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은호, 박주언, 채정호, 박영민, & 최삼욱. (2008). 긍정심리학의 생물학적 배경. 스트레스硏究, 16(3), 281-285.
원문보기
[주요내용] 박옥룡 등 정리
주관적인 웰빙상태는 안정적인 PA(긍정적 정서; Positive Affect) 특성의 상태를, 외향성의 성격은 높은 수준의 PA 상태로 제시
PA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기전에 대해 대뇌 신피질 보다는 변연계를 포함하는 하부 구조가 긍정적 정서의 경험에 중요
NEO-PI(신경성, 외향성, 개방성, 수용성, 성실성) 중 특히 외향성과 긍정적 정서의 상관관계가 높음
- 신경성(neuroticism), 외향성(extraversion), 개방성(openness to experience), 수용성(agreeableness), 성실성(conscientiousness)
- Costa, Paul T., and Robert R. McCrea.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 (neo pi-r)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1992.
- Costa, Paul T., and Robert R. McCrae. “Neo PI-R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396 (1992): 653-65.
주관적 웰빙은 유전적 소인에 직접적으로 관련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