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rron, F., & Harrington, D. M. (1981). Creativity, intelligence, and personality. Annual Review, 32, 439-476. 원문보기
저자
- Frank Barron: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esalen.org]
- David M. Harrington: Department of Psych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논문성격: 이론 리뷰
연구목적
지난 15년간의 창의성과 지능, 창의성과 성격에 관한 연구 리뷰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논문구성
- Introduction
- Creativity and intelligence
- Creativity and personality
- Thought disorder and creativity
- Psychobiography, psychohistory, and the life-span perspective
연구방법
창의성과 지능, 창의성과 성격과 관련된 이슈와 연구들을 리뷰
연구내용
본 연구는 이론적 연구보다 경험적 연구를 중심으로 리뷰 했고, 능력에 기초한 기준보다는 성취에 기초한 기준에 관해서 연구
1.창의성과 지능(Creativity and Intelligence)
지능의 의미
IQ 검사 점수
인간의 인지적 능력의 다양한 요소 영역 전체(예: 확산적 사고 능력과 같은 창의성 관련 요소)
여러 상황에서 관찰한 후 양질의(예: 선생님, 친구) 관찰자가 지능이라고 묘사하는 것
지능의 모델의 과거와 현재(Model of Intellect Old and New)
Structure-of-Intellect(SI) model: Guilford가 제안한 SI 모델은 기술적과 개념적 기초에 대해서 비판이 증가하고 있으나(요인 구조가 직교적(orthogonal)이라는 주장), SI는 새로운 검사 개발을 자극하였음
Catell’s model: 이 모델은 500개의 하위 능력 포함, 이에 관한 연구 결과 창의적 성취 지표와 폭넓은 다양성 요소간에 중간 정도 상관 있었음, 1971년 Cattell의 책 13장은 창의성 연구에 있어 중요(이 시점에 Catell의 지능 모델과 성취에 기초한 창의성 간의 연결이 이론화됨)
차이 인지 심리학(differential cognitive psychology)의 대두: 차이 인지 심리학은 창의성의 인지적 기초를 포함한 다양한 미래 연구 가능성 지님, 예를 들어 이 접근법을 사용해서 Caroll은 확산적 사고 능력을 기저에 있는 정보 처리 요소에 근거해서 구분
창의성과 지능의 전통적 측정
창의적 예술가, 과학자, 수학자, 작가 등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에서는 이들이 일반적 지능에서 높은 점수를 받는다는 것 발견 하였음(상관 관계는 정적일 때도 있고, 부적일 때도 있었음)
다른 연구에서 전문적이지 않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했을 때는 창의성과 지능 간의 상관이 낮거나 부적이었음(즉, 지능이 높더라도 창의성이 높아지는 것은 아님)
종종 창의성과 지능이 곡선 관계(지능이 매우 높은 수준으로 가면 영향을 미침)라고 제안되었으나 이에 대한 연구 적음
창의성과 평가 또는 지각된 지능(Creativity and Rated or Perceived Intelligence)
비록 창의성과 지능의 상관이 발견되지 않았지만(때론 상관이 없고, 때론 상관이 높음) 창의적인 사람은 덜 창의적인 사람들보다 더 지능이 높은 것으로 지각 또는 평가되었음
이 결과는 사람들이 사용하는 지능이 표준 지능 검사 보다 폭이 넓다는 것을 의미 할 수 있고, 상관 값의 범위가 넓은 것은 어떠한 지능이 효과적인 것이고 사회에 영향을 주는 행동으로 전환 될지에 영향을 주는 성격 특징과 과정이 존재한다는 것을 반영
예: 성공을 하게 만드는 요소가 다양한 형태의 효과적 행동을 촉진 할 수 있음, 그래서 효과적 창의성과 효과적 지능 간의 상관이 미숙한 창의성과 미숙한 지능간의 상관 보다 높음
창의성과 확산적 사고 능력(Creativity and Divergent Thinking Abilities)
1) 확산적 사고 능력 검사의 타당성에 관한 의문(확산적 사고 측정이 실제로 창의성을 포함하는가?)
70개의 연구를 리뷰한 결과 확산적 사고 점수와 창의적 행동과 성취 간의 정적인 관계 발견되었음, 이외에 다양한 연구에서 확산적 사고 능력 검사와 창의성 간의 관계 발견되었음
이러한 타당성이 증명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확산적 사고 검사는 종종 창의적 성취나 행동과 관계가 없다는 결과 보고 되었음, 이러한 결과는 필드에 따라서 요구되는 확산적 사고 검사가 다를 수 있기 때문
확산적 사고 검사가 지능을 넘어서 창의성과 관련 있는가에 관한 의문을 가질 수 있음, 적어도 몇몇 연구는 지능을 넘어서 창의성 지표와 관계 보고 했음
2) 채점, 지시, 검사 실시에 관한 의문(최적의 지시와 검사 조건은 무엇인가?)
지시(instruction)에 창의적이게(be creative)라는 문구가 들어 갈 때 창의성 지표와의 상관성 높아짐
3) 확산적 사고 능력과 전통적 지능 측정: 확산적 사고 능력과 지능의 관계는 DT 검사의 본질, 표본(sample)의 이질성(heterogeneity), 검사 상황의 본질에 따라 매우 폭 넓으나, 평균적으로 약한 정적 상관(+.3)이 있음
창의성과 다른 특별한 능력(Creativity and Other Special Abilities)
1) 연합 능력(Associational Abilities): 창의성은 연합 능력(다수의 일반적이지 않은 연합을 형성하는 능력)을 포함함, 그로 인해서 창의성과 연합 능력의 관계 점검한 연구 많음
저자는 이에 관한 리뷰는 다른 상세한 리뷰 논문들을 참고할 것 권함
연구 결과들에서 일반적이지 않은 연합은 창의성 평정과 정적으로 관계 있다는 것 발견됨
2) 사고의 더욱 근본적인 방식으로의 접근(Access to more Primitive Modes of Thought): 이 주제에 관한 연구는 지난 15년간 무수히 이루어 졌고, 그러한 연구들을 통해서 창의성과 관련된 새로운 척도들이 개발되었음(예: Ego(RISE) 척도, Ego-Permissiveness 척도)
3) 유추와 은유 능력(Analogical and Metaphorical Abilities): 유추와 은유 능력과 창의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들을 통해서 다양한 검사 개발 되었음(예: Barron’s Symbol Equivalent Test, Kogan’s Metaphoric Triads Task 등)
4) 상상 능력(Imagery Abilities): 인지 심리와 새로운 학술지(Journal of Mental Imagery)의 생성과 함께 이 분야 발달, 자세한 내용은 다른 리뷰 논문들 참고
5) 문제 발견 능력(Problem Finding Abilities): 이 주제는 새롭게 생겨난 주제로 이 능력은 창의적 행동의 중요한 측면임으로 미래 연구가 필요
2.창의성과 성격(Creativity and Personality)
다양한 영역에서 연구의 확산(A Proliferation of Studies in Many Fields)
성격 특징과 창의적 성취나 행동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많은 영역과 다양한 나이를 대상으로 이루어짐
1) 미술(Art): 성격과 예술 능력에 대한 연구는 미취학 아동으로부터 전문적 예술가에 이르기 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짐, 또한 건축 창의성에 관한 연구도 학생들과 전문적 건축가를 대상으로 이루어 졌음
2) 문학(Literature): 성격 특징과 창의적 글쓰기 간의 관계도 초등 학생에서 전문적 작가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짐
3) 음악(Music): 창의적 음악가의 성격 특징에 관한 연구가 인도에서 있었고, 음대생에 관한 연구에서 성격은 작곡 점수와 관계가 있었음
4) 과학과 기술(Science and Technology): 성격과 과학적 성취와 창의성 사이의 관계에 관한 연구는 초등학생에서 대학원생까지를 대상으로 다양하게 이루어졌고, 심리학자, 발명가, 수학자, 화학자 및 기술자 등을 대상으로 이루어짐
5) 다양한 영역(Multiple Domain): 성격과 전반적 또는 다양한 영역의 창의적 성취, 활동, 평판 지표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가 초등학생에서 교수들까지를 대상으로 이루어짐
중심 특징의 출현(The Emergence of Core Characteristics)
1) 다양한 영역에서 창의성과 관련 있다고 밝혀진 핵심 특징들: 경험의 심미적 질에 높은 가치를 두는 것, 폭넓은 관심, 복잡성에 관해 매력 느끼는 것, 에너지가 넘치는 것, 판단의 독립성, 자율성, 직관, 자기 확신, 모순을 해결하는 능력 등
2) 이러한 발견들을 통해서 형용사 항목에 체크하는 성격 척도들이 개발됨(예: Gough의 형용사 체크 목록(Adjective Check List), 혼합 창의적 성격 척도(Composite Creative Personality Scale))
이 척도들에 포함된 형용사 예: 활동적, 주장적, 예술적, 복잡한, 확신 있는, 호기심 많은, 지적인, 민감한 등(454페이지 참고)
이 척도들에는 너무 많은 형용사가 포함되어서 명료하지 않고, 의식적으로 속이려는 시도에 약함
3) 중심 특징들의 출현으로 인해서 합리적이고 귀납적인 것에 기초한 성격 척도들이 개발됨(예: 아동을 위한 Schaefer 척도, 청소년과 어른을 위한 Torrance와 Khatena 의 척도)
4) 지속적인 관계의 발견에 영향을 받아서 창의성 공식이 개발됨(예: Catell의 16 PF)
이 척도는 전반적인 창의성 성격 지표이지만, 특정 창의성 유형과 상황에 따라 어떤 것에 더 가중 두어야 할지에 관한 연구 필요
나이와 분야 관련 차이에 관한 관심의 증가(Increased Attention to Age- and Field-Related Differences)
1) 나이(Age): 나이에 따라서 창의성 척도와의 관계 다르게 나타남(예: Parloff의 연구에서 청소년들은 창의적 성취 지표와 정적인 관계를 보였지만, 어른 들은 부적인 관계를 보임)
연구들에서 발달 과정에 관해서 고려할 필요 있음
2)창의성의 분야(Field of Creativity)
창의성 연구의 증가와 함께 특징의 영역 특이성이 창의성과 관련된다는 것 명백해짐(예: 창의적인 과학자들은 일반인들보다 정서적으로 안정적이고, 모험적인 반면에 창의적 미술가나 작가들은 일반인들보다 덜 안정적이고, 덜 모험적이었음)
영역간의 차이와 함께 영역 내 구분도 필요함(예: 순수 미술가 vs. 응용 미술가)
남성과 여성의 창의성(Creativity in Men and Women: A New Focus on Sex-Related Differences)
1) 창의적 여성에 관한 연구(Studies of Creative Women): 창의적 여성에 관한 연구는 미술, 문학, 과학, 수학, 심리학, 초등학교 교사 등에서 이루어짐
2) 성 차이의 두 가지 유형(Two Types of Sex Differences): 성 차이에 관한 연구는 평균차이와 상관차이 두 가지로 나누어 질 수 있음
평균차이: 연구자들이 성차를 분석에 포함하는 것이 증가하면서 수많은 연구들이 진행됨, 자세한 내용은 Kogan(1974), Forisha(1978b) 등 참고
상관차이: 창의적 작업 스타일, 미술 성취와 지위와 성격 간의 관계, 상상과 창의적 지표와의 관계 등에서 남성과 여성이 다른 패턴을 보이고 이에 관해서 연구자들이 관심을 가짐으로써 연구자들의 분석방법 더욱 정교해 지고 있음
3) 심리적 여성성, 남성성 및 양성성(Psychological Femininity, Masculinity, and Androgyny): 이 주제에 관한 연구는 짧게 요약 할 수는 없지만 심리적 여성성, 남성성, 양성성은 때로는 창의성 성취, 능력, 자기 개념 지표와 정적인 관계가 있었고 다른 때는 부적인 관계가 있었음
이 분야에 관해서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단언적으로 말 할 수는 없음
새로운 성격 측정의 발달(Development of New Measure of Personality)
앞서 언급한 성격 척도 외에도 여러 가지 새로운 창의성과 관련된 성격 측정들이 소개됨(예: Helson의 수학자 Q-set과 작가 Q-set, Kirton의 적용-혁신 목록(adaption-innovation inventory), Taylor의 창의적 행동 경향 척도(creative behavior disposition scale) 등)
성격을 과정과 생산에 연결하려는 새로운 시도들(New Efforts to Link Personality to Process and Product)
1) Helson(1973, 1977-78)은 작가 Q-set를 어린이 책의 특징과 관련 지어 연구했고, 성격 특징을 작가의 작품 특징과 관련 지어서 연구
2) Dudek 와 Hall(1978-79)은 건축물의 유형과 건축가의 성격 유형간의 관계 연구
3.사고 장애와 창의성(Thought Disorder and Creativity)
1) 사고 장애자들은 확산적 사고와 독창성 등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이들은 앞서 언급한 창의적인 사람의 중심 특징과는 차이가 있음
2) 알코올의 사용은 금기를 느슨하게 하고, 부적절한 연합을 증가시키고, 우주적 사고를 하게 하는 것을 통해서 특정 유형의 창의적 행동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이나 알코올을 지속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그 기능을 저하시키는 효과 지님
3) 약물의 사용도 창의성과 관련될 것이라고 제안 되었으나 장기적인 관점에서는 영향이 거의 없음,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영향을 줄 수 있으나 그에 대해서 측정하기 어려움
4) 확산적 사고와 관련된 사고 장애가 유전적인 것이라면, 확산적 사고도 유전적인가에 관한 의문 지닐 수 있음
언어 확산적 사고 능력이 유사한 쌍생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접합적 구조 효과(zygosity effects)가 발견되지는 않았음
그러나 이 주제에 관해서 설계를 더 정교하게 한 연구 필요
4.성격 분석적 전기, 역사 심리학과 생애 관점(Psychobiography, Psychohistory, and the Life-Span Perspective)
1) 1960년대 이후 전기적 정보가 창의적 성취를 예상한다는 것이 알려지면서 이에 관한 연구 활발히 이루어짐
2) 일부 연구자들은 창의성의 심리의 근본적 질문이 발달적이고 종단적 관점에서만 접근 될 수 있다고 주장
3) 이와 관련된 몇 가지 도구들이 개발됨(예: Alpha Biographical Inventory, Biographical Inventory)
4) 앞으로 문화간(cross-cultural) 세대간(cross-generation) 효과가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살펴보는 것도 필요
연구의 한계
주제에 포함된 수많은 하위 주제들에 관해 리뷰 했기 때문에 각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이나 결과들에 관해서는 알 수 없음, 자세한 내용에 관해서 알기 위해서는 인용 논문을 찾아서 읽어볼 필요 있음
실천적 함의
본 논문이 각 연구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진 않지만, 연구 주제에 관해서 간략히 언급하기 때문에 연구자나 현장에서 창의성에 관해서 다루는 사람들은 본 논문을 내용에 기초 자신에게 필요한 논문 목록을 형성하고, 그 내용을 참고 할 수 있음
연구의 가치
창의성, 지능, 성격에 관해 지난 15년간 이루어짐 연구들에 관한 리뷰를 통해서 지난 15년 간의 연구 동향에 관해서 알 수 있도록 도움을 줌
아직 연구되지 않은 새로운 분야에 관해서 제안함으로 미래 연구를 촉발시킴
키워드
창의성, 리뷰 논문, 지능,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