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an De Ven, A. H., & Rogers, E. M. (1988). Innovations and Organizations: Critical Perspectives. Communication Research, 15(5), 632-651.
저자
- Andrew H. Van De Ven: Vernon H. Heath Professor of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Change. University of Minnesota, Carlson School of Management. [carlsonschool.umn.edu]
- Everett M. Rogers: Communications scholar, Pioneer of diffusion of innovations theory, Writer, and Teacher
논문성격: 기타
연구목적
혁신에 관한 과거 연구를 개관하고, 미래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논문구성
- Introduction
- Interactive communication technologies
- Innovation in organizations
- Variance and process research
- The interpretive approach
- Requirements for research on innovation process
- Mediating paradoxes in developmental theory
- Concluding desiderata for a theory of innovation
연구방법
과거 혁신 연구를 비판하고, 혁신 연구를 위한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하는 방식으로 논문 서술
연구내용
1.서론
혁신 연구는 개인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채택하는 것에서 시작. 수 십 년 후 혁신 연구가 조직에서 이루어지기 시작. 주요 종속 변인도 채택(adoption)에서 실행(implementation)으로 옮겨감
2.상호작용 의사소통 기술
혁신에 대한 연구는 혁신의 종류에 따라서 다를 것이라 기대됨
대부분의 혁신에 관한 과거 연구는 기술 혁신에 관한 것이었고, 행정적 절차에 관한 것도 연구되었음
새로운 의사소통 기술에 의한 연구에 의해서 조직에서 혁신에 관한 연구는 활발해 짐, 새로운 매체는 본질적으로 상호작용적이고 의사소통을 위해서 도구를 필요로 함, 비록 많은 단점이 있지만 새로운 매체로 인해서 개인들 사이에 정보 교환을 가능해지고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가 제공 되고 새로운 변인들에 관한 연구가 가능해짐
3.조직 내 혁신
현재 조직에서 혁신에 관한 연구는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음
혁신 두 지배적인 영역:1) 조직 학자들, 2) 의사소통 학자들,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측면에 관해서 다 다룸
조직 내 혁신의 연구는 개인의 채택 행동에서 확장된 것으로, 채택 비율은 부분적으로 조직 변수들에 의해서 결정됨(조직 변수의 예: 혁신과 변화에 관한 조직 규범 등)
이러한 조직 변수들은 종종 혁신을 제약하거나 혁신에 저항하는 요소로 비춰지나 수많은 혁신들이 조직에서 발생함
몇몇 연구자들은 조직에서 혁신 연구가 핵심이 되어야 된다고 주장하나 혁신 연구가 핵심이 되지 못하는 것은 주류의 연구자들이 여전히 구조나 수행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 또한 대부분의 조직 연구는 일시적 측면에 관해서 다루는데 혁신 과정에 관한 연구는 횡단적 연구로 연구하기는 어려움
4.변수와 과정 연구
50년 전 혁신 연구는 개인 의사 결정자에 관한 연구로 시작됨, 이후에 채택의 단위가 조직으로 바뀜
초기의 연구들에서는 조직 혁신을 촉진하거나 방해하는 특징들을 결정하기 위해서 자료가 단일 응답자들에 의해서 수집, 그러나 초기 연구의 연구 방법은 몇 가지 지적 결함이 있었고, 조직 구조가 혁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연구하지 못함
혁신 과정에 관한 연구는 어떻게 조직 내에서 혁신이 발달하는 가를 다루는 연구임, 이 연구는 전형적으로 혁신 과정 동안의 시간적 단계를 구분, 그 단계는 크게 시작과 실행으로 나누어지고 각 단계들은 몇 가지 하위 단계들도 구성됨, 혁신 연구는 변수 연구에서 과정 연구로 바뀜
이러한 변화는 학자들이 조직 내 혁신에 관한 오버타임 사례 연구(over-time case study)를 시작했다는 것과 연구 방법이 보다 질적이고 깊이 있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는 것을 의미
또한 과정과 변수 접근을 합쳐서 조직 내 혁신에 관한 연구를 하는 것도 가능, 그러나 현재까지 이 둘을 합쳐서 연구한 연구는 거의 없음
5.해석적 접근
혁신 과정에 관한 관심의 증대와 함께 1980년대 이후 해석적 접근이 대두
해석적 접근은 체계 내 개인의 주관적 의미를 강조, 해석적 패러다임은 세상을 그 자체로 이해하는 것에 관한 것이고, 세상의 근본적 본질을 개인의 주관적 경험 수준에서 이해하는 것임, 이 패러다임은 개인의 주관과 의식의 영역에서 설명을 찾음
해석적 연구는 주로 귀납적이고 경험적 수준에서 이론적 수준으로 연구됨, 해석적 연구에서 주요 이슈는 의미임, 해석적 접근에서 이론은 연구 방향을 결정하나 가설 검증을 위해서 사용되지는 않음
해석적 접근은 혁신의 과정에 관한 유용한 이해를 제공
해석적 접근은 혁신이 매우 불확실하고 복잡한 유형의 행동이라는 것을 강조, 그러한 의미에서 혁신은 혁신 과정에 포함된 행위자의 관점에서 가장 잘 이해됨, 그러나 이 접근에 기초한 조직 혁신 연구 매우 적음
6.혁신 과정에 관한 연구에 요구되는 것들
혁신 과정에 관한 연구를 위해서 다음의 네 가지가 요구된다.
1) 연구 대상에 관한 개념의 명백한 개념 세트
혁신 과정을 관찰하는 것은 변수나 범주의 세트를 조사하는 것을 수반
조직 내에서 범주나 개념의 차이는 매우 다른 질문들을 양산(예: 아이디어, 사람, 맥락 중 어느 것에 관해서 연구하는지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어떤 개념이나 조직 상황을 연구하든지, 혁신 과정에 관한 연구는 어떻게 변화가 관찰될 것인가에 관해서 명백히 해야 함, 변화에 관한 측정은 단지 종단적 연구를 뿐만 아니라 연구되고 있는 혁신 범주의 개념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관찰되는 차이를 연구할 수 있는 엄격한 방법을 함의
2)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상의 변화를 관찰할 수 있는 체계적 방법
변화 관찰을 위해서는 계획에 따른 현장 관찰과 간헐적인 현장 관찰이 필요, 반복적인 조사와 인터뷰는 조직 개념 또는 지속적으로 관찰해야 할 차원들에 관한 비교 상태를 제공, 이 기간 동안의 차이는 조직의 단위 또는 연구 프로그램 내에서의 변화를 결정, 어떻게 이런 변화가 일어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수집한 데이터는 간헐적인 실시간 데이터에 의해서 보충 되어야 함
종단적 연구를 위해서는 새로운 방법과 기술 및 조직에 실제 접근 할 수 있는 권한이 필요
3) 가공되지 않은 데이터에서 과정 유형을 구분하는 방법
혁신 과정을 체계적으로 관찰하면 수많은 가공되지 않은 정보가 축척 됨, 이러한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네 가지 기본적인 방법은 다음과 같음
- 질적 이벤트의 연대기적 목록 작성: 첫 번째 단계는 혁신의 개발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의 연대기적 목록을 개발하는 것, 여기서 사건은 중요 개념의 변화가 관찰된 시간을 의미
- 연대지적 사건을 개념적 트랙(track)으로 부호화(coding): 두 번째 단계는 연대기적 사건의 목록을 개념적 연구 범주와 부응되는 다양한 트랙에 부호화하는 것, 각 트랙은 연구 틀 내에 속하는 다른 개념 또는 범주를 나타냄
- 과정 또는 행동 트랙의 주기 분석: 연대기적 자료가 개념적 트랙에 부호화되면 행동 트랙에서 반영된 과정 유형을 구분하기 위한 탐색이 이루어짐, 주기는 순환되는 행동 유형을 의미, 주기는 트랙 내에서 반복적으로 발생 할 때 확인됨, 이 트랙들 간에 단절이 많을 때는 독립적으로 분석 될 수도 있으나 트랙들의 총체적 형태에 관한 명백한 분석을 내어 놓지는 못함
- 절차 과정을 묘사하기 위한 용어: 종종 트랙 내에서 연속적 사건을 분석하기 위해서 과정에 관한 새로운 개념이 필요, Van den Daele는 아래의 표와 같이 네 가지 발달 과정을 검사하기 위한 법칙 제공
단일 진행 | 단일 진행은 혁신에 관한 단계적 모델을 포함 |
다수 진행 | 다수 진행은 주어진 시간에서의 하나 보다 많은 경로를 가진 발달을 반영 |
누적 진행 | 요소들의 이월과 추가를 반영하는 것으로 초기 사건 또는 단계에서 발견된 요소들이 후속 단계에서 발견되는 것을 의미 |
접합 진행 | 접합적 진행은 한 경로의 사건이 다수 진행의 다른 경로에 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 |
4) 변화 과정에 관해 이해하기 위한 이론: 종단적 트랙에 관한 과정 분석은 변화 과정에 관한 이론 없이는 발달 할 수 없음, 발달 이론은 거시적 이론과 미시적 이론을 구분 될 수 있음
거시적 이론: 전반적인 발달 과정을 묘사하고 설명, 거시적 이론은 발달 과정의 일반적 경향을 나타내고 왜 장기적인 발달 과정이 전개되었는지에 관한 설명을 제공
미시적 이론: 단기적으로 발달 유형을 만들어내는 과정에 관해서 묘사하고 설명, 미시적 이론은 혁신을 일으키는 사람, 아이디어, 맥락 상호작용을 구체화 함
혁신에 관해서 이해하기 위해서는 두 이론 모두가 필요, 왜냐하면 혁신은 장기간에 걸쳐 일어나지만 즉각적 행동 체계에 의해서 완수되기 때문
7.발달 이론의 역설 조정
이론들간의 갈등되는 설명을 통합하고 역설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4가지 포괄적인 방법이 가능
함께 살아가는 것을 배우고 역설을 인정하라: 반대 이론은 같은 현상을 보는 다른 렌즈로 사용되고 분리, 이 이론들은 이론이 설명하려는 질문과 문제의 차이에 의해서 구분되는데 이러한 이론들을 대비하는 것을 통해서 통찰을 획득 할 수 있음, 이러한 다원론의 견해는 혁신 연구에서 중요
조직 수준들 간의 관계를 명확히 하라: 한 설명은 행동의 미시적 수준에서 작용한다고 가정하고, 다른 설명은 거시적 수준에서 작용한다고 가정해 보면 미시적과 거시적 수준의 대비는 개인, 집단, 조직, 산업 또는 사회간의 비교 일 수 있음, 중요한 이론들은 미시적 설명과 거시적 설명을 연결해서 설명, 예를 들어, Coleman의 사회 행동 이론은 거시적 수준에서 어떻게 개인 행동이 합쳐져서 구조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는지를 보인 후에 단일 설명으로 행동과 구조를 설명
두 이론을 설명하기 위해서 시간을 이용하라: 단속평형 모델(punctuated equilibrium model)은 변화에 관한 진화와 축척 이론을 통합하고 화해 시키기 위해서 시간을 사용, 단속평형 모델은 축척이 가끔 발생하는 단절 과정을 가장 잘 설명해주는 반면 진화는 연속적인 수렴을 잘 설명, 혁신은 경험적으로 오래된 기능의 통합과 전적으로 새로운 기능의 축척으로 인해서 관찰될 수 있음, 축척과 진화에 의한 변화는 같은 혁신의 다른 시점에서 발생 할 수 있음, 그러므로 시간은 모순되는 변화 과정을 통합하는 동력을 제공
두 이론들을 조정하기 위해서 새로운 개념을 소개하라: 두 이론이 불일치 하는 역설을 해결하기 위해서 재개념화를 사용할 수 있음,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개념과 이론 틀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 예: 구조화 이론은 발달과 축척 설명을 조정하기 위해서 구조의 양식에 관한 새로운 개념을 소개
8.혁신 이론을 위한 마지막 요구
혁신 이론이 다음과 같은 것을 갖출 것이 요구됨
1) 혁신적 이론이 어떻게 구조와 개인의 목적 행동이 미시와 거시적 수준에서 연결될 수 있는가에 관해서 설명해야 됨
2) 이론은 어떻게 혁신이 조직 구조의 내부 기능과 개인의 외부 목적 행동에 의해서 양산되는지를 설명해야 함
3) 이론은 안정적인 것과 불안정적인 것 모두를 설명해야 함
4) 중요한 역사 측량 도구로 시간을 포함해야 함
연구의 한계
본 연구에서 제안된 사항들은 실증 연구를 통해서 검증되어야 함
실천적 함의
연구자들은 본 연구에서 제안한 새로운 연구 방향에 기초해서 혁신 연구를 진행 할 수 있음
현장의 관리자들은 조직에서 혁신을 다룰 때 혁신의 과정에 관하여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음
연구의 가치
본 연구는 과거의 혁신 연구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새로운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음
핵심단어
혁신,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