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Voelpel, S. C., Leibold, M., & Sterb, C. K. (2005). The innovation meme: Managing innovation replicators for organizational fitness. Journal of Change Management, 5(1), 57-69.

저자

  • Sven C. Voelpel:  Harvard Business School, Harvard University. [wikipedia]
  • Marius Leibold:  University of Stellebosch
  • Christoph K. Streb:  European Business School

논문성격: 이론 연구

연구목적

조직 밈(meme)의 개념 소개와 활용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논문구성

  • Introduction: Toward the Innovation Economy
  • 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Meme
  • Towards an Understanding of Innovation Meme
  • Organizational Fitness Profiling as a Starting Point to Identify the Innovation Meme
  • Utilizing the OFP to enable Management of the Innovation Meme
  • Managerial Implications
  • Conclusion

연구내용

1. 서론

지식 경제(knowledge economy)로 인해서 혁신적인 경제(innovation economy) 발달, 이러한 혁신적인 경제는 회사의 미래 성공을 예측해 줌

3M의 사례: 3M은 혁신을 위해서 개발자들을 관리(예: ‘허락보다 용서를 구하는 것이 낳다’), 도전적 목표 제시(예: 판매되는 물품의 30%는 이전 4년 동안 없었던 제품이어야 한다), 리드 사용자(lead user)을 과정 점점 등을 활용

Von Hippel 등으로부터 적응된 사례(Case adapted from Von Hippel, Thomke and Sonnak(1999) )

1) 현재 사업 환경은 자연 환경과 같이 불안정하고, 지속적으로 환경이 변하고, 다른 체계와 높은 상호작용이 있는 생존을 위해 적응해 가는 것이 필요

2) 복잡한 적응 체계로서 혁신적 경제와 조직의 지각은 조직에 필요한 역량을 키우는 새로운 접근법(예: 혁신적 문화 반복 능력)을 요구

3) 밈(Meme)는 살아있는 유기체의 진화와 생물학 이론에서 나온 개념으로 모방을 통해서 한 개인에게서 다른 개인으로 전달되는 것을 의미

4) Hippel 등(1999) 의 논문은 조직 적합화 프로파일링(일종의 대상의 정보 수집과정) 과정(adaptive profiling process)을 혁신적 밈을 구분하고 관리하는 과정이라고 묘사

2. 조직의 밈 개념(The Concept of Organizational Meme)

다양한 연구를 통해서 유기체의 밈 개념을 사업 관리 현장에 적응 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 밝혀짐

예: Vos와 Kelleher(2001) 은 합병과 취득을 밈의 개념을 이용해서 설명하려 시도, Frank(1999) 는 밈을 금융 시장에 적용 하려고 시도

밈은 무엇인가?

1) Richard Dawkins의 책 이기적 유전자에 따르면 밈(meme)은 ‘뇌에서 뇌로 넘어 가는 문화적 모방의 단위’임, 신체의 세계에서 유전자와 조직 문화의 세계에서 밈 간에 대응 이룸

2) 밈은 일종의 복제자(replicator)로서 다른 밈과의 관계에서 우위를 점하고 성공하는지에 따라서 본체(entity)의 생존여부가 달라짐

3) 조직 밈(meme)은 모방에 의해서 한 개인에게서 다른 개인으로 전달 될 수 있는 조직의 기본 가정, 규범, 기준, 상징적 체계와 같은 조직 문화의 중요한 요소라고 정의될 수 있음

Dawkins 뇌에서 뇌로 전달되는 모방의 단위 또는 문화 전달의 단위
Gelb 추가적 노력 없이 시간과 공간을 통해서 이동하는 자기 복제적 아이디어
Blackmore 모방을 통해서 전달되는 것
The New Oxford American Dictionary 유전적이지 않은 방법을 통해서 한 개인에게서 다른 개인에게로 전달되는 문화나 행동 체계의 요소

5) 밈의 예: 비공식적 복장 규정(dress code), 회사의 의식, 점심 시간이나 일을 마친 후 직원들이 만나는 레스토랑, 부서에 관한 내부 별명 등

밈은 생리학과 진화론적 연구에서 나온 개념이기 때문에 조직 적합성은 논리적으로 적자 생존과 유사함, 이 논리에 따르면 조직 적합화 프로파일링 (organizational fitness profiling)은 조직 내 혁신 밈을 구분하고, 관리자가 밈에 영향을 주고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

3. 혁신 밈의 이해를 향하여(Toward an Understanding of Innovation Meme)

조직 밈의 하위 부류 중 하나로 혁신 밈의 개념이 이해 될 수 있음

혁신의 진화를 포함하는 문화의 진화는 변이와 선발(variation and selection) 과정 거침, 이 과정을 거쳐서 혁신 밈은 복잡한 역동적 요소들에 의해서 결정되는 조직 적합성을 창조하고 유지함

조직 내 혁신 밈은 솜씨 있게(skillfully) 다루어져야 함, 예: 혁신적 행동의 적절한 끌어당기는 것(attractor)에 의해서 구분, 형성, 창조 되어야 함

조직 적합화 프로파일링은 혁신적 밈의 구분을 위한 적절한 시작점을 제공하고, 혁신적 밈을 관리하는데 제안된 전체적 접근법을 이끌어 줌

4. 혁신 밈을 구분하는 시작점으로서 조직 적합화 프로파일링(Organizational Fitness Profiling as a Starting Point to Identify the Innovation Meme)

조직 적합화는 급속히 변하고 난폭한(turbulent) 사업 환경에서 조직의 적응력과 적절한 정도를 의미, 이런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회사는 사회환경적 경향에 관해서 깨닫고 내부와 외부 이해관계자(stakeholder)들에게 맥락을 제공 해야 함

경쟁적 환경은 리더십 팀, 작업 체계, 관리 과정, 인적 자원 체계, 원리와 문화, 회사 맥락 등에 영향을 줌(63쪽 그림 1 참고), 그 결과로 7가지 C(예: 조정, 능력, 몰입, 의사소통, 갈등 관리, 창의성, 능력 관리)가 발달 함

2016-11-12-190915

조직 적합화의 장애들: 상의하달(top-down) 방식이나 방임적 관리 스타일, 우선권 갈등과 조정 부족, 관리자가 개방적이지 않거나 협동적이지 않은 것, 나쁜 의사소통 등

조직 적합화 프로파일링(Organizational Fitness Profiling)이하 OFP)은 조직 성공을 방해하거나 촉진하는 과정을 측정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알려짐, 또한 이것은 방해 요소를 극복하고, 조직의 능력이 효율적으로 되는 것이 가능 하게 만드는 정직하고 개방된 의사소통을 관리하도록 매니저들을 돕도록 개발되었음

OPF 과정

1) 상급 관리자가 미래 전략에 관해 언급 해야 함, 이러한 언급은 전반적 환경적 도전과 조직 목표와 관련 있어야 함, 이 언급은 조직 전체에 전달되어야 함

2) 최고 경영자보다 한 두 수준 아래의 직급을 가진 사람이 직무 팀들 간 관리자로 배치, 이들이 조직 내외의 전략 장애와 전략을 가능하게 하는 요소들 수집

3) 최고 경영자는 이 데이터를 이용해서 조직 재설계를 위한 비전 결정 및 종업원들과의 수정 또는 정교화 작업

4) 계획 실행

5. 혁신 밈의 관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OFP의 활용(Utilizing the OFP to enable Management of the Innovation Meme)

OFP은 다른 기능 또는 부서간 조정과 협력을 가능하게 하고, 조직 역량을 창조함으로 전체 조직을 향상하는 것을 목표로 함

조직 인터뷰 과정은 회사 내 조직 혁신 밈을 구분하는 좋은 기초를 제공해줌, 다음의 질문은 조직 인터뷰에서 주요한 OFP 질문지의 질문 예임(64쪽 참고)

  • 어떤 것이 회사에 영향을 주는 성공적인 혁신 이었나? 과거에 무엇이 일반적으로 가장 독특하고 영향력 있는 혁신 이었나?
  • 어떻게 그것들이 개발되었나? 어디서 그것들이 나왔나?
  • 누가 혁신을 이끌어 갔나?
  • 그들은 무엇을 다르게 했는가? 무엇이 혁신가로 다른 사람들과 다른 것을 사용하도록 했는가?
  • 5) 위의 질문에 응답된 내용들은 모방에 의해서 전달될 수 있는가?

혁신적 밈을 찾을 때 조직 내부 뿐 아니라 외부도 찾아야 함

일단 밈이 구분되면, 최고 경영자는 어떻게 발견한 것들을 처리해야 할지를 정해야 함(밈 관리 과정, 65쪽 그림 2 참고)

2016-11-12-190948

1) 밈 추적(Meme tracking): 밈의 발달과 새로운 혁신 밈의 출현을 체크하는 것은 중요, 또한 혁신적 밈이 조직의 궁극적 목표와 일치하는지를 점검하는 것 필요, 만약 일치하지 않으면 관리자는 밈 형성이나 창조 등을 통해서 조정 해야함

2) 밈 형성(Meme shaping): 기존에 조직 내에 존재하던 밈이 현재 전략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밈의 형태를 바꾸는 것

3) 밈 창조(Meme creation): 전략적 일치와 경쟁력 향상을 위해서 조직 내에서 실행 될 밈을 전체적으로 새롭게 설계 하는 것

혁신 밈의 관리 예(3M)

1) 리더 사용자 과정(lead user process)은 혁신 밈으로 모방을 통해서 전달 될 수 있음

2) 이 밈은 처음에 최고 경영자에 의해서 전달되었지만 한번 성공적인 것으로 밝혀지자 모방을 통해서 널리 퍼졌음

3) 이러한 전달 과정은 기능 간, 부서 간 미팅 기회를 통해서 일어날 수 있었음

4) 이 예에서 밈 추적은 리더 유저 과정이 밈으로서 성공적인지를 지속적으로 점검하는 것임, 약간의 수정은 밈 형성으로 불릴 수 있고, 전체적으로 새로운 것을 소개하거나 과정을 퍼트리는 것은 밈 창조라 할 수 있음

밈은 유전자처럼 성공적이면 널리 퍼지고 성공적이지 않으면 소멸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조직은 성공적인 밈 재설계와 전반적인 문화 변화를 위해서 그림 3(67쪽)의 과정 반복해야 함

2016-11-12-191023


연구의 한계

새로운 개념으로 조직 밈에 관해서 묘사하고 있으나 조직 문화 반복자가 조직 내에서 유포되고 새겨지는 방법이나 기술에 관한 분석은 제공하지 않음

여기서 제안된 것은 실제 사업 환경에서 다듬어지고, 개발되고, 점검 받아야 함

실천적 함의

조직 적합화 과정을 사용함으로써 관리자나 경영자는 급변하는 환경에 적합한 능력을 증진 시킬 수 있음

변화에 대한 장애를 발견하고 제거 해야 함

관리자는 조직 밈이 자동적으로 전체 조직과 사업 생태에 퍼져가도록 허용해야 함

연구의 가치

혁신적 조직 문화를 위한 새로운 개념으로 밈을 묘사함

밈을 관리 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서 제공함으로써 현장에 있는 관리자들이 실제 사용할 수 있는 실천적 지식 제공

키워드

조직 문화, 혁신, 조직 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