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rnberg, R. J., & Lubart, T. I. (1996). Investing in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51, 677-688.
저자
- Robert J. Sternberg: Dean of Arts and Sciences at Tufts University. 이 논문 쓸 당시에는 Professor of Psychology and Education at Yale University. 지능, 창의성, 사고방식, 리더십에 대한 연구. [wikipedia]
- Todd I. Lubart: Professor of Psychology at Université Rene Descartes (Paris5). 창의성, 정서에 대한 연구
논문성격: 이론 리뷰
연구목적
창의성 연구의 잠재적 가치를 알리고, 연구 주제를 선정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오류에 민감해지도록 하고자 함
논문구성
- 창의성: 연구 가치 있는 주제
- 간과된 연구주제인 창의성
- 창의성 연구의 신비주의적 기원
- 창의성에 대한 실용주의적 접근
- 창의성에 대한 초기 비주류적 접근
- 창의성 정의와 관찰에서의 문제점
- 평범한 과정에서의 비범한 결과로서의 창의성
- 창의성에 대한 단일학문적 관점
- 창의성 연구에 대한 통합적 접근
- 결론
연구방법
창의성 연구의 접근법에 대한 리뷰
연구내용
1.연구의 가치가 있는 주제로서의 창의성
창의성은 독창적이고(novel) 적절한(appropriate) 것을 생산하는 능력임. 창의성은 여러 과업영역의 개인적, 사회적 수준 모두에서 넒은 범위에 걸쳐 중요한 주제임
2.간과된 연구주제인 창의성
Guilford(1950)는 APA(미국심리학회) 연설에서 중요하지만 관심이 적은 주제로 창의성을 언급했으며, 1950년까지 Psychological Abstract 참여자의 2/10미만이 창의성을 연구했다고 보고. 저자가 1975년부터 1994년까지 Psychological Abstract 논문 인덱스를 분석한 결과 약 절반이 창의성을 다뤘음
지능은 창의성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많은 주의를 받고 있는데, 구성개념에 대한 심리학적 중요성 측면에서 창의성은 최소한 지능만큼의 중요성을 가짐. 실제로 세상은 변하고 있고 우리 삶에서 창의성의 중요성은 점차 증가하고 있음. 특히 사고를 필요로 하는 모든 직업에서 성공의 중요한 요소임
사회적으로 창의성이 중요함에도 전통적으로 심리학에서 관심을 받지 못한 이유를 아래에서 기존의 6가지 접근법을 통해 논의함
3.창의성에 대한 기존 접근법
1) 신비주의적 접근
초기 연구자들은 신적인 개입(divine intervention)의 관점에서 창의적인 사람을 신이 영감을 채워준 것이라 보고, 이들이 영감 받은 아이디어를 쏟아내어 초자연적인 산출물을 만든다고 생각했음. 그러나 신비주의적 관점은 과학적 연구를 어렵게 함
2) 실용주의적 접근
실용주의적 접근을 취한 사람들은 우선 창의성을 개발하고 후에 이를 이해하고자 했으나 그들의 생각에 대한 타당도 검증은 거의 없음
Edward De Bono는 2가지 도구를 사용했음: ① PMI-생각을 더하고, 빼는데 초점을 둠, ② 생각하는 모자-서로 다른 색의 모자가 다른 생각의 방식 의미
Osborn(1953) 은 브래인스토밍 기법을 개발하여 건설적인 분위기에서 가능한 많은 대안을 찾음으로써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함
Gordon(1961) 은 시넥틱스 기법으로 창의적 사고를 자극하고자 했음
위의 방식들은 유용할 수 있으나 심리학적 이론의 기초와 경험적인 타당화가 부족함
3) 심리분석적 접근
20세기 초반 심리분석적 접근은 창의성이 의식하고 있는 현실과 무의식적 동기간 긴장에서 나타난다고 봄. Freud는 예술가들이 무의식적 소망을 공식적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는 방식으로 표현한 것이라 제안함. 심리분석적 접근에서는 두 단계를 언급함.
첫 번째 단계는 적응적 회귀(adaptive regression)로 의식적으로 창의적 생각을 자극할 수 있는 조절되지 않은 생각을 강요하는 것임.
두 번째 단계인 정교화(elaboration)로 현실에 기반하고 자아(ego)가 통제된 생각을 통해 앞의 과정을 재생하고 변형하는 것임
4) 심리측정적 접근
역사적으로 창의성 연구는 천재의 개념에서 출발하였으나 아인슈타인같이 고도로 창의적인 사람들은 드문데다가 실험실에서 연구하기 어려움
Guilford(1950)는 APA 연설에서 심리측정적 접근(다른 사용법 검사-일상적인 물건의 사용법을 최대한 생각하게 하는 검사)을 이용하여 일상적인 사람들에게서 창의성을 연구할 수 있다고 제안함. 많은 학자들이 이 관점을 수용하여 확산적 사고 과제는 창의적 사고를 측정하는 주요 도구가 됨
Torrance(1974) 는 확산적 사고화 다른 문제해결 기술에 대한 언어와 도형과제를 포함하는 창의적 사고에 대한 Torrance검사를 개발함. 검사는 유창성(fluency), 유연성(flexibility), 독창성(originality), 정교성(elaboration)으로 점수화 됨
심리측정적 접근의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① 긍정적 측면:
- 간편하고, 다루기 쉽고, 객관적인 점수화가 가능한 측정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연구를 촉진함,
- 일상적인 사람들을 다룸
② 부정적 측면:
- 간단한 지필검사는 창의성 측정에 부적합함(그림, 글쓰기, vocational-avocationl accomplishment 검사가 더 유의미하다고 제안)
- 유창성, 유연성, 독창성, 정교성 점수는 창의성 개념을 포착하지 못함(창의성의 정의와 준거는 여전히 논란중임)
- 일반적인 사람들의 창의성으로 비범한 사람들의 창의성을 알 수 있다는 가정은 적절하지 않음
5) 인지적 접근
인지 분야에서 창의성은 지능 연구에 속해있었으나, Wallach & Kogan(1965) 은 이 둘을 별개의 실체로 봐야 함을 주장함
Weisberg(1993) 는 창의성이 본질적으로 일반적인 인지 과정에서 독창적인 산출물을 내는 것이라 제안하였으며, 통찰력은 이미 기억에 저장된 지식을 참여자의 틀에 박힌 인지적 과정의 사용에 따라 달라짐을 보이고자 했음
일련의 인지적 연구는 창의성이 일반적인 사고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심리학의 기초임을 제안했으나, 창의성이 다른 현상에서 유도된 것이어서 창의성 자체에는 관심을 둘 필요가 없다는 결론을 내림
창의성에 대한 인지적 접근은 창의적 생각의 기저에 있는 정신적 표상과 처리과정을 이해하고자 함
Finke와 동료들은 창의적 생각에 2개의 처리과정이 있다는 Geneplore 모델을 제안함: a)생산과정(generative phase): 창의적 발견을 촉진하는 특성을 가진 구조로써의 정신적 표상을 구성함, b)탐구과정(exploratory phase)-창의적 생각을 제안하는데 사용되는 특성들이 사용됨
인지적 접근 연구들은 성격과 사회 시스템을 경시하는 경향이 있음
6) 사회-성격적 접근
사회-성격적 접근은 성격, 동기, 사회문화적 환경을 창의성의 원천으로 봄
① 성격적 관점
창의성과 관련된 특질에 판단의 독립성, 자기확신, 복잡성에 대한 흥미, 미적 지향성, 모험심이 포함됨
자아실현과 창의성 역시 성격연구의 관점에서 제안됨. Maslow(1968) 는 대담함, 용기, 자유, 자발성, 자기용인 등의 특질이 모든 잠재성을 이끌어낸다고 봄. Rogers(1954) 는 자아실현 경향성을 동기적 힘을 갖고, 지지적이며 평가 없는 환경에 의해 촉진되는 것으로 묘사함
② 동기적 관점
많은 이론가들은 내적 동기(Amabile, 1983; Crutchfield, 1962; Golann, 1962) , 질서에의 욕구(Barron, 1963) , 성취욕구(McClelland, Atkinson, Clark, & Lowell, 1953) 와의 관련성을 가설화함
③ 사회적 환경
Simonton(1984, 1988, 1994) 은 다양한 문화에서 상당한 시간에 걸친 뛰어난 수준의 창의성에 대한 연구에서 창의성이 문화적 다양성, 전쟁, 역할 모델의 가용성, 자원(예: 재정적 지원)의 가용성, 같은 영역에서 경쟁자의 수와 같은 환경적 변수들과 통계적으로 관련됨을 보임
비교문화 연구와 인류학적 사례연구는 창의성 표현에서의 문화적 변화 가능한 정도를 보여줌. 또한 문화는 창의적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정도에서도 차이가 있음을 보임
사회-성격적 관점은 창의성의 근본을 이루는 정신적 표상과 과정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못함
4.통합적 접근
Wehner, Csikszentmihalyi & Magyari-Beck(1991) 은 창의성에 대한 박사논문 100편을 검토한 결과 창의성을 다루는 다양한 연구들이 편협하게 고립되어 있음을 발견함. 심리학, 교육학, 경영학, 역사학 등의 분야에서 창의성을 다루지만 이들은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동일한 기초적 현상의 서로 다른 측면에 초점을 두는 경향이 있음
최근 창의성을 부분이 아닌 전체로서 이해하기 위해 다양한 학제적 접근이 대두되고 있으며, 통합적 접근법들이 개발되고 있음
1) 암묵적 이론(Implicit theories)
창의성에 대한 사람들의 정의는 다양할 수 있으며, Sternberg(1985) 는 각 분야별로 창의성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다름을 발견했음(철학자-생각을 상상으로 결합하고 갖고 노는 능력, 기존과 다르게 지식을 조직화하고 분류하는 능력/물리학자-기본적인 법칙에 의문을 갖는 능력/경영학자-독창적인 경영 제품이나 서비스 등 새로운 생각을 탐구하고 제안하는 능력)
2) 체계 이론(Systems theories)
명시적 이론으로 몇 개의 통합적 이론들이 제안됨
Amabile(1983) 은 창의성을 과업 동기, 영역 관련 지식과 능력, 창의성 관련 기술을 통합한 결과로 봄. 창의성 관련 기술: a)복잡성을 다루고 문제를 해결하는 동안 자신의 정신 상태를 바꾸는 것을 포함하는 인지적 스타일, b)독창적인 생각을 하기 위한 학습에 의한 발견적(heuristics) 지식, c)노력의 집중으로 특징 지워지는 업무 스타일
Gruber 등(1981, 1988) 은 발달적 진화-체계모델을 제안함. 한 사람의 목적, 지식, 감정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창의적 산물을 이끄는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함. 관련 개념: a)지식체계의 발달단계-다윈의 진화론처럼 사례에서 증명됨, b)목적-사람의 행동을 이끄는 서로 관련된 목표의 집합, c)감정-프로젝트 진행 중 즐거움이나 좌절의 영향을 포함)
Csikszentmihalyi(1988) 는 개인, 영역, 분야가 상호작용하는 다른 “체계”접근법을 제안함. 관련개념: a)개인-영역에서 정보를 가져오고 인지적 과정, 성격적 특징, 동기를 통해 이를 변형시킴, b)분야: 새로운 생각을 평가하고 선택함으로써 영역을 통제하거나 영향을 미치는 사람들, c)영역: 창의적 산물을 다른 사람이나 후세에 전달하고 보존하는 역할을 하는 문화적으로 정의되는 상징체계
3) 투자 이론(Investment theories)
Sternberg와 Lubart(1991, 1992, 1995) 의 투자이론에서 창의적인 사람은 생각의 범위에서 싸게 사서 비싸게 팔고자 하거나 그럴 수 있는 사람. 싸게 사는 것은 성장 잠재성은 있으나 알려지지 않았거나 관심 밖에 있는 생각을 추구하는 것을 의미함. 처음 이런 생각이 제안되면 저항을 겪게 되지만 창의적인 사람은 이 저항을 이겨내고 결국 비싸게 판매.
투자이론에서 창의성은 별개이지만 서로 관련되어 있는 6개 원천의 통합이 필요함
① 지적 능력: 창의성에서 특히 중요하며 아래의 3가지 능력의 통합이 중요함.
- 문제를 새로운 방식으로 보고 기존 생각의 경계를 벗어나게 하는 통합적 능력
- 자신의 생각이 추구할 가치가 있는 것인지를 알 수 있는 분석적 능력
- 다른 사람에게 생각의 가치를 어떻게 설득시켜야 하는지 아는 실용적-맥락적 능력
② 지식: 해당 분야에 대한 충분한 지식 필요
③ 사고방식: 자신이 선택한 독창적 방식의 생각을 선호하는 legislative 스타일이 중요함
④ 성격: 창의적 기능에 기여하는 성격 특성으로 장애물을 극복하고자 하는 특성, 분별 있는 위험 감수, 모호성을 견디는 특성, 자기 효능감, 기존의 방식에 대항하는 특성이 있음
⑤ 동기: 내적이고 과업에 초점을 둔 동기가 필수적임
⑥ 환경: 창의적인 생각을 지지하고 보상하는 환경 필요
창의성은 개인이 가진 위의 각 요소가 기능하는 수준의 단순한 합 이상일 것이라고 가설화됨
- 특정 요소는 창의성이 나타나기 위한 역치가 있을 수 있음(예: 지식),
- 한 요소에서의 강점(예: 동기)이 다른 요소의 약점(예: 환경)을 중화시키는 부분적 보상이 일어날 수 있음,
- 요소들간 상호작용이 가능함
연구결과
① Lubart & Sternberg(1995) 는 48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4개 영역(글쓰기, 미술, 광고, 과학)에서 창의적 산물을 2개씩 산출하도록 하는 연구를 함
결과: a)창의성을 신뢰성 있게 측정할 수 있음, b)한 영역 내의 산출물간 상관은 중간수준임(.37~.67) , c)창의성은 영역 특수적임, d)지적 능력, 지식, 사고방식, 성격, 동기 모두가 창의적 수행을 유의하게 예측함
② Sternberg 등(1996 당시 in press)은 199명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분석적 능력과 창의적 능력을 언어, 수리, 도형 영역에서 측정함
결과: 창의성이 높고 창의적 수행을 장려하는 교육환경에 있는 학생들이 창의적이나 환경이 좋지 않은 학생보다 학부수준 과목(심리학)에서 더 좋은 수행을 보임
③ Lubart & Sternberg(1995) 는 44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창의적인 사람들이 과제 선택에서 지적인 위험을 더 감수하려고 하는지를 연구함
결과: 미술에서는 지적 위험 감수와 창의성이 관련되어 있음을 확인했으나 글쓰기에서는 그렇지 않았음. 즉, 어떤 것이 창의적 수행을 구성하는지에 대한 객관적인 단일기준이 없기 때문에 평가가 타당한지를 장담하기는 어려움
창의성에 대한 통합적 이론들은 창의성의 다양한 측면에 대한 설명 가능성을 보여줌
통합적 접근의 장점
- 단일 학문적 접근으로 인해 결여되는 것을 극복할 수 있으며, 다변수의 특성으로 인해 설명력이 강해짐
- 창의성이 일반적인 과정인지 비범한 과정인지를 조사하는 방법을 제안함
- 창의성을 연구하는 서로 다른 접근법을 통합하는 것을 도와주고, 심리학의 여러 분야에서의 창의성 연구를 하나로 관련되게 함
연구의 한계
창의성 연구를 위한 다양한 접근법의 가이드를 제시하였으나, 현재 중점적으로 연구되는 통합적 접근법의 특성에 대한 비교는 부족함
창의성에 대한 연구에서 통합적 접근을 활용했을 때의 어려움과 주의점에 대한 언급은 없음
실천적 함의
통합적 접근이 심리학 연구에서 널리 사용되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지만 창의성이라는 현상을 전체로써 이해함으로써 향후 연구의 방향을 보여줄 수 있음
연구의 가치
창의성 연구를 위한 다양한 심리학적 접근법을 고찰하고, 향후 나아갈 방향인 통합적 접근법을 리뷰 하여 소개함
키워드
창의성, 통합적 접근, 투자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