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ksen, S. G., Lauer, K. J., & Ekvall, G. (1999). Situational outlook questionnaire: A measure of the climate for creativity and change. Psychological Reports, 85, 665-674.
저자
- Scott G. Isaksen: The Creativity Research Unit at Creative Problem Solving Group-Buffalo.
- Kenneth J. Lauer: The Creativity Research Unit at Creative Problem Solving Group-Buffalo
- Goran Ekvall: Fainstitute Stockholm, Sweden
논문성격: 실증연구
연구목적
1.목적
창의성과 변화의 풍토(climate)를 측정하도록 특별히 만들어진 심리측정학적 (psychometric) 특징을 점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배경
풍토는 아주 중요하고, 조직원의 만족, 조직에 관한 자부심을 예측하고, 조직의 수행에 영향을 준다고 밝혀짐
본 연구에서는 조직 풍토를 측정하기 위해서 고안된 위해서 상황 예측 질문지(Situational Outlook Questionnaire, 이하 SOQ)의 신뢰도와 타당성을 점검함
- SOQ의 구성: 9가지 차원으로 구성되는데 각 차원은 개인수준, 집단 수준, 조직 수준에서 창의성과 변화에 영향을 주는 풍토 특징들의 모음과 관련
차원 | 설명 | 항목의 예 |
도전/포함 | 정서적 포함, 몰입의 정도와 목표와 운영에 관한 동기 | 작업 환경은 에너지가 넘친다 |
자유 | 자율성, 결정권의 수준과 정보를 획득하고 의사 결정을 하기 위한 행동 실행의 수준 | 여기 있는 사람들은 자신의 일을 선택한다 |
신뢰/개방성 | 관계에 기반을 둔 정서적 안정과 개방 정도 | 여기 일하는 사람들은 서로의 아이디어를 훔치지 않는다 |
아이디어 타임 (time) | 사람들이 아이디어를 정교화 할 수 있도록 사용할 수 있는 시간의 양 | 새로운 아이디어를 탐색하기 위한 시간이 있다 |
쾌활한/유머 있는 | 자연스럽고, 편안하고, 좋은 의도를 지닌 농담과 웃음을 보이는 것 | 여기 있는 사람들은 유머 감각이 있다 |
갈등 | 개인적이고 정서적인 긴장이나 적대감의 존재 | 영역과 힘에 대한 싸움이 있다 |
아이디어 지지 | 새로운 아이디어나 제안이 주목되고 친절한 방식으로 다루어지는 정도 | 여기 있는 사람들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제안할 때 환영하는 느낌이다 |
논쟁 | 다른 견해, 아이디어와 경험을 고려하고 표현하는 것 | 여기서는 다양한 견해가 표현된다 |
위험 감수 (risk taking) | 모호성이나 불확실성에 대한 관용 | 여기 있는 사람들은 종종 알려지지 않은 영역을 개척한다 |
이 중에서 갈등 외 모든 항목들은 창의성과 정적인 관계가 있고, 갈등은 창의성과 부적인 관계가 있음
논문구성
- 서론
- The situational outlook questionnaire scales
- Method
- Results and Discussion
연구방법
총 1,111명에게 SOQ 설문지를 실시하고, 그 자료에 대해서 신뢰도와 요인 분석을 실시함
연구내용
신뢰도 분석 결과
신뢰/개방성과 위험 감수를 제외한 7개의 차원의 신뢰도는 높음, 이 두 차원에서 신뢰도가 높지 않은 것은 포함된 문항 수가 적었기 때문으로 생각됨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질문지가 내적으로 일관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함
요인분석 결과(구성 타당도)
몇몇 항목(예: 49, 32, 42 등)을 제외한 모든 항목들이 이론에서 주장한 것과 동일한 요소로 묶여짐
9가지 차원들은 변산의 62.3%를 설명함
이 결과들은 SOQ의 심리측정적 특징들이 수용 할만 하다는 것을 나타냄
연구의 한계
몇몇 항목들이 이론에서 예측한 것과는 다른 요인에 묶임
9개의 차원 중 두 개의 차원의 신뢰도가 낮음
다른 창의적 풍토를 측정하는 척도와의 비교는 이루어지지 않음
실천적 함의
현장에서는 이 척도를 활용하여 조직의 창의적 풍토에 관해서 측정 할 수 있음
연구의 가치
창의적 풍토를 측정할 수 있는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성에 관해서 연구함으로써 조직에서 창의적 풍토를 측정할 수 있는 기준 제공
키워드
척도, 창의적 풍토, 신뢰도, 타당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