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home

약력

  • 元나라[1] 때 서역에서 이주해 온 이슬람교도의 후손
  • 明나라 영락제(永樂帝) 때 환관의 총수인 삼보태감(三保太監) 역임
  • 중국 明나라 환관(宦官)으로 1405~1433동안 7회의 南海遠征 (동남아시아 ~아프리카 동해) 을 통해 ‘바다의 실크로드’라 불리는 해상무역로를 개척, 사령관 역임
  • 아라비안나이트에 나오는 ‘신밧드’는 정화의 관직명인 ‘三保’가 와전된 것이라는 주장도 있음

시대적 배경

당시 明나라는 청화백자, 비단 등 서양이 탐내는 세계 1위의 하이테크 수출품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티무르제국[2]의 팽창으로 서역과의 육로가 막혀 수출을 위한 새로운 돌파구의 확보가 시급한 상황


성장 과정

윈난성(雲南省) 이슬람교 자치구에서 색목인(色目人)[3]의 아들로 태어남

12세 때 윈난성이 명나라의 공격으로 함락된 후, 주원장의 아들 연왕(燕王, 나중에 永樂帝가 됨)의 부하가 됨(이 즈음 거세)

연왕이 ‘정난의 변(靖難-變)’[4]을 일으켜 永樂帝에 오를 때 큰 공을 세우고 황제의 오른팔이 됨


주요 업적

당시 발달한 중국의 항해술, 조선술을 활용하여 남해원정을 통해 ‘바다의 실크로드’를 개척

쿡(Cook) 선장보다 3백 년 앞서 호주를 발견하고 아프리카 희망봉을 유럽보다 1백 년 앞서 발견

최근에는 남극을 탐험하고 마젤란(Magellan)[5]보다 1백 년 앞서 세계 일주를 했다는 주장까지 제기

중국에서는 환관 출신 중 가장 뛰어난 인물로 “사마천(司馬遷) 다음으로 정화(鄭和)”[6]라고 일컬음


후대에 미친 영향

정화의 해양정책은 그가 죽은 후 국내파들의 철저한 말살로 기록마저 소멸되고 이후 중국의 해군력은 급속도로 위축됨

그러나 정화의 항해도는 포르투갈에 입수되어 세계 지도를 만드는 밑바탕이 되었으며, 이것은 이후 바스코 다가마(Vasco Da Gama), 콜럼버스(Columbus), 마젤란(Magellan) 등의 지침서가 됨

또한 그의 원정 이후 중국인들이 동남아 일대에 정착하여 화교 확산의 계기를 마련


리더십 특성

① 황제의 전폭적 후견으로 조직 내 고립을 극복

정화는 ‘주변인’으로서 명나라 주류 사회에서는 이질적 존재

색목인, 환관, 이슬람교도 등 인종- 신분- 종교 모든 측면에서 이단적 존재로서 오직 재능만으로 영락제의 신임을 획득

주류 계층(inner circle)에 편입될 수 없다는 약점을 외부와의 개방성을 통해 극복. 환관으로서 지근거리에서 황제의 마음을 읽는 동시에 남해원정을 주도하여 황제와 외부 세계와의 가교 역할 수행. 이슬람교도이면서 불교에도 귀의, 종교적 관용을 가지고 남방의 여러 나라와 교섭하는 데 최대의 유연성 발휘. 아라비아에 진출해서는 사절단을 보내 메카(Mecca) 성지[7]를 참배하게 함 → 개방성, 이문화 수용능력

순혈주의를 타파하고 정화를 등용한 영락제의 인재관리가 남해원정의 원동력

정화의 역량을 일찍부터 간파하고 그에게 해외개척이라는 대형 프로젝트를 맡긴 영락제의 안목이 돋보임

당시 중화사상에 매몰된 정통관료 출신으로서는 불가능한 과업 달성

② 대륙국가 중국을 해양국가로

15세기 초 전세계를 무대로 “해양국가 중국” 건설이라는 웅대한 비전을 추구

정크선[8]을 통해 칭기즈칸이 기마대를 통해 이룩한 세계정복의 이상을 재현하고자 시도

티무르제국에 의해 실크로드가 막히자 바닷길을 통해 우회한다는 전략적 유연성 발휘. ‘바다의 실크로드’ 또는 ‘청화백자의 이동로’라 하여 ‘도자기 길’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교역로 구축

현재 정화의 함대가 대서양을 지나, 아메리카, 호주, 남극을 순항하여 지구를 일주했다는 가설이 설득력 있게 제기되고 있음

 

“콜럼버스가 아메리카를 발견한 1492년, 그는 이미 72년이나 늦었다. 실제로는 明나라 제독 정화의 함대가 이미 1421년 아메리카를 발견했다. 콜럼버스나 마젤란은 정화 함대가 만든 지도를 가지고 대항해에 나섰던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정화 함대는 당시 세계에서 가장 발달한 조선술과 항해술로 세계 일주까지 마쳤을 개연성이 대단히 높다.”

*2002년 3월 15일, 영국 왕립지리학회에서 발표한 개빈 멘지스(Gavin Menzies) 의 주장 중에서

%ec%a7%80%eb%8f%84
정화의 해상지도

③ 상생 추구, 최초의 glocalization

칭기즈칸의 초토화식 정복이나 콜럼버스 식의 약탈과 착취가 아니라, 대상국가의 문화적 전통과 질서를 존중하는 평화적 조공관계 수립

상호이익이 되는 무역관계를 구축함으로써, 원정이 반복될수록 무자비한 정복 부대에서 환영받는 친선사절단으로 변모. 정화는 수많은 이국의 동식물, 보물을 가지고 귀국했는데 황제가 가장 신기하게 생각한 것은 ‘기린’이었음. 황제가 기린을 보고 기뻐했다는 소식이 알려지자, 후속 원정 시 많은 남양 국가들이 사자, 기린, 아라비아 말, 진주 등 특산물을 경쟁적으로 정화에게 바침

조공관계만을 맺는 방식의 남해원정은 이후 유럽의 착취적 식민지화에 비해 중국 경제에 미치는 플러스 효과가 적었다는 주장도 있음. 그러나 일방적 착취가 아닌 조공무역은 21세기에 보다 적합한 최초의 glocalization 모델이라고 할 수 있음 → 상생적 국제화

%ea%b8%b0%eb%a6%b0
기린을 싣고 돌아오는 정화의 정크선

④ 조선술, 항해술의 혁신

정화는 당시 발달한 중국의 조선술과 항해술을 활용해 세계 최강의 해군을 육성

최대 정크선은 크기가 전장 150m, 너비 약 60m, 무게 8천 톤급으로 1천 명의 선원이 탑승할 수 있는 당시 세계 최대 규모(타이타닉호의 길이는 270m). 1백 년 뒤 콜럼버스가 신대륙을 찾아 나설 때 이용한 ‘니나호’ 규모는 이 정크선의 12분의 1에 불과

최신 조선기술인 수밀구획(水密區劃)[9]을 설치하는 등 당시 유럽 범선으로서는 흉내낼 수 없는 고도의 기술 보유. 또한 양면으로 바람을 받을 수 있는 사각 돛으로 역주 성능이 탁월

이러한 함선 60여 척과 병력 2만 7천명을 이끌고 중국의 위상을 세계에 떨침


[1] 元나라(1271∼1368): 몽골족의 칭기즈칸이 금(金)과 남송(南宋)을 멸망시키고 이민족으로서는 처음으로 중국 전역을 지배한 정복왕조.

[2] 티무르제국: 1370∼1507년에 걸쳐 중앙아시아, 이란, 아프가니스탄을 지배한 왕조. 중앙아시아 유목민의 군사력과 오아시스 정주민의 경제력을 기반으로 티무르가 창설. 정치적으로 강력한 국가는 아니었으나 티무르를 비롯한 여러 왕들의 학문, 예술 보호로 화려한 궁정문화가 발달했으며 중앙아시아 최고의 문화 수준을 과시

[3] 색목인(色目人): 원나라 때 몽골정권에 귀복(歸伏)한 서방계 민족의 총칭. 눈의 색깔이 다르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 중국은 지배수단으로 색목인들에게 준지배자로서의 특권을 부여하고, 문무 각 방면에서 중용.

[4] 정난의 변(靖難의 變): 중국 明나라 초에 왕위계승을 둘러싸고 일어난 내란. ‘정난(靖難)’은 연왕이 거병하면서 “간신들을 제거하여 황실의 난을 다스린다”는 명목을 내세운 데서 유래.

[5] 마젤란(Ferdinand Magellan 1480?∼1521): 포르투갈 항해가. 마젤란해협의 발견자.

[6] 사마천(司馬遷): 중국 전한시대 역사학자.「사기(史記)」의 저자.

[7] 메카(Mecca) 성지: 사우디아라비아 서부 헤자즈 지방의 주요 도시. 아랍어명은 마카 (Makkah)이며 이슬람교의 가장 중요한 성지. 현재 약 10억의 이슬람교도들은 매일 메카 쪽을 향하여 예배를 보고 있으며 순례의 달에는 약 250만의 순례자들이 메카를 방문.

[8] 정크선: 중국 수역에서 수천 년 동안 널리 사용되어온 범선의 총칭. 중국어인 촨(船)에서 인도네시아어 종(djong)이 되었다가 다시 영어 junk로 바뀜. 구조상의 공통된 특징으로 수많은 수밀구획으로 나뉘어 일부 파손에도 침몰되지 않음.

[9] 수밀구획(水密區劃, watertight subdivision): 선박에 손상이나 침수가 생길 경우를 대비하여 선박 내부는 수압을 가해도 물이 새지 않도록 칸막이(수밀격벽)를 설치해 구분하는 구획방식. 속은 비어 있고, 마디와 마디 사이는 막혀 있는 대나무에서 착안했다고 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