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nstein, Cass R., and Reid Hastie. Wiser: Getting beyond groupthink to make groups smarter. Harvard Business Press, December 23, 2014.

자료_ppt 85p [김예영 요약]


[목차]

서론: 똑똑한 사람이 왜 조직에서는 침묵하는가

1부. 조직은 어떻게 함정에 빠지는가

01 왜 논의를 거듭할수록 미궁에 빠져드는가 
‘좋은 게 좋은 거다’라는 함정
통계적 집단 대 논의 집단
자발적 침묵의 두 가지 원인
의견을 말하기 전 머릿속으로 계산하는 것들
스스로 미리 걸러내는 정보들

02 개인은 실수하고, 조직은 확대시킨다
편견과 오류의 늪에 빠지는 이유
오류는 더 큰 오류로 이어진다
개인보다 더 편향적인 집단의 생각

03 폭포효과: 첫 번째 의견이 가져온 비극 
긍정은 부풀고 부정은 사그라든다
옆 사람의 의견이 당신에게 미치는 영향
‘이하 동문’을 파괴하라
상대를 존중하는 사람이 조직을 망친다
왜 모조리 ‘허니버터’를 달게 됐는가

04 집단 극단화: 회의가 끝나면 균형이 무너진다 
더 모험을 하는 사람들, 더 지키려는 사람들
논의할수록 더 커지는 극단화 현상
집단은 어떻게 극단화되는가?
긴밀한 투자자 클럽일수록 거액을 잃는다

05 왜 아는 것을 전부 말하지 않는가 
공유되지 않은 정보는 쓰레기와 같다
조직이 클수록 쉽게 멍청해진다
어째서 숨겨진 정보는 계속 숨어 있는가

2부. 똑똑한 조직은 어떻게 행동하는가

06 조직이 성공하는 여덟 가지 방법 
리더의 호기심과 과묵함
비판적 사고 ‘점화’하기
집단의 성공에 따른 보상
숨겨진 정보를 캐내는 ‘역할 지정’
단순하지만 확실한 ‘관점 변경’
자발적 침묵을 깨트리는 ‘악마의 변호인’
최악으로 최고를 만드는 ‘레드팀 구성’
익명으로 편향에 맞서는 ‘델파이 기법’

07 똑똑한 조직은 어떻게 논의하는가 
식별과 선택이라는 필수 단계
식별과 선택을 구분하는 방법
편향을 줄이는 두 단계의 의사결정
‘체계적 데이터 수집’이 답이다

08 대중은 어떤 경우에 현명해지는가 
다수결이 옳을 때와 그를 때
1%의 실수가 100%를 망친다
평균값을 이용해야 할 상황

09 ‘전문가’는 예언가가 아니다 
때로는 전문가보다 대중이 더 똑똑하다
최고의 전문가보다 다수의 전문가가 낫다

10 완벽한 결정을 이끄는 토너먼트 설계법 
최고의 혁신 토너먼트: 넷플릭스 알고리즘
가장 효과적인 토너먼트 설계법
공공 조직을 위한 토너먼트 설계법

11 숨은 정보까지 끌어내는 예측시장 활용법 
산재된 정보를 어떻게 통합할 것인가
조직에 ‘베팅’하게 하라
성공적인 예측시장의 사례

12 외부에 산재된 정보를 수집하는 법 
의견 수렴만으로도 가치 있다

13 훌륭한 조직원들은 톱니바퀴처럼 움직인다 
평범한 동료를 스타로 만드는 ‘팀 플레이어’
성격으로 능력을 판단하지 말자

결론: 우리 모두를 합친 것보다 똑똑한 천재는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