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Obstfeld, D. (2005). Social networks, the Tertius Iungens orientation, and involvement in innovation.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50(1), 100-130.

저자: David Obstfeld: Assistant Professor, Organization & Strategy University of California, Irvine. [strategicmanagement.net]

논문성격: 실증논문

연구목적

1.연구 목적

조직 기술혁신과 관련된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s)의 마이크로프로세스(microprocesses)와 분리된 개인들을 소개하거나 연결된 개인들 사이에 새로운 조정을 촉진함으로써 사회 네트워크 안에서 사람들이 연결되도록 하는 전략적 행동지향을 연구.

2.연구 배경

혁신에 있어서 조합(combination)이 중요한 기능을 함. 그러한 의미에서 사회적 네트워크(social network)이 혁신을 예측 하는 중요한 요소일 수 있음

사회적 네트워크의 유형에 따라서 혁신 조합의 기회와 문제가 다를 수 있음. 예를 들어, 드문드문한 네트워크는 구조적 공백이 많아서 아이디어를 생성하거나 행동 문제를 나타낼 가능성이 높은 반면, 밀집된 네트워크는 구조적 혁신 실행에 필요한 협동에 관한 장애물은 제거하지만 아이디어 생성에 방해가 됨

그러나 이러한 네트워크 구조 만으로 혁신에 관해서 설명 못함. 혁신은 연합 행동(joining activity)를 포함하는데, 이러한 연합 행동은 제 3의 연합 지향이라는 아이디어에 의해서 포착됨.

3.이론과 가설

3.1. 제 3의 연합 지향

제 3의 연합 지향: 제 3의 연합은 결합, 연합, 연결 등을 의미하는 라틴어 ‘iungo’에서 유래된 단어로 본 연구에서 제 3의 연합 지향은 연결되지 않은 개인들을 소개하거나 이미 연결된 개인들의 협동을 촉진함으로써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행동 지향을 의미하고, 이러한 활동은 혁신의 근간이 되는 조합적 행동의 중심 활동임

이러한 조합적 행동은 분리를 강조하는 라틴어 tertius gaudens과 대비됨. Tertius gaudens는 연결되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서 위치를 이용해서 이익을 취하는 것을 의미. 이 개념은 구조 공백 이론의 중요한 개념으로 구조 공백 주위에서 일어나는 사회적 행동을 설명 해 줌.

제 3의 연합 지향은 기존의 사회적 네트워크 구조와는 독립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혁신에서 필요한 이동을 구분함. 그러함 면에서 제 3의 연합 지향은 사회적 구조 내의 사람들 사이의 연결을 창출하고 촉진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음. 그러고 이러한 제 3의 연합을 추구하는 활동은 더 많은 조합 활동에 참여하게 하고, 그러한 참여가 혁신을 이끌 것이라 예상 할 수 있음. 이에 기초해서 본 연구의 연구자는 다음과 같은 가설 설정.

가설1. 개인이 제 3의 연합 지향이 더 많을수록, 그 개인은 혁신에 더 많이 관여하게 될 것이다.

3.2. 사회적 네트워크 구조(Social Network Structure)

두 가지 다른 사회적 네트워크의 장점

1) 닫힌(또는 밀집, cohesive)네트워크: 이 구조는 협동, 신뢰 등을 포함하고, 강하고 반복적인 상호작용을 통해서 지식을 형성할 가능성을 높임

2) 구조적 공백(또는 드문드문한 네트워크): 구조적 공백 이론에 따르면 행위자를 새로운 공동체, 다양한 경험, 독특한 자원 등에 노출함으로 형성되는 완전한 구조 공백이 더 우수한 기회를 제공한다고 주장

이 두 네트워크에 관한 연구 결과들은 뒤섞여 있음. 즉, 어떤 연구에서는 닫힌 구조가 혁신에 도움이 된다고 하고, 다른 연구에서는 드문드문한 네트워크가 혁신에 도움이 된다고 함. 또 다른 연구에서는 드문드문한 네트워크가 혁신과 약간 관계가 있다는 결과도 있음

비록 조직 내에서 지식을 이동하는 것이 회사 간에 지식을 이동하는 것보다 많은 이점이 있지만 여전히 교환, 통합, 지식 창출은 어려움. 또한 단순한 정보의 교환보다 복잡한 형태의 발달에 기초한 이동과 창출에 관해서 고려 할 때는 닫힌 또는 밀집된 구조가 혁신에 더 중요. 이러한 사실에 기초해서 다음과 같은 가설 설정

가설2. 개인의 사회적 네트워크 내에 구조 공백의 수가 적으면 그 개인은 혁신에 더 많이 관여할 것이다.

3.3. 지식(Knowledge)

지식의 조합은 중요. 회사 장면에서 지식의 종합은 지식을 통합하는 능력이라고 할 수 있음.

사회 네트워크 접근은 구조 공백의 중요성을 강조하지만 개인의 기존 지식에 관해서는 무시함. 그러나 개인의 기존 지식은 새롭고, 외부의 지식의 가치를 인정하고, 그것에 동화하도록 하고, 그것을 상업적 목적에 적용하게 해 주는 흡수력을 지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

개인의 지식 자원의 축척은 혁신에 중요.

가설 3.1. 자신의 전문 영역에 관한 개인의 지식이 많을수록, 그 개인은 혁신에 더 많이 관여할 것이다.

혁신에 있어서 기술적 지식이 필수적이지만, 기술을 지향하는 조직에서는 그 전문 영역 내에서 새로운 지식과 더 깊고 친밀한 관계를 요함. 많은 사회적 지식을 지닌 개인은 혁신을 소개하기에 좋은 위치에 있음. 그러한 면에서 더 깊은 기술과 더 다양한 사회적 지식을 지닌 사람들은 더 혁신을 위해 노력할 것임

가설 3.2. 모든 관련 영역에 관한 개인의 사회적 지식이 많을수록, 그 개인은 혁신에 더 많이 관여할 것이다.

논문구성

  • Introduction
  • Theory and Hypotheses
  • Methods
  • Results
  • Discussion and Conclusion

연구방법

1.장소와 참가자

자동차 디자인과 관련된 고용자들을 대상으로 조사 연구와 민속학적 연구 진행

2.조사 연구: 조사 연구는 부분으로 구성

part 1: 440명에게 e-mail을 보내 182명이 회신(엔지니어, 디자이너, 매니저). 디자인 과정 동안 기술혁신에 대한 자신의 관련과 제 3의 연합 지향 을 측정

part 2: part 1의 182명 중 152명이 part 2를 완성. part 1에서 회신이 온 참가자에게 사내 웹사이트에 들어갈 수 있도록 허용. 반응자의 사회적 네트워크 자료 수집

3.민속학적 연구

조사기간 전, 중간, 후의 기간에 New Car의 기술혁신 노력을 현장 관찰.

처음 9개월은 1주일에 4일/ 마지막 15개월을 1달에 4일 관찰

현장 관찰 후 24시간 이내에 관찰일지를 5~50페이지 분량으로 작성

112개의 인터뷰가 녹음되고 녹취록 작성.

정보 수집의 목적으로 회의 시간이 측정, CAD/CAM 디자인을 프린트, 비공식 스케치(informal sketches)를 수집

4.측정: 기술혁신을 측정한 73문항 사용. 자세한 내용은 110페이지 1 참고.

5.종속 변인

Ibarra(1989, 1993a)척도의 기술혁신 관련 5범주를 사용(1=시작한 사람(initiator), 2=중요한 역할(major role), 3=사소한 역할(minor role), 4=혁신에 관해서 앎(know about innovation), 5=혁신에 관해서 전혀 알지 못함(did not know anything about the innovation))

기술혁신 73문항 중 한 문항 이상에 initiator라고 응답하면 initiator로 명명됨

49명의 전문가가 기술혁신 관련의 자기 보고에서 initiator와 major role의 타당성을 검토

전문가는 initiator 이나 major role 이라 응답한 참가자의 관련 수준을 네 가지(initiator, major role, minor role, no involvement or no knowledge of individual’s involvement)로 구분

전문가의 판단에 따라 기술 혁신 관련의 자기 보고를 수정, 20명은 수준이 하향 조정, 3명은 상향 조정, 2명은 자기 보고와 전문가 평가의 차이가 커서 연구에서 제외, 7명은 전문가 평가가 가능하지 않아 수정하지 않음

6.독립변인

제 3의 연합 지향

1) 협동 경향성을 측정하기 위해 제 3의 연합 지향을 6항목 7점 척도로 측정. 7점 척도는 다음과 같이 구성됨.

7점 척도 구성: a. 나는 공통의 전략 작업 흥미를 지닌 사람들을 소개한다, b. 나는 다양한 세트의 흥미를 호소할 수 있는 이슈에 관해서 묘사하려고 노력할 것이다, c. 나는 사람들 간에 협동 할 수 있는 기회를 본다, d. 나는 이슈에 관한 다른 견해를 지닌 사람들 간에 공유되는 일반적 배경을 지적한다, e. 나는 두 사람이 알게 됨으로써 서로 이득을 취할 수 있다면 두 사람을 소개한다, f. 나는 다른 사람들 사이에서 특정한 이슈에 관해서 다룸으로써 접촉을 진전 시킨다.

2) 이 척도에 관한 분석 결과 좋은 척도로 판명됨

구조공백(Structural holes)

1) 연결(tie) 강도 측정: “X와 얼마나 강한 connection을 가지고 있는가?”의 문항으로 측정(강함/ 다소 강함/ 다소 약함/ 약함/ 이 사람을 피한다)

2) 연결(tie) 측정: “X와 Y는 얼마나 connect 되었는가?”의 문항으로 측정(강함/ 다소 강함/ 다소 약함/ 약함/ 이 사람을 피한다/관계가 없다)

3) 구조적 공백 측정: 밀도와 Burt의 제약요인(constrain)측정치 사용

  • 밀도: 조정된 행동에 대한 결합 필요성 수준
  • 제약요인(constrain): 개인의 의존성 크기 측정

지식(Knowledge)

1) 기술적 지식: 10개의 기술적 분야에서 7점 척도로 측정

2) 사회적 지식: 7점 척도로 측정

3) 회사 근속년수: 기술적 지식과 사회적 지식을 습득하는 3번째 측정치로 사용

4) 정규 교육: 개인의 지식수준을 측정. 엔지니어링 관련 학과와 비 관련 학과로 구분

통제변수(Control Variables)

1) 근속년수는 더미 변수로 사용(1년 이하=1, 나머지=0)

2) 조직지위(organizational rank): 6점 척도로 변환(6=중역 엔지니어, 4 &5=중간 관리자, 3=전문가 & 감독자, 2 & 1=전문가)

3) 네트워크 내 사람의 수: 반응자의 네트워크에서의 사람들의 수(네트워크 크기의 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측정)

7.Data Analysis

서열이나 범주로 구성된 변수에 관한 분석에서 사용되는 ordered logic model 사용해서 분석

연구 결과

혁신 정도의 152명 중 22.4%가 혁신을 시작 했고, 23%가 주요한 역할을 했고, 36.8%가 사소한 역할을 했고, 16.4%는 최소 한 가지 이상의 혁신에 대해서 알고, 1.3%는 혁신에 관해서 전혀 모르는 것으로 분류됨.

가설 1에 관한 검증 결과: model 1는 밀도를 사회적 네트워크의 측정치로 사용한 결과이고, model 2는 구조적 공백의 측정치로 밀도를 대신해서 제약을 사용한 결과임. 그 결과 두 모델 모두에서 제 3의 연합 지향 변인이 기술 혁신 관련의 유의한 예측변인이었음. 즉, 가설 1 지지.

가설 2에 관한 검증 결과: 가설 2는 밀도 또는 구조 공백의 부재가 혁신에 대한 관여를 예측할 것이라고 했음. 표 3의 모델 1에서 보듯이 밀도는 혁신에 대한 참여와 관련이 있어서 이는 가설 2를 지지했음. 그러나 모델 2의 제약은 유의한 경향성만 보임.

가설 3에 관한 검증 결과: 지식과 관련된 4개의 측정치 중 3개는 기술혁신 관련의 유의한 예측변인이었음. 이는 가설 3a를 지지 하는 결과. 또한 사회적 지식이 기술혁신의 관련의 유의한 예측변인임이 확인. 즉, 가설 3b가 지지

마지막으로 조직 순위가 유의했음. 이는 높은 조직 순위와 관련된 권위가 혁신 관여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고, 연구에서 이 변수에 관해서 통제할 필요가 있음.


연구의 한계

연구에 사용된 기술혁신이 실제 조직 장면에서 일어나는 기술혁신이 아니라 단순한 조직 내 문제해결과정이어서 본 연구의 결과를 기술혁신 분야에 일반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존재

조사 대상 프로그램이 자동차 설계과정이기 때문에 조직 특성상 각 부서간의 통합은 필연적임, 따라서 다른 조직 장면으로의 적용에 한계를 가짐

기술적 지식이 단일 자기보고 항목으로 측정됨

회사간 기술혁신 장면에서 적용의 한계

실천적 함의

tertius gaudens와 제 3의 연합 지향을 함께 취하면 사회적 네트워크 매커니즘과 조직 과정과 결과에 풍부한 설명을 보다 넓은 범위에 제공할 수 있음

사회적 지식의 유의한 효과는 다양한 정보와 중요한 것을 아는 것의 인식이 전화, 조정을 위한 기준을 제공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사회적 지식은 사회적 네트워크의 지식 독립성의 고려를 시사함

연구의 가치

제 3의 연합 지향, 사회적 지식, 사회적 네트워크 밀도가 회사 내 기술혁신 관련에 독립 변인들이라는 것을 증명

회사 내 상황에서 사회적 네트워크 밀도와 기술혁신의 강한 연관을 제안

제 3의 연합 orientation 을 사회적 운동의 형태로 제안

키워드

사회적 네트워크, 제 3의 지향, 혁신 관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