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옥. “임상간호사의 감정노동이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4 (2013): 250-261.

[주요내용] 박옥룡 등 정리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변인 중의 하나가 자신이 일에 몰입된 상태 및 직업을 통한 만족감

직장에서 행복감의 경우, 10점 만점에 평균 5.33점, 미국 성인 3,050명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6.92점보다 낮은 결과

응급실의 경우 다른 부서보다 상대적으로 감정부조화 점수가 높음

기혼자, 종교를 가진 경우가 행복감 점수가 높았음

외래가 다른 부서보다 행복감 점수가 높았음

임상경력이 직장에서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변인

감정노동의 부정적 영향으로 인해 직장에서의 행복감이 결여되지 않도록 감정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배려와 직무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 검토해야 할 것

근무부서이동에 대한 개인적 요구를 적극적으로 검토하여 반영하고 적절한 직무순환, 효율적 경력개발 필요

체계적인 감성 프로그램, 효과적인 지원시스템 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