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Ford, C. M. (1996). A theory of individual creative action in multiple social domai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21, 1112-1142. 원문링크

저자: Cameron M. Ford: Professor of Management Department at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논문 집필 당시 Professor of Management at Rutgers University. 창의적 비전을 벤처사업으로 발전시키는 의사결정과 커뮤니케이션 과정에 대한 연구 중. [business.ucf.edu]

논문성격: 이론 연구

연구목적       

창의성에 대한 심리학과 사회학적 설명을 통합하고 그룹, 조직, 제도, 시장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는 조직 내 개인의 창의적 활동에 대한 이론을 확증하기 위함

논문구성       

  • 창의적 활동에 대한 심리학적 개념과 사회학적 개념의 연결
  • 창의성에 대한 통합적 정의
  • 경쟁적인 행동으로써의 창의적 활동과 습관적 활동
  • 개인의 창의적 활동 이론
  • 의미이해(sense making)
  • 동기(motivation)
  • 지식과 능력(knowledge and ability)
  • 조직 창의성의 다양한 사회적 영역
  • 하위단위(subunits)과 그룹
  • 조직(organizations)
  • 제도적 환경(institutional environments)
  • 시장(markets)
  • 창의적 활동부터 성공적 혁신까지
  • 맺음말

연구방법       

창의성에 대한 접근법의 통합으로 인한 이론적 모델 구축


연구내용       

사람들은 창의성과 혁신이 긴밀히 관련되어 있다고 생각하며, 이 둘을 새로운 시스템, 상품, 기술 발전에 필요한 공생관계로 봄. 그러나 혁신은 사회학, 경제학, 조직 이론에서 다루어져 온 반면, 창의성은 대부분 심리학에서만 배타적으로 연구되어 두 연구의 잠재적 시너지를 끌어내지 못했음

혁신이란 용어는 일반적으로 다른 사람에 의해 활용될 수 있는 유형의 실체로 정의됨(adoptable, diffusible). 혁신은 위계를 구성하는 조직과 시장에 초점을 두고 있으나, 창의성은 위계와 시장 모두에서 저마다 다른 방법으로 채택할 수 있는 해결책으로써 기여

1.창의적 활동에 대한 심리학적 개념과 사회학적 개념의 연결

창의성: 독창적이고(novel) 가치 있는(valuable) 것

창의성은 창의적 산물을 중심으로 정의. 이를 만들어내는 사람, 과정, 공간의 특성에 관심을 갖고 창의성 측정은 주관적. 이 관점에서 Csikszentmihalyi(1988, 1990)는 창의성에 대한 체계적 관점을 개발함. 이 관점은 창의적 활동을 발생시키는데 함께 기여하는 3개의 상호 관련된 하위체계를 언급함: 사람(person), 분야(field), 영역(domain).

사회학자들은 분야와 영역의 관점에서 개인과 조직 활동의 맥락을 보여줌. 제도적(institutional) 이론가는 분야와 영역의 개념을 조직 변화와 관련된 선택(selection)과 유지(retention) 과정을 묘사하는데 사용함. 분야, 영역, 조직 활동 간 상호작용에 대한 제도적 이론가의 설명은 심리학 분야의 Csikszentmihalyi 이론과 상당히 유사함.

창의성과 혁신 연구의 통합을 위한 진화론적 변이-선택-유지(variation-selection-retention) 은유(metaphor)에서는 행위자와 환경 간 상호작용이 분석의 요지가 됨(이는 환경이 행위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행위자가 환경을 어떻게 조성하는지를 알려줌)

1) 창의성에 대한 통합적 정의

위에 언급한 관점에서 창의성은 3개의 중요한 특성을 가짐

  • 창의성은 행위자가 제시한 산출물의 특성으로 나타남
  • 창의성은 각 분야 전문가에 의한 주관적인 판단으로 독창성, 가치가 결정됨
  • 창의성 평가는 때와 영역별로 달라짐

이로써 창의성은 영역별로 다르고, 특정 활동에 의한 산출물의 독창성과 가치가 주관적으로 판단되는 것으로 정의할 수 있음

2) 경쟁적인 행동으로써의 창의적 활동과 습관적 활동

창의성에 대한 진화론적 모델들의 결함으로 인해 본 연구에서는 개인과 집합적 수준 모두에서의 변화와 관련된 통합적 개념을 제공함. 이 관점은 창의적 행동과 습관적 행동이 특정 영역 내에서 독립적으로 창의성을 촉진하거나 제한하는 경쟁적 행동 임을 의미함.

창의적 행동과 일상적 행동의 고려는 조직 창의성에서 특히 중요함. 창의적 활동의 다른 영역에서 조직 맥락을 분리하는데 가장 중요한 것은 사고와 행동의 일반적 틀임. 이전 조직 창의성 이론가들은 개인의 선호 행동에서 경쟁적 측면을 간과했음. 본 연구의 이론은 습관적 활동과 창의적 활동 모두를 이끄는 계획된 과정의 묘사로 이런 결점을 극복할 것임.

2.개인의 창의적 활동 이론

초기 창의성 연구는 개인의 창의적 수행을 촉진/제한하는 특성을 밝히고자 했음. 이러한 영향은 행위 에피소드라는 일반적 분석 단위 내에서 나타날 수 있음. 행위 에피소드는 3가지 방식으로 귀결됨: ① 목표가 언제 충족되는가, ② 언제 다른 목표에 의해 혼란스러운가, ③ 언제 목표가 성취하기 어렵다는 것을 믿는가. 축적된 경험은 개인을 특정 행동 영역에 관련된 통합적 도식, 선호, 기대, 지식을 개발하도록 하며, 넓은 의미에서 행위 에피소드는 전문적인 지각을 얻기 위한 개인의 장기적 노력이라 볼 수 있음.

행동 에피소드 내에서 창의적 활동과 습관적 활동이 촉진되거나 제한되도록 하는 주된 요소들이 그림 1(p. 1118)에 나와있음. 활동은 의미이해, 동기, 지식과 능력의 영향이 결합된 결과임.

1) 의미 이해(sense making)

개인은 정보 찾기, 의미 귀속(meaning ascription), 활동의 상호작용을 반영하는 의미이해에 계속 관여함. 의미이해 과정은 이해와 활동 촉진을 위해 정보에서 의미와 구조를 담당하는 도식에 의해 좌우됨. 도식은 관련 예(행위 에피소드)의 일반적 특성에 기반하여 발달되고, 보다 추상적이고 복잡하게 되며, 반복된 경험으로 조직화됨. 잘 조직화된 도식은 유사한 상황에서 습관적인 해석과 행동을 촉진함.

2) 동기(motivation)

계획적 행동을 조직화하기 위해 목표가 필요하며, 개인의 동기를 촉진하거나 제한하는데 관련된 기대와 정서를 도출하는 역할을 함. 특정 행동의 방향을 담당하는 한 사람의 동기는 목표, 의도와 관련된 기대, 정서의 상호작용으로 결정됨.

① 목표(goals): 한 사람의 목표, 흥미, 의도는 주의와 활동을 조직화에 기여하는 결과를 나타냄. 표1에 창의적 활동을 촉진시키며, 목표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영역-기반 요소에 관련된 경험적 결과가 요약되어 있음.

② 수용성에 대한 믿음(receptivity beliefs): 개별 영역이 내포하고 있는 선택 과정에 대한 개인의 mapping을 나타내는 기대. 각 분야의 수용성으로 여겨지는 이 믿음은 Vroom(1964)의 도구적(instrumentality) 믿음과 개념적으로 유사함. 효과적인 의사소통 네트워크, 정당한 결과지향적 보상, 충분한 자원에 포함되는 사람들의 기대는 창의적 수행과 관련됨. 이를 지지하는 연구는 표2에 요약되어 있음.

③ 능력에 대한 믿음(capability beliefs): 특정 에피소드 동안 명확한 행동에 성공적으로 착수하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사람들의 기대. 추상적 수준이 높을 때 이 믿음은 자기 효능감(self-efficacy), 자신감(self-confidence), 자존감(self-esteem)으로 볼 수 있음. 강하고 정적인 능력에 대한 믿음은 창의성을 촉진시킬 수 있음.

④ 정서(emotions): 평가 정보를 제공하고 동기 부여된 행동을 위한 에너지를 공급함. 정서는 전형적으로 미래 사건에 대한 기대에 의해 도출됨. 창의적인 사람들은 그들의 일을 흥미로워하고, 즐기고, 덜 위협적이라 느낌. 이에 대한 연구는 표2에 요약됨.

3) 지식과 능력(knowledge and ability)

① 영역 관련 지식: 해당 영역에 대한 사전 지식은 창의적 수행에 결정적이며, 그 영역에서 창의적 활동의 필요조건임. 사전 지식은 새로운 지식을 획득하고 지식을 창의적인 방식으로 활용하는 능력을 향상시킴. 이에 대한 연구는 표3에 요약됨.

② 행동적 능력(behavioral ability): 무용, 정치, 스포츠와 같이 특히 수행이 중요한 영역에서 창의적 활동을 촉진시킬 수 있음. 사회적 영역에서 가장 중요한 능력은 영역 내 그리고 영역을 넘어 의사 소통하는 것임. 사회적 네트워킹과 효과적인 의사소통은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생각을 현실화하기 위한 증거를 얻는데 결정적임.

③ 창의적 사고 능력(creativity-thinking ability): 창의적 사고 능력은 창의적 활동에 기여하는 것 중 가장 중요한 능력임. 확산적 사고 능력은 답이 없는 문제에 대해 많은 대안을 생성하도록 함. 연합능력(associational ability)은 비범한 연합이나 패턴을 생성하거나 식별하는 방법을 제공함. 유추와 은유는 불명확한 관계를 탐색하는데 유용한 방법임.

3.조직 창의성의 다양한 사회적 영역

개인의 활동과 영역의 내용 간의 상호작용을 강조하는 사회적 영역은 각 분야의 멤버들이 구현한 선택 과정에 의해 매개됨.

1) 하위단위(subunits)과 그룹

집단-선택 과정은 언제 개인에게 멤버십이 주어지는지, 언제 새 멤버가 사회화 되는지, 언제 의식이나 역할이 정해지는 지와 같은 집단의 발달을 통해 작동함. 전형적으로 이 과정은 집단 멤버십의 동질화를 가져오고, 공유된 해석을 발생시키고, ‘적절한’ 행동을 나타냄.

개인은 자신과 유사한 사람들로 구성된 집단에 매력을 느끼며, 집단-선택 역시 누가 현재 멤버와 유사한지를 고려하여 구성원의 다양성이 줄어듦. 사회화나 집단 규범은 순응 행동을 야기할 수 있음. 일반적으로 집단 발달 단계에 포함된 다양한 선택 과정은 멤버의 특성과 활동에서의 변이성이 거부되도록 함.

다양한 관점과 기술을 가진 멤버를 활발하게 모집하고, 비판적 사고와 집단 규범으로써 창의적 의도를 장려하는 집단은 목표, 정서, 수용적 신념을 활성화할 수 있음. 그러나 창의적 활동에서 멤버 다양성은 갈등을 일으키고 합의가 필요한 때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음.

2) 조직(organizations)

창의적 활동과 혁신을 지지하는 조직의 능력에 특히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2개의 개념이 있음

① 조직의 흡수력(absorptive capacity)

Cohen과 Levinthal(1990)은 개인이나 조직의 흡수력을 새로운 정보의 가치를 인식하고, 이를 소화하며, 생산적인 목적을 위해 활용하는 능력으로 봄. 다양한 조직 관계자들의 내/외적 의사소통이 관련 지식의 전달과 활용을 촉진함. 흡수력은 축적되어 발전하기 때문에 영역에 따라 다르며, 역사에 좌우됨. 흡수력이 없으면 조직은 영역에서의 유의한 진보를 알 수 없으며 발전의 기회를 놓칠 수 있음.

② 위험에 대한 조직의 성향(disposition toward risk)

Shapira(1995)는 요구 수준이나 결정 준거가 위험한 혹은 보수적인 조직의 성향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서술함. 조직은 실패와 기회 상실의 횟수 간의 적절한 균형점을 찾을 때까지 성공을 위해 결정 준거와 기준을 조절할 수 있음.

3) 제도적 환경(institutional environments)

제도적 선택 과정은 창의적/습관적 활동 모두를 촉진하고 방해하는 해석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최근 제도적 논쟁은 Levitt과 March(competency trap; 1988), Cohen과 Levinthal(absorptive capacity; 1990)이 제공한 설명으로 통합됨.

4) 시장(markets)

시장 영역 내에서 상품과 서비스의 생존능력으로 결정되는 시장의 선호는 이런 선호를 가장 잘 활용하도록 교육된 경영전략으로부터 추론될 수 있음. 소비자 선호의 더 포괄적인 서술은 Mintzberg(1988)가 제공함. 그는 성공적인 상품과 서비스는 산업 내 다른 상품이나 서비스와 차별화되어야 한다고 주장함. 차별화의 핵심 특성은 가격, 이미지, 디자인, 품질, 지지에 기반할 수 있음. 매우 독창적인 상품이나 서비스는 소비가 시장 내의 타당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부분적으로 큰 장애물과 맞닥뜨릴 수 있음.

4.창의적 활동부터 성공적 혁신까지

창의적 활동을 생성하기 위해 상호작용하는 개인 내적 과정에 더해, 이해관계자(분야)와 영역, 그리고 창의적 활동 간의 상호작용과 창의적 활동의 실행가능성을 결정하는 다양한 분야와 영역 수준 내 그리고 수준 간의 상호작용을 제안함.

창의성과 혁신 연구의 새로운 방식으로 최근 가장 중요하고 잘 알려진 2개의 연구와의 비교

① Woodman과 동료들(1993)은 창의성에 대한 상호작용 모델에서 창의성을 “각 분석 수준에서 반복되는 사람과 상황의 복잡한 상호작용”으로 묘사함. 상황은 개인, 집단, 조직 수준에서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영향”과 “관계적 영향”으로 나눠짐. 그러나 이 연구는 개인과 상황 간 상호작용에서 직/간접적인 경험에 의해 개발된 기대를 개인의 창의적 노력에서 잠재적 제한사항으로 고려했다는 점과 행위자-상황의 상호작용이 하나의 분석수준 내에서 모형화되었다는 것이 제한사항.

② Amabile(1988)의 조직 혁신 모델 역시 개인과 상황의 상호작용에 초점을 둠. 동기, 영역 관련 기술, 창의적 능력이 의도적인 창의적 활동을 일으키기 위해 조직 수준 영역 내에서 상호작용한다고 제안함. Amabile(1988)의 경험적 연구의 상당수는 내적 목표와 기준 간 관계, 외적 목표와 기준 간 관계에 초점을 둠. 창의적 활동에서 개인적 흥미는 창의적 수행과 관련된 외적 보상이나 평가에 주의를 둘 때 줄어들 수 있음. 내적 동기와 개념적으로 유사한 목표 내용, 기대, 정서의 영향을 본 논문에서 다뤘음.

본 연구에서 제안한 이론의 강점은 창의적 활동을 시작할 수 있는 조직 활동자의 의지와 능력에 다양한 영역이 영향을 미치는 것에 상응하는 도식, 목표, 신념에 초점을 둔 질문에 의해 가장 잘 설명된다는 것임.


연구의 한계  

이론을 제안하는 논문이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 제시한 이론적 모델에 대한 경험적 자료가 부족함

실천적 함의  

창의적/순응적 행동을 설명하기 위해 심리학과 사회학적 접근을 통합하여 계획적/진화론적 변화 과정 간 상호작용을 서술함

창의적/습관적 활동 중 선택에 있어 조직에 있는 개인이 직면하는 상황을 집합적으로 나타내는 다양한 사회적 영역을 식별함

연구의 가치  

기존의 모델에서 고려한 창의적 행동에 관련된 주체들과 창의적 행동이 일어나는 각 수준을 통합한 모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음

키워드  

창의적 활동, 사회적 영역, 분석 수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