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Ford, C. M., & Gioia, D. A. (2000). Factors influencing creativity in the domain of managerial decision makingJournal of Management, 26, 705-732.

저자

  • Cameron M. Ford: Professor of Management at University of Central Florida. 새로운 벤처 탄생 과정 중 의사결정과 커뮤니케이션 과정이 어떻게 창의적 비전을 돕는지에 대한 연구 중. [business.ucf.edu]
  • Dennis A. Gioia: Professor of Organizational Behavior at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조직 의사결정에서의 인지과정, 전략적 변화의 노력 중 경영자의 해석 과정, 경영 변화 시도에서 조직 정체성/이미지/경쟁의 역할, 종업원과 경영자 평가 과정에 대한 연구 중

논문성격: 실증연구

연구목적       

창의성 문헌과 전략 형성 및 조직 의사결정 문헌에 기초하여 관리적 의사결정 영역에서 창의성에 대한 실용적인 모델을 경험적으로 검증하고 개발하고자 함

논문구성       

  • 이론적 틀
  • 방법
  • 종속변수
  • 독립변수
  • 통제변수
  • 결과
  • 논의
  • 결론과 향후 연구 방향

연구방법       

1.참여자: 미국 동부에 있는 서로 다른 규모의 회사 51명의 상위 관리자.

2.연구설계: 인터뷰를 통해 최근 내린 3개의 결정을 묘사하게 한 후, 153개의결정을 영역 내에서 독창적이고 가치 있는지의 기준에 따라 2(독창적/독창적이지 않음)*2(가치 있음/가치 없음)로 분류함. 인터뷰가 끝나고 참여자들에게 설문법을 사용.

3.측정

종속변수(창의적 의사결정)

① 참여자가 자신의 의사결정을 독창성/가치 있음의 기준에 따라 직접 분류

② 설문을 통해 의사결정의 독창성/가치 있음에 대해 응답(신뢰도 확보)

③ 관리적 의사결정 영역에 대한 지식이 있는 패널의 분류

독립변수(그림1에 있는 변수): 설문지로 측정. 중요성, 보통의 관점, 창의적 목표, 해결책의 유사성, 신뢰, 결정권, 합리성, 정치성, 유연성, 외부적 영향력, 부적 피드백


연구내용       

본 연구는 2개의 모델을 결합하여 창의적 관리 활동의 발생과 사회적 타당화에 기여하는 요인들의 포괄적인 묘사를 제공하고자 함. 2개의 모델은 다음과 같음; ① 특정 사회 영역에서 창의성을 정의하는 과정을 묘사하는 진화론적 창의성 모델, ② 창의적 관리 의사결정의 목적론적 모델.

1.이론적

1) 창의적 활동에 대한 영역에 기반한 관점

점차 창의성에 대한 사회적, 맥락적 특성들의 영향에 주목하면서 Csikszentmihalyi(1988, 1990)는 창의성이 사람, 영역, 분야의 하위시스템으로 이루어진 특정 맥락 내에 포함된 행동의 묘사를 통해 사회적으로 정의된다는 시스템 이론을 제안함. 창의적 활동은 개인이 영역에 변화를 알리고, 이런 새로운 활동을 영역을 나타내는 문지기(gatekeeper)가 선택하고, 분야에 가치 있는 것으로 보이는 변화가 영역 내에서 합법적인 부분이 되어 다시 사람에게 커뮤니케이션 되는 진화론적 모델로 설명됨. 창의적 활동에 대한 영역에 기반한 관점은 관리적 의사결정 영역에 현실적 창의성 모델을 적용하는데 중요한 통찰을 제공함: ①행동과 결과는 평가의 대상임, ②특정 영역과 유사한 판단은 이런 평가를 함, ③영역은 창의성 평가의 기초를 제공함. 이 모델은 개인 내 과정뿐 아니라 분야의 선택과 유지 과정을 포함하는 창의성을 강조함.

이 관점은 조직에 활용할 수 있는 일반적 창의성 정의에 3가지 중요한 기여를 함: ① 창의성은 분야에 대한 개인 산출물의 가시적인 기여로 나타남, ② 창의성은 타고난 객관적인 질을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분야 멤버들에 의해 이뤄진 행동 결과의 독창성과 가치에 대한 주관적인 판단임, ③창의성 평가는 영역 특수적임.

2) 관리적 의사결정 영역

관리적 의사결정에 대한 연구는 목적론적 과정을 강조함. 관리자의 의도된 의사결정 과정 단계는 이슈 해석과 목표 명확화, 정보 활용, 평가, 해결책 채택/실행의 단계로 구성됨. Alexander(1979)는 대안 생성을 2개의 과정으로 분리함: 존재하는 해결책을 찾는 과정, 이전에 없었던 해결책을 창조하거나 설계하는 과정. 이 둘간의 균형은 문제 정의가 존재하는 대안으로 진화될 수 있을 때와 대안적 생성 단계 동안 평가가 제한될 때 가장 잘 달성될 수 있음.

3) 관리적 의사결정 영역에서의 창의성 모델

영역에 기반한 진화론적 창의성 관점은 창의적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들의 상호작용인 사회적 과정으로 주의를 끔. 이는 관리자가 창의적 선택을 시작하고 도입하는 목적론적 과정을 강조하는 관리적 의사결정 연구에 의해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음. 본 연구의 창의성 모델은 목적론적 관점과 영역에 기반한 관점을 통합한 것임.

이 모델은 관리자의 선택이 이슈 해석, 대안 생성과 각본에 있는 행동, 더 혹은 덜 합리적/정치적/유연적으로 특징 지워질 수 있는 기대를 포함하는 관리적 의사결정의 결과임을 제안함. 개인들은 영역을 가치 있게 정교화하거나 비효과적인 것을 거부함으로써 변화를 선택하거나 유지함. 이런 sense making과정은 추가적인 조직 routines을 제안하는 해석과 기대를 자극함(p. 710 그림1).

4) 활동을 위한 영역과 요구의 커뮤니케이션에서의 feedforward

feedforward 정보는 과제 영역으로 특징 지워지는 진화론적 힘과 관리자에 의해 이뤄지는 의도적 과정 간의 중요한 연결을 나타냄. 관리자는 많은 잠재적 관련 이슈들에 직면하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이런 이슈들은 관리자들이 더 중요하다고 간주한 이슈에 주의를 할당한 결과로 feedforward 정보를 제공함. 중요한 이슈를 다루는 포괄적인 결정 과정은 광범위한 대안과 암묵적 가정의 고려를 불러일으키는 경향이 있음.

가설1: 이슈 중요성은 창의적 관리 결정에 정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5) 관리적 의사결정 영역에서 이슈 해석

Pfeffer(1981)와 Gladstein(1984)은 행동에 대한 유사한 목표와 신념은 더 개방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더 많은 대안의 고려를 이끌 수 있다고 주장함. 반대로 Janis(1972)는 집단 내의 참여자들은 좋지 않은 결정을 생산하는 집단 과정 손실을 겪을 것이라고 제안함. 그러나 현대 관리 업무의 많은 부분이 단기간 과제와 특별집단, cross functional 위원회를 포함하고 동질적이고 유사한 경우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음.

가설2: 공통의 관점은 창의적 관리 결정에 정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하지만 이런 정적 상호작용은 그들이 공통된 해결책이 더 적절하다고 생각하면 관리자 결정의 창의성에 아무런 영향도 없을 수 있음.

가설3: 창의적 의도는 창의적 관리 결정에 정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6) 대안 생성과 각본에 있는 행동

어떤 연구자들은 높은 수준의 전문성, 사전 지식, 문제 영역과의 친숙함이 있어야 창의적 해결책을 개발할 수 있다고 주장함. 그러나 경험적 연구에 기반한 관점은 이미 존재하는 해결책은 찾기 과정을 제한하기 때문에 창의성을 억제하는 경향이 있다고 제안함. 일반적으로 조직에 있는 개인들은 상당히 모호한 상황에서도 친숙하고 각본에 있는 행동에 의지하는 경향이 있음.

가설4: 높은 수준의 해결책 친숙성은 창의적 관리 결정에 부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7)창의적 대안 평가에 영향 미치는 기대

관리자들 집단 내에서 신뢰는 참여자들이 독창적인 대안을 제안하고자 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음. 신뢰는 구성원간 평가 압력을 줄여주고, 정보공유, 문제 정의와 목표의 명확화와 같이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다른 과정을 촉진하기 때문에 창의성을 촉진함.

가설5: 특정 결정에서 관리자 간의 신뢰는 창의적 관리 결정에 정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결정권은 창의적 행동의 강력한 촉진자로서 제안됨. 광범위한 대안의 고려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관리 의사결정 영역에서 결정권은 특히 중요함.

가설6: 결정권은 창의적 관리 결정에 정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8) 의사결정 과정의 일반적 특성

정보 사용과 교환의 본질을 포착하는 변수로 관리자 결정 과정의 합리성, 정치성, 유연성을 제안함. 합리성은 의사결정자가 정보를 분석하고, 대안을 고려하고, 결정하는데 분석적 기법을 사용할 때 나타남. 창의성과 “합리적”과정의 연합은 직관에 반하는 것으로 보일 수 있으나, 합리적 과정은 철저한 잠재적 대안의 목록을 생산하고 모두 준비될 때까지 평가를 지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함.

가설7: 의사결정 합리성은 창의적 관리 결정에 정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결정 과정에서 정치성은 제안된 해결책의 질 보다는 흥미, 선호, 발휘된 영향을 나타냄. 또한 정치성은 고려되는 대안의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중요한 정보를 가지고 있음.

가설8: 높은 정치성은 창의적 관리 결정과 부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관리 결정 과정은 종종 비선형적이고 순환적임. 유연성의 개념은 결정 과정이 다시 고려되는 동안 중간단계 확장을 암시하거나 비범한 아이디어가 제공되도록 하는 것과 같이 현실을 포착하는 것이며, 이런 특성은 창의성과 관련됨.

가설9: 높은 수준의 유연성은 창의적 관리 결정에 정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9) variations introduced

영역이 유발하는 관리자의 해석, 사전 경험, 기대, 결정 과정에 반영된 목적론적 과정에서 중요한 이슈를 언급하고자 함. 일련의 과정들은 관리자가 새로운 산물, 아이디어나 과정을 고려하는 선택의 형태에서 편차가 생기도록 함. 이런 선택은 분야에 의해 주관적으로 평가되며 독창적인 해결책에서 일반적인 해결책의 범위일 수 있음.

10) 선택하기

한번 선택안이 나타나면 분야의 멤버들은 선택안의 가치에 대한 판단을 내림. 이런 판단은 선택안이 분야에 의해 선택될 것인지에 대한 주된 결정요인임. 하지만 영역에 기반한 창의성 관점은 한번 선택안이 분야에 나타나면 외부 사건들(예: 사고, 경영진의 교체, 경쟁자 혁신, restructuring, 파업 등)이 제안된 해결책의 최종 운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제안함. 예측하지 못한 사건들은 통제할 수 없기 때문에 외부적 영향력은 관리자의 결정의 성공적 실행에 영향을 미침.

가설10: 유의한 외부적 영향력은 창의적 관리 결정에 부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11) 유지된 활동의 합법성을 반영하는 피드백

확립된 영역은 그 상태로 도전인 창의적인 대안보다는 이미 알려진 대안에 더 호의적인 피드백을 주는 경향이 있음. 이는 혁신가는 다른 사람들의 반대를 이겨야 함을 보여주는 것임.

가설11: 부적 피드백은 창의적 관리 결정과 정적으로 관련될 것이다.

2.결과

표2(p.721)에 나타난 11개의 독립변수 중 7개의 독립변수가 수용할 수 있는 F값의 기준인 0.10미만임. 다른 정도의 창의성을 생산하는 결정을 유의하게 변별해주는 변수는 다음과 같음: 문제의 중요성, 참여자들간의 공통된 관점, 가능한 해결책의 친숙성, 참여자들간의 신뢰, 결정과정의 유연성, 외부적 영향력, 부적 피드백. 또한 표2의 분석은 2개의 의미 있으며 직교적인 변별되는 상관관계를 보여주는데, 이는 가설화된 관계로 function1은 가치 있는 결정과 비효과적인 결정을 변별해주고 function2는 독창적인 것과 일반적인 결정을 변별해줌.

3.논의

본 연구의 접근법은 창의성이 관리자들간의 상호작용을 수반함을 강조함. 그리고 창의적이지 않은 결정 결과로부터 창의적인 결정을 구별하는 7개의 변수들은 독창성 차원과 3개의 가치 차원으로 나눠지는 4가지 영향력의 배열에 포함됨. 이 결과는 창의성이 다차원적인 현상임을 보여주며, 각 차원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음. 그림3(p. 724)은 관리자의 선택에 대한 독창성과 가치에 차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관리가능/불가능한 힘에 대한 복잡한 상호작용을 나타냄.

4.결론과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는 조직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독립된 영향들의 집합에 의해 영향 받는 독창성과 가치가 느슨하게 결합된 결과임을 제안함. 향후 연구는 더 현실적인 이론적 기술을 나타내는 것뿐 아니라 광범위한 조직 참여자들에 걸친 창의성 intervention의 실제적인 유용성을 증가시켜야 함.


연구의 한계  

독립변수 측정에 사용된 문항의 신뢰도가 높은 편은 아님. 이는 분석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탐색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이는 것일 수 있음.

실천적 함의  

관리자는 사용 가능한 해결책의 독창성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 창의적 기법의 유용성이 marginal하기 때문에 이러한 기법 채택에 조심스러워야 함.

의사결정자 집단은 덜 중요한 상황일지라도 창의적 해결책을 고려하도록 더 동기화되어야 함.

연구의 가치  

조직 내 관리자의 창의적 의사결정에 목적론적, 진화론적 관점의 통합적인 영향을 고려하여 경험적 결과를 제공함.

키워드  

관리 의사 결정, 창의성, 영역에 기반한 관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