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ener, Ed, and Robert Biswas-Diener. “Findings on subjective well-being and their implications for empowerment.” Workshop on “Measuring Empowerment: Cross-Disciplinary Perspectives”, World Bank, Washington DC. 2003. 원문보기
[주요내용] 박옥룡 등 정리
주관적 웰빙 요인
- 유전적 요인, 환경요인, 사회적 관계, 삶에 대한 목적성, 자신감과 같은 개인적 특성
주관적 웰빙의 문화적 영향
- 개인주의적인 사회는 개인에게 높은 자율감을 제공하고, 평균적으로 주관적 웰빙이 높음. 반면, 이혼, 자살, 범죄 등 병리적 현상도 높음
- 공동체적인 사회는 자율성은 낮은 반면, 외로움과 병리적 현상은 적음
행복의 영향
- 긍정정서의 경험과 관련된 특성: 사회성, 자신감과 에너지 충만, 열정, 이타심, 창의성, 면역력과 심혈관의 건강도가 높음
- 행복한 사람은 상대적으로 친구도 많고, 행복한 결혼생활을 하고, 평균적으로 수입이 높고, 상사로부터 인정을 받고,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장수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