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erson, N. R. & West, M. A. (1998). Measuring climate for work group innovati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team climate inventory.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9, 235-258. 원문보기
저자
- Neil R. Anderson: Psychology Department, goldsmiths College, University of London.
- Michael A. West: Institute of Work Psychology, University of Sheffield.
논문성격: 실증연구
연구내용
1.연구 목적
작업 집단 내에서 혁신 풍토를 측정 할 수 있는 다 차원의 타당한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연구배경
2.1. 풍토: 정의와 관련된 이슈들(Climate: Definitional Issues)
풍토에 관한 많은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풍토를 정의하고 다른 분석 수준에서 풍토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데는 어려움이 있음.
풍토에 관한 두 가지 주요 접근
1)인지적 도식 접근(Cognitive schema approach): 풍토를 작업 환경에 대한 인지적 도식 또는 개인의 구조적 표상으로 정의. 예: James와 Sells는 풍토를 인접한 환경에 대한 개인의 인지적 표상이라고 정의
2)공유된 지각 접근(Shared perceptions approach): 풍토의 기초로 공유된 지각 강조. 예: Schneider는 주위에 있는 것들에 관한 공유적 지각이라고 정의. 구체적으로 풍토는 조직의 정책, 실행, 과정 등에 관한 공유적 지각이라고 정의.
이 두 접근은 서로 조화되고, 상호 배타적이지 않음. 본 연구에서는 후자를 접근을 사용해서 근접한 집단 풍토에 관한 측정을 개발하기 위해서 작업 집단에 대한 공유적 지각을 적용.
본 연구에서는 공유된 지각에 관해서 분석하기 가장 적절한 수준이 근접한 작업 집단이라고 주장. 이러한 관점에서 척도 개발
2.2. 근접 작업 집단 풍토(Proximal Work Group Climate)
작업 집단의 정의: 작업 집단을 개인이 할당되어 동일시하고, 작업 관련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서 정기적으로 상호작용 하는 영구적이나 반영구적인 팀으로 정의
본 연구의 저자는 공유된 풍토는 근접 집단에서의 활동적 사회 구조를 통해서 발달하고, 조직에 깊이 박히게 된다고 주장
공유를 위해서 필요한 조건들
1)최소 잦은 빈도로 개인들은 작업장에서 상호작용 해야 함
2)개인이 집합적 행동을 할 수 있는 어떠한 공동의 목표 또는 획득 가능한 결과가 있어야 함
3)개인이 공유된 이해와 기대되는 행동을 개발하는데 필요한 충분한 과제 상호의존성이 있어야 함
이 조건들은 필요 조건이지 충분 조건은 아님
그 외의 조건들: 동일시, 상호작용, 규범 이해, 유사 사회화 과정, 공동의 경험, 조직의 하향 의사소통 등
공유성은 근접 또는 즉각적 작업 환경 내에서 개인들이 상호작용하고 공동의 구조 지각을 할 때 발생. 그러한 의미에서 집단 내 풍토에 관해서 측정하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 필요. 이 것이 본 연구의 목적
2.3. 특정 또는 일반화된 풍토(Facet Specific or Generalized Climate)
다른 하나의 풍토 연구의 논쟁점은 구조 그 자체의 의미와 응용된 연구에서 그것의 조작적 의미에 관한 논쟁임
최근 연구들에서는 일반화된 개념을 그것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로 나누려는 시도가 이루어짐. 이러한 연구는 용어의 의미를 정교화 하고 혼동을 명확하게 하는데 가치 있는 방법으로 인정되고 있음.
이러한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작업 집단 내에 공유된 풍토의 존재는 증명되지 않았고, 특정 풍토의 영역이 단순히 한 특정 결과를 예측하는지 수많은 결과를 예측하는지에 관해서 밝혀 지지 않았음. 즉, 풍토에 관한 수많은 연구들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들은 조직 차원에서 이루어 졌고, 연구자들 사이에 적정한 분석 수준에 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임.
그럼에도 불구하고 풍토 지각에 관한 동의를 측정하는 방법은 개발 되었음. 이들의 연구에서 공유되었다고 제안하기 충분한 합의 준거를 제공하고 있음(상관 값 .70)
2.4. 작업 집단 혁신(Work Group Innovation)
혁신에 관한 연구 많지만 집단 수준의 분석은 상대적으로 적게 이루어짐. 혁신이 팀에서 시작되고 개발된다는 점에서 집단 수준의 분석을 보완할 필요 있음.
본 연구에서는 근접 집단 풍토와의 관계의 결과인 작업 집단 혁신에 관해서 다룸.
2.5. 팀 풍토 질문지 개발(Development of the Team Climate Inventory)
선행 연구들에서 혁신 풍토에 관한 네 가지 요소 제안. 그 요소들은 다음과 같음
1)비전(Vision): 가치 있는 결과에 관한 아이디어로서 높은 수준의 목표와 작업장에서 동기화 하는 힘을 나타냄. 비전은 명확성, 비전의 본질, 획득 가능성, 공유 정도로 나누어짐.
2)참여적 안정성(Participative Safety): 사람들이 판단적이지 않은 분위기에서 아이디어나 문제 해결을 제안 할 수 있을 때 참여적 안정성이 높음
3)과제 지향(task orientation): 공유된 비전 또는 결과와 관련하여 과제 수행을 잘 하려는 공유된 고려라고 할 수 있음. 팀 내에서 과제 지향은 개인과 팀의 책임, 수행을 평가하고 수정하는 통제 체계, 집단 내 충고 등에 관한 강조에 의해서 명백해 짐.
4)혁신에 관한 지지(support for innovation): 새로운 것을 소개하고 작업 방식을 증진하려는 시도에 관한 기대, 승인, 실천적 지지를 의미. 이 요소는 정책 선언 또는 입으로 전달되는 말 등에서 나타남.
논문구성
- Climate: Definitional Issues
- Proximal Work Group Climate
- Facet Specific or Generalized Climate
- Work Group Innovation
- Development of the Team Climate Inventory(TCI)
- Method
- Results
- Discussion
- References
연구방법
선행 연구들에서 제안한 항목들을 분석 수준의 관점에서 검토한 결과 몇몇 항목이 남지 않아서 대부분의 항목들을 연구자들이 생성함. 하위 척도의 구성은 아래와 같음
비전: 팀 구성원들의 팀 목적의 가치, 획득 가능성, 공유정도, 명확성에 관해서 평정하도록 함.
참여적 안정성: 참여적 안정성은 두 가지 요소로 나누어짐. 그 요소는 아래와 같음
1)팀 참여: 의사 결정에 관한 영향, 정보 공유, 상호작용 빈도에 관하여 측정
2)안정성: 작업 집단 내에서 지각된 안정성의 정도 측정
과제 지향: 이 개념은 아래의 두 가지 요소로 나누어짐.
1)유능성에 관한 풍토: 팀 구성원들이 팀 작업의 유능을 증진하기 위해서 상호작용하는 정도에 관해서 측정
2)건설적 논쟁: 개념적으로는 과제 지향과 유사. 건설적 논쟁이 있으면 인식론적 호기심이 형성되고, 이것은 반대 입장에 관한 탐색, 개방된 고려 등을 이끌어냄
혁신에 관한 지지: 시간, 협동, 실천적 도움, 자원 등의 팀 지원에 관하여 측정
연구결과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표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대부분의 문항들이 처음 연구자들이 예상한 것과 같은 요인으로 묶여짐(표 1의 같은 열에서 굵은 글씨가 한 요인으로 묶여 진 것을 의미). 그러나 4요소로 나누어 지리라는 예상과는 달리 5요소로 나누어 졌고, 마지막 요소는 상호작용 빈도라고 명명됨
내적 동질성: 내적 동질성을 나타내는 통계치가 내적 동질성을 수용할 만큼 높게 나옴.
예언 타당도: 이 척도의 점수와 9개월 후의 팀의 혁신 차원의 점수를 분석한 결과, 이 요소가 전반적인 창의성과 창의적 새로움을 잘 예측해 줌.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가 5가지 관련된 요인 모델이 가장 간결하고, 적합하다는 것을 보여줌.
풍토 구분에 대한 동의와 변별: 척도에 관해 집단 내 일관성을 분석해본 결과 수용 가능한 정도 일관적으로 반응 하여서, 이 풍토에 관해서 집단 내에서 동의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음. 또한 이 척도가 다른 집단들 간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집단간 차이를 변별해 주었음.
연구의 한계
팀 수준에서 일치 정도가 차원에 따라서 달랐음(즉, 공유 정도가 차이가 있을 수 있음). 그러한 차이에 관해서 본 연구는 설명해 주지 못하고 있음.
실천적 함의
본 연구에서는 팀 수준, 그 중에서도 근접한 팀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분석 하였음. 연구자들이나 실무진들은 혁신에 관한 풍토에 관해서 연구 하거나 접근 할 때 근접한 팀을 대상으로 할 필요가 있음
연구의 가치
혁신에 관한 풍토를 팀 수준에서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했다는데 본 연구의 가치가 있음
팀 혁신을 구성하는 하위 요소들을 나누어서 그것이 실제 혁신을 예측하는지를 살펴 보았다는 점에서 가치 있음
키워드
척도, 팀 혁신 풍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