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순봉, 류상영, 전영재. 지식기반경제에서 정부의 역할. 삼성경제연구소. 1999.

류상영 박사, 전영재 박사와 함께 지식기반경제라는 정책환경 속에서 요구되는 정부의 바람직한 역할에 대해 정리했다.

  • 세계(선진국 및 경쟁국)는 이미 정보사회를 기반으로 지식기반경제로 진입
  • 특히 경제위기를 경험한 한국이 잠재성장력 회복을 통해 장기적,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지식창조와 활용이 시급한 과제로 대두
  • 지식기반 경제에서는 지식정부의 역할이 지대하므로 지식정부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가 선결요건이며 자원의 효과적 배분이 매우 중요 🙂

원문보기_156p


[목차]

제1부. 지식과 지식기반경제

제1장. 서론: 연구의 필요성

1. 연구의 취지
2. 지식기반경제 구축의 시급성
3. 연구의 주안점

제2장. 지식

1. 지식의 범주
2. 지식의 류형
3. 지식의 속성
4. 지식활동의 주체
5. 주체별 지식활동

제3장. 지식기반경제

1. 지식기반경제의 필요성
2. 한국의 지식 류형과 현수준
3. 지식기반경제

제2부. 지식기반경제에서 정부의 역할

제4장. 바람직한 지식정부의 모습

1. 정부역할을 둘러싼 일반론적인 환경변화
2. 정부의 새로운 비전: 일반론으로서 4S
3. 지식정부와 관련된 환경변화
4. 지식정부의 새로운 패러다임
5. 지식정부의 모습
6. 지식정부의 지향점

제5장. 지식정부의 기본모형

1. 지식정부의 목표: 정부경쟁력 제고
2. 지식정부의 3대 전략
3. 지식자산
4. 지식활동
5. 지식정부의 인프라

제6장. 선진정부 사례와 한국정부의 현위치

1. 선진정부의 지식강화 노력
2. 지식차원에서 한국정부의 현위치

제7장. 지식정부 실현을 위한 전략과제

1. 지식인프라 구축을 위한 과제
2. 지식자산 활용을 위한 과제

제8장. 전략적 우선순위 및 변화관리

1. 전략적 우선순위의 설정
2. 지식정부 실현을 위한 변화관리
3. 추진 단계별 고려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