원들이 전문성이 없어서 이를 Martin이 보조 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이들의 전문성이 증가됨
  • 창의적 사고(creative-thinking): Beatles는 본질적으로 호기심이 많아서 새로운 소리와 새로운 지평을 찾았음, 그리고 이러한 행동은 지속적이고 행복한 긴장이었음
  • 내적 과제 동기(intrinsic task motivation): 팀 내 모든 구성원들은 열정이 있었고, 외부 보상도 역할을 했음(예: 명성은 팀에게 강한 인센티브가 됨)

Beatles는 Amabile가 제안한 혁신을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조직 요소를 지님

  • 창의적이고자 하는 조직: 이는 조직이 창의성과 혁신에 가치를 두는가에 관한 것임, 1960년대는 새로운 아이디어에 가치를 두는 시대였고, Beatles의 음반 회사인 EMI는 새로운 아이디어가 성공을 가져오는 한 이를 수용하였음
  • 자원: 일반적으로 한 앨범에 주어지는 시간은 3주인데 반해서 Beatles가 Sergeant Pepper를 녹음하는데 걸린 시간은 6개월 이었음, 이는 Beatles에게 자원이 충분했다는 것을 보여줌
  • 관리자의 실천: 예술 관리자로서 Brian Epstein은 Beatles의 창의성에 개방적이었으나 그와 음반사의 실천은 창의성에 영향을 못 미침, 그들의 실천 중 자유만이 창의성에 영향 줌

그러나 자유는 부정적 효과도 지님

팀 내 역동 변화와 팀의 파괴: 팀 내 새로운 팀원 영입, Martin의 역할 변화(처음에는 통제력을 지니다가 자유 제공), 구성원들의 의존성 약화와 같은 팀 내 역동의 변화로 인해서 팀은 마침내 나눠짐

5.결론

경쟁이 창의성에 좋은 영향을 준다는 결과는 Amabile와 그의 동료들의 연구 결과와 상반되나, 내적 경쟁과 외적 경쟁이 창의성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는 예술계에서 많이 있음(예: 내부경쟁(Picasso와 Braque), 외부경쟁(Picasso와 Matisse)

Beatles는 초기에 평범한 팀이었으나 지속적인 성장을 통해서 훌륭한 팀으로 변했음, 이러한 성장은 하나의 과정임, 또한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 천재는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 진다는 것을 제안함

본 연구에서는 창의성의 과정에 관해서 다루었음, 제품을 생산하는 것은 과정에 의한 것이지 고립되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님, Beatles는 그들의 기술 수준과 능력을 발달 시켰음, 이러한 결과에 기초해 볼 때 창의적 행동은 크고, 긴 과정의 일부임


연구의 한계  

본 연구는 예술 영역의 사례 연구를 통해서 이루어졌기 때문에 다른 영역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적용 할 때 주의가 요구됨

실천적 함의  

창의성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는 창의적 산물이 생산되게 된 과정에 관해서 살피는 것이 필요

연구의 가치  

창의적 산물이 어떤 단일 요소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과정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사례 연구를 통해서 보여주어 과정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한 점에서 가치 있음

과거 일부 연구 결과와 상반되게 경쟁과 보상이 창의성에 정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예를 제시한 것에서 가치 있음

키워드

창의성,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