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Fuglsang, L., & Sundbo, J. (2005). The organizational innovation system: Three modesJournal of Change Management, 5(3), 329–344.

저자

  • Lars Fuglsang: Roskilde University의 사회과학대 부교수. 연구관심분야는 경영과 사회분야에서 혁신과 기술의 영향을 다루기 위한 조직적 틀의 형성. 과학과 기술 연구, 혁신연구, 서비스 발달과 기술에 대한 책과 논문을 발표하며 관련 분야를 통합. [forskning.ruc.dk]
  • Jon Sundbo: Roskilde University의 Business Administration and Innovation 교수. 주된 관심사는 관리, 전략, 조직 등. 혁신, 서비스 관리와 발달 영역을 연구하였으며 ‘The Organization of Innovation in Services’와 ‘The Theory of Innovation Theory’이라는 책을 발간.

논문성격: 이론 연구

연구목적       

혁신적인 조직을 만들기 위해서는 개개인의 사람들이 혁신적이어야 한다기 보다는 조직자체가 혁신적인 시스템을 마련해야 함.

혁신적인 시스템의 모델로 3가지 양식(mode)을 제안하며, 이러한 시스템이 어떻게 행위자들에게 관심을 끌고 결과적으로 개개인의 행위자를 어떻게 시스템에 통합시키는지 설명.

논문구성       

  • Introduction
  • Organizations as Systems of Innovation
  • Systems Theory as a Framework for Explaining Innovation_Systems Theory in the Social Sciences
  • Systems Theory as a Framework for Explaining Innovation_Agency and Social Systems
  • Three Modes of Innovation
  • A Scheme for the Comparison of the Three Innovation Modes
  • The Three Modes as Interpretations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ystems and Agency
  • Social Competencies

연구방법       

문헌과 이론 개관을 통해 혁신적인 시스템의 기원과 종류, 특징을 밝히고 이러한 시스템이 조직에 사용되었을 때 어떠한 효과를 낼 수 있는지에 대해 명세화.


연구내용       

1.혁신 시스템으로의 조직(organizations as systems of innovation)

목적: 기존의 조직시스템을 파괴하지 않는 수준에서 혁신적인 처리과정(process) 시스템을 어떻게 조직에 자리잡도록 할 것인가?

1) 이러한 연구목적은 Schumpeter의 효율적 변화(economic change)와 유사. 존재하는 기업, 조직의 기존 시스템을 파괴하지 않고, 사회적 시스템으로 진보하고 변화할 수 있는가?

2) 혁신이 조직의 통합을 돕고, 동기화된 행위자(actor)에게 도움이 될 수 있는지는 시스템의 양식(mode)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

3) 연구자들의 접근방식은 진화적 사회이론이라는 전통적인 연구 틀 안에 있음. 진화적 사회이론은 다윈주의와 생태학적 시스템으로 나누어 짐.

<다윈주의>

법칙: ‘survival of the fittest(적자생존)’.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자연적 선택에 의해 주어진 환경에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인 사람들이 남겨짐.

복잡성의 종류: 비조직적 복잡성(개인적인 현상들이 관련)으로 분류됨.

관계: 환경이 다른 시스템의 변화를 결정(환경결정론).

<생태주의>

시스템: 개체나 개인은 관계 속에서 정의되며, 가장 적합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움직이지 않더라도 생존할 수 있음. 중요한 것은 많은 개체와 그들의 활동의 관계가 효과적으로 얽혀있는 지이며 개체들은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서 심지어 새로운 개체들을 만들어내기도 함.

복잡성의 종류: 조직적 복잡성(한 원인이 조직적인 변화를 발생시키며, 여러 대안적 방법들이 마련됨)으로 분류됨.

관계: 시스템의 모든 요소들이 상호작용하고 서로 영향을 주고 받음. 예) 카오스 시스템, 사회과학의 게임이론.

2.혁신을 설명하는 틀로서의 시스템이론(systems theory as a framework for explaining innovation)

2.1. 사회과학에서의 시스템 이론(systems theory in the social sciences)

사회적 시스템: 어떤 역할(roles)이나 위치(positions)로 정의.

사회 시스템의 이론과 행위자에 대한 영향

① 기능주의적 사회학: 시스템 내의 모든 행위는 어떠한 기능을 가지고 있음. 행위자들 사이에 수용된 기능적 차이나 변화들이 시스템의 변화를 발생시킴.

② Luhmann(1995): 기능주의의 변형. 분명한 기능이 없는 요소들도 존재할 수 있음을 인정. 그러나 비기능적인 요소들은 시스템에서 사라지게 되어 있다고 주장.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동기화된 행위자들이 시스템 내의 비기능적인 위치에 있기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는 점을 지적하지 못함. 그러나 ‘사회적 시스템(social system)’과 ‘행위자(actor)’을 구분했다는데 이론적 함의를 지님.

③ Ralph Stacey(2003): 사회적 시스템에는 높은 수준의 결정주의(highest degree of determinism)에서 낮은 수준의 결정주의(lowest degree of determinism)까지 범위가 있다고 제안. 그리고 이러한 결정론(determinism)의 수준을 결정하는 핵심 키는 복잡성(complexity)이라고 주장. 즉, 높은 수준의 복잡성을 가진 열린 시스템에서는 낮은 결정론을 지니며 복잡성이 낮은 시스템에서는 높은 결정론이 지배한다고 설명.

높은 결정론(determinism)적 시스템: 행위자들이 해야 하는 일의 절차가 매우 정확하고 분명하게 정해져 있으며, 이 특정한 방식에 따라 일에 접근하도록 하는 시스템을 일컬음.

본 연구에서는 Stacey의 시스템 접근법을 사용하여 agency(행위자)와 시스템 사이의 관계 종류를 명세화 하고자 함.

2.2. 행위자와 사회적 시스템(agency and social systems)

2016-11-12-044639

Stacey는 인공지능 계획(cybernetic planning)을 닫힌 시스템 전략을 대표하는 기준으로 사용.

① 기계적 아날로그(machine analogue): 인공지능 시스템보다 더욱 획일적이고 분명한 처리 방식을 가지고 있음.

② 인공지능 시스템: 일정한 기능과 법칙에 의해 움직이는 고리를 가진 닫힌 시스템. 그러나 기계적 아날로그(machine analogue)에 비해 많은 고리를 가진 복잡한 시스템임.

③ 합리적 전략 선택(rational strategic choice): 행위자가 취한 행동을 알면 그에 따른 결과를 예측할 수 있음. 정해진 방법을 언제나 따르는 것은 아니며 자신의 해석에 따라 합리적 선택을 할 수 있음. 그러나 선택의 대안이 대부분 결정되어 있기 때문에 결과들이 예측가능 함.

④ 열린 학습(open learning): 과거 행동에 대한 분석으로도 결과에 대한 예측은 어렵지만, 과거 행동을 통해 처리 절차에 대해 학습할 수 있음.

⑤ 자기 조직화(self-organizing 또는 complex autopoiesis): 일정한 법칙이 존재. 환경 변화에 열린 시스템은 아니지만 환경과의 교섭을 통해 시스템이 변화하여 적응할 수 있으며 환경과 행위자들의 복잡한 상호과정을 통해, 열린 학습보다 결과들이 덜 결정론적임.

⑥ 발산적 혼돈(dissipative chaos): 선형적이거나 결정론적인 것은 없지만 어떠한 패턴이 반복되는 것을 볼 수 있음.

⑦ 상호작용 처리(process interactive): 인간들의 복잡한 상호과정을 통해 결과들이 예측할 수 없게 진행됨. 그러나 인간들에게는 성격 특성이나, 경향성이 존재하기 때문에 무질서보다는 결정론적이라고 볼 수 있음.

⑧ 무질서(anarchy): 어떠한 패턴도 존재하지 않는 무질서한 상태.

저자들은 위의 분류 틀을 가지고 세 가지 유형의 혁신을 명세화하고 분류함. 혁신에는 많은 종류의 이론들이 있지만 Sundbo(1998)의 분석에 따라 크게 세 가지 유형으로 나뉨. 1)기술-경제 관점(technology-economic perspective), 2) 경영자의 관점(entrepreneur perspective), 3) 전략적 관점(strategic perspective). 이러한 관점은 행위자에 따라 혼합된 관점으로 사용될 수도 있음. 이러한 관점이 모든 혁신에 대해 설명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설명을 제공하며 실제와 이론에서 널리 공유되어 있는 관점임.

저자들은 미래 연구에서 이러한 세 가지 관점들을 경쟁시키고 어떠한 관점이 다른 두 가지에 비해 잘 사용되는지 검증해볼 것임. 그러나 그러기 위해서는 이 세가지 관점이 겹치지 않는 독립적인 개념이라는 것이 선행적으로 검증되어야 함.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 부분에 중점을 두고 이론적으로 분석함.

3.혁신의 가지 유형(three modes of innovation)

상술한 세 가지 관점을 혁신 유형1(경영자 관점), 2(기술-경제 관점), 3(전략적 관점)으로 구분. 세 가지 유형의 특성을 정리 비교하는 분석 도구로 Parsons(1951)의 AGIL이라는 분석 틀을 사용. 이는 사회집단에서 사회적 유대(glue)를 설명.

AGIL: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잠재적 가치인 Adaptive mechanism(적응성), Goal orientation mechanism(목표지향성), Integrative mechanism(통합성), Latent structure maintenance(잠재적 구조유지) 등

Parsons는 이러한 분석 틀을 자신의 기능주의적 시스템 이론 안에서 사용했지만 시스템 내의 모든 요소들이 기능적인 것이 아니며 시스템과 행위자 사이의 구분이 필요하다는 점, 즉, 행위자와 시스템이 두 가지 다른 것이며 시스템의 방식으로 모든 활동들이 조절된다고 하더라도 행위와 행위자는 사회적 시스템에 의해 결정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을 을 Parsons도 인정.

이러한 기능주의의 한계 때문에 많은 사회학자들이 시스템적 관점을 포기했지만, 일부의 사람들은 수정을 통해 후기 기능주의(neo-functionalism)가 발생하면서, Parsons의 AGIL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법칙이라기 보다는 시스템을 분석하는 틀로 자리잡음. 즉, 시스템 내에 AGIL의 요소들이 항상 존재한다기 보다는 하나 혹은 여러 개의 요소를 통해 시스템 내 관계에서의 행위를 설명하게 됨.

저자들은 여기에C(creativity)라는 요소를 추가하여 CAGIL을 만들고 이 틀로 세 가지 유형의 혁신 관점을 분류.

4.세 가지 혁신유형의 비교도식(a scheme for the comparison of the three innovation modes)

유형1: 경영자의 독립성, 창의성에 의해 혁신이 발생함. 경영자가 시스템을 세우고 변화를 만들어 내는 사람임. 경영자의 성격 특성이나 카리스마에 의해 메커니즘이 통합됨.

유형2: 환경 변화에 시스템이 적응하기 위해 변할 때 혁신이 발생함. 사회적 시스템은 조직의 계층에 의해 구조화되지만, 경영자의 가장적인 리더십으로 사회화가 발생하기도 함.

유형3: 혁신은 전체 조직에 의해 발생함. 조직의 경쟁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대안들이 매우 많기 때문에 앞으로의 일을 예측하기 매우 어려움. 단기적 관점에서 보면 환경적인 변화와 영향에 조직이 적응하기 위해 시도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시간이 지나면 환경적인 변화에 투입할 수 있는 새로운 투입요인이나 가능성을 모색해 곧 환경에 영향을 끼침. 그러나 미래에 대한 예측이 어렵고 실패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전략이 성공적인지, 상황이 어떠한지 분석하고 판단하는 과정이 수반되어야 함.

2016-11-12-044715

5.사회적 시스템과 행위자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가지 유형(the three modes as interpretations of the relation between social systems and agency)

유형1: 경영자는 규칙을 깨고 사회적 시스템에 새로운 관계를 정립하는데 이것은 모든 결정적 시스템이 잠재적으로 깨어질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의미. 경영자에게 법칙은 존재하지 않으며 심리적인 변인에 의해 움직이므로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것은 Stacey의 척도에서 가장 오른쪽에 존재하는 무질서에 해당. 그러나 경영자 개인의 성격 특성은 안정적인 특성으로 볼 수 있으며 완전히 free하게 움직이는 것은 아니라는 연구(Drucker, 1985; Pinchot, 1985)는 유형1이 상호작용 처리에 해당될 수 있음을 시사.

유형2: 계획된 시스템을 대표하는 유형이지만 전략적 지식과 경험은 조직 내 역할을 수행. 따라서 척도 상에서 합리적 전략선택 유형에 해당. 그러나 최근의 연구(e.g. Nonaka & Takeuchi, 1995)에 의하면 혁신적인 처리는 불확실한 과정이며 기업들이 더 열려 있고 학습 중심적인 메커니즘을 지닐 수 있음을 주장.

유형3: 변화는 조직 내의 많은 상호작용을 근간으로 한 과정. 따라서 유형 3은 상호작용 처리에 해당. 그러나 유형2에 비해 변화가 더욱 복잡하며, 약결합(loosely-coupled) 구조라는 점은 척도상에서 복잡한 자기생성(complex autopoiesis)에 놓일 수도 있음을 시사.

2016-11-12-044807

6.사회적 능력(social competencies)

세 가지 유형의 시스템 내에 있는 행위자(actor)가 지닐 수 있는 능력을 분류.

  • 행위(action): 행위자가 행동하는 양식
  • 역할(role): 개인의 기능
  • 지식(knowledge): 가장 관련 깊은 지식 유형
  • 태도(attitude): 변화과정에 대한 전반적인 태도가 평가기준

2016-11-12-045325


연구의 한계  

여러 가지 이론을 저자들의 식견에 따라 선택적으로 분류하고 있으므로 객관적인 검증이 필요

실천적 함의  

실제 기업에 적용한 경우, 현재 기업이나 조직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특정 유형, 혹은 유형의 조합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함

연구의 가치  

경영자나 관리자들에게 자신의 회사의 혁신을 관리 할 수 있는 모델을 제공

키워드       

혁신, 조직,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