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Lubart, T. I. (1999). Creativity across cultures, In Robert J. Sternberg (ed.) Handbook of Creativity, (pp. 339-350).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저자: Todd, I. Lubart: Professor of Psychology at Université Rene Descartes (Paris 5). 창의성, 정서에 대한 연구.

논문성격: 연구리뷰

연구목적

창의성에 있어 환경적 요인인 문화의 영향을 검토함

논문구성

  • 창의성의 개념
  • 창의적 과정에서 문화적 편차(variation)
  • 창의성의 채널로써의 문화
  • 창의성의 육성(nurturance)
  • 논의
  • 결론

연구내용

창의적인 사람, 창의적인 물건, 창의적인 과정을 연구할 때 종종 환경을 무시하지만 환경은 항상 존재하며 창의적인 표현에 깊은 영향을 미침. 이런 맥락에서 최근 이론은 환경-중심적 변수와 사람-중심적 변수의 영향을 중시함. 환경에는 물리적 환경, 가족, 학교나 직장, 노력하는 분야, 문화 등이 있으며 본 논문에서는 문화적 환경의 영향에 초점을 둠.

문화는 사람들이 사회적, 물리적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방식을 고려한 인지, 행동, 관습, 가치, 규율, 상징의 공유된 시스템으로 볼 수 있음. 문화는 학습되고 사회적으로 한 세대에서 다음 세대로 전해짐.

1.창의성의 개념

서양 관점에서 창의성은 새롭고 유용한 것을 만들어내는 능력으로 정의하며, 창의성의 중요한 특성은 관찰할 수 있는 산출물과의 관계로 봄. 산출물은 동료나 전문가 등 적절한 판단집단에 의해 평가될 수 있음. 창의적 사고에 대한 Torrance의 검사는 과제를 통해 창의성을 측정할 수 있도록 함(유동성, 유연성, 독창성).

동양의 관점은 서양과는 달리 창의적 산출물에 초점을 덜 두고 내적 정수나 궁극적 현실의 표현에서 근본적인 영역과의 연결인 개인적 달성 상태를 중시함. 이런 개념화는 자아실현의 부분으로써 인본주의 심리학의 창의성 개념과 유사함.

힌두교에서는 창의성을 문제에 대한 혁신적인 해결책으로 보기보다 영적이거나 종교적인 표현으로 봄.

이처럼 동양의 관점에서 창의성은 전통적인 아이디어의 재해석을 포함하는 반면, 서양에서는 창의성을 전통을 깨는 것으로 봄. 다른 문화들이 같은 용어에 대해 가질 수 있는 다른 개념들은 흥미로우나 일반적으로 창의성은 긍정적인 구성개념으로 보여짐.

창의성에 대한 서양과 동양의 관점의 차이에서 창의성의 기원에 대한 질문이 제기될 수 있음. 우주 창조에 대한 동양의 관점은 “발달 중이며 펼쳐지는 ongoing process”로 특징 지울 수 있음. 창의성의 개념도 우주 본질의 실현에 대한 발달과 진보라는 유사한 주제를 강조함. 현대 서양의 창의성은 시작과 끝이 있는 과정에 몰두한 개인에 의해 달성된 통찰력 있는 산출물로 여김. 요컨대 창의성에 대한 현대의 관점은 문화적 창조 신화와 이로부터 나온 것으로 보여짐.

2.창의적 과정에서 문화적 편차(variation)

창의적 과정의 기술에 있어 서양은 4단계를 언급함:

  • 준비: 문제를 사전에 분석함,
  • 숙성(incubation): 문제에서 적극적인 무의식적 작업(기억 활성화, 연합 과정),
  • 깨달음(illumination): 갑자기 아이디어가 의식적으로 가용하게 됨,
  • 검증(verification): 창의적 아이디어가 평가되고 발달되고 재정의됨.

인도 화가에 대한 Maduro(1976)의 연구에 따르면 동양에서도 이 단계가 유사하게 나타나지만, 3번째 단계인 통찰이 산출물보다는 더 사람 지향적읜 것으로 나타남. “사물에 관련된 인상과 이미지에 대한 감각이 손상되지 않고 흐른 결과”로 창의적 과정을 설명하기도 함.

3.창의성의 채널로서의 문화

1) 창의성의 형성과 영역

문화는 어떤 상황이나 주제에 대해 창의성을 장려하기도 하고 방해하기도 함. 창의성의 선택 능력과 그 주제를 허용하는 창의성 수준은 깊은 문화적 패턴의 유지에서 주제의 역할과 역으로 관련되어 있음을 제안함. 일반적으로 사회적 조직, 경제, 종교와 같은 주제에서 창의성이 가능하다고 할지라도 이런 주제들은 기본적인 문화적 패턴 유지에 포함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적음.

2) 사회적 구조와 창의성

음악적 창의성의 예를 통해 사회적 구조에 기초한 문화가 어떻게 창의성을 제한하는지를 설명함. Omaha 인도 문화에서는 전통적으로 노래를 부르는 한가지 방법만 존재하기 때문에 음악적 창의성이 억제됨. Bali에서의 음악적 창의성은 다른 방식으로 제한되는데, 작곡에서의 혁신을 집단 노력으로 보기 때문에 음악가 집단은 서로 스타일이 다를 것으로 기대함. 파푸아뉴기니의 Kaluli족은 성차에 초점을 두며, 남녀가 모두 창의적이지만 음악적 장르가 다름. 여성 가수는 개인적 정서를 표현하는 노래에서, 남성은 집합적인 정서를 자극하는 노래에서 창의적임.

창의적 활동의 종류에 따른 성별의 차이에 더해, 창의성의 양이나 질의 차이도 가능함. 그러나 경험적 결과는 혼재 되어 있음. 학교교육에 대한 차별적인 기회가 창의성에서의 성차 연구에 특히 중요할 수 있음. 미국에서는 안정적인 성차가 관찰되지 않음. 수단에서 창의성에 대한 성차를 연구한 Khaleefa등(1996)은 1개의 창의성 과제(대안적 사용)와 성격검사에서는 남성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으나, 창의적 활동 목록에서는 여성이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보였고, 확산적 사고 과제에서는 성차가 없었다고 보고함. 창의적인 일의 양이나 질에서의 성차가 존재하는지는 미해결 상태임.

3) 문화, 언어, 창의성

창의성에서 문화의 효과와 관련된 것은 창의성에서 언어의 channeling 효과임. Whorf(1956)는 언어가 사고를 형성한다고 제안했음. 몇몇 연구는 1개 국어 사용자와 2개 국어 사용자 집단을 대상으로 창의성에서 언어의 효과를 평가함. 그 결과 다양한 창의성 과제에서 2개 국어 사용자의 창의적 이점은 나타나지 않았음. 그러나 Ricciardelli(1992)는 2개 국어 능숙도의 역치가 있을 수 있다고 제안함.

2개 국어 사용자가 창의성에서 장점이 있을 것이란 주장엔 몇 가지 가능한 이유가 있음:

  • 2개 국어 사용자는 이중 언어적 관점으로 인하여 세상에 더 유연한 접근을 할 수 있음,
  • 2개 국어 사용자는 2개의 다른 언어적 개념 네트워크 상황에 있었기 때문에 같은 개념에 대한 연합의 다양성이 클 수 있음,
  • 2개 국어 사용자는 언어적 공동체에 따라 하나의 기본 생각의 뉘앙스가 다를 수 있는 상황에서 편안하기 때문에 모호성에 대한 인내가 더 클 수 있음,
  • 2개 국어 사용자는 2개의 문화적 집단 활동에 참여하는 삶의 조건에 있음.

4.창의성의 육성(nurturance)

문화는 창의적 활동 전반적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창의성은 준거나 전통에 놓여있는 가치와 같은 문화적 특성에 의해 자극 받거나 방해할 수 있음. 북미나 서유럽 같은 개인주의에 의해 특징 지워지는 문화는 개인을 집단으로부터 자율적인 것으로 정의함. 반면 집단주의 문화는 개인을 가족, 규범, 책임과 같은 사회적 맥락 안에 있는 것으로 정의함. Triandis 등(1993)에 따르면 개인주의 문화는 독립, 자기 의지, 창의성과 같은 것에 가치를 두고, 집단주의 문화는 복종, 협동, 의무, 내집단 권위의 수용을 강조함.

미래에 대한 진보와 낙관에서의 믿음은 변화, 성장, 현재 상태에서부터의 이동에 대한 문화적 수용을 나타냄. 다양한 세계관과 개인주의-집단주의와의 관련에 더하여, 문화는 그들이 가치를 두는 준거와 전통의 연장에서도 다양함. 적은 수의 문화비교 연구는 준거나 독단주의/개방성과 창의성 수준간의 연결을 보여줌. 준거와 전통에 있는 가치에 더하여 끈기, 모호성에 대한 인내, 위험 감수와 같은 문화적 특성도 창의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

5.논의

문화적 변수는 미디어의 세계화뿐 아니라 역사적으로도 연구될 수 있음. 사회와 더 큰 문화 중심지에 대한 물리적 접근성에서 풍족한 정도는 창의성과 관련되는 다른 조건임. 창의성에서 문화적 편차에 대한 논의의 다른 요지는 다양한 상황에서 창의성을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에 대한 실용적인 이슈임. 기존에 사용된 Torrance 검사는 서양의 창의성 개념에 더 적절함. 게다가 문화비교에서 간단한 지필 창의성 과제의 사용은 검사 질문의 기초기 되는 이미지와 대상이 문화적으로 제한되는 등 여러 기술적 이슈를 일으킴. 마지막으로 문화 특수적인 독창성의 본질은 비교 연구에서 어려운 이슈로 남음. 그 문화의 평가나 규범의 활용은 문화에서 창의성 분석의 가장 좋은 방법임.


연구의 한계

문화를 구분함에 있어서 개인주의와 집단주의 분류에 기초하여 크게 서양과 동양으로 구별했으나, 향후 보다 세부적인 문화분류가 필요할 것이라 생각됨

연구의 가치

창의성이라는 하나의 구성개념이 문화에 따라 다른 개념일 수 있으며, 이에 따른 접근법 역시 달라야 한다는 내용을 정리함

키워드

창의성,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