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 전문가께서 행복 증진과 관련된 해외 사례를 간략히 정리해서 보내왔다.


영국의 행복운동(Action for Happiness)

  • 영국의 대표적 행복운동단체 홈페이지(actionforhappiness.org) 자료 정리
  • 전세계의 연구자들이 행복을 연구하며, 대체로 아래 10가지 행복한 삶 만드는 방법을 제시한다고 주장
  • 이 10가지 방법의 내용을 요약하고, 각 머리문자를 따서 “GREAT DREAM” 이라고 칭함

나눔(GIVING: Do things for others)

  • 다른 사람을 도와주기 위하여 당신을 무슨 일을 하는가?
  • 님을 도와주면 행복해진다.
  • 돈 뿐 아니라, 시간, 아이디어, 에너지를 남에게 준다.

연결(RELATING: Connect with people)

  • 당신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인가?
  • 다른 사람, 특히 가족과 친구들과의 사회관계를 통해서 행복하고 건강하고 장수한다.
  • 관계를 통해 소속감 얻는다.

운동(EXERCISING: Take care of your body)

  • 활동적이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하여 당신은 무엇을 하는가?
  • 우리 몸과 마음은 연결되어 있다.
  • 몸을 움직이며 운동하면 행복해진다.

관심(APPRECIATING: Notice the world around)

  • 언제 당신은 잠시 하던 일을 멈추고 다른 일에도 관심을 보이는가?
  • 일상사를 잠시 벗어나 주변을 둘러보고 타자를 인지해야 한다.

배움(TRYING OUT: Keep learning new things)

  • 최근 당신이 새로운 일을 시도한 것이 언제인가?
  • 배움은 우리 삶에 긍정적인 힘을 준다.
  • 새로운 아이디어를 알게 되고 호기심을 갖게 해준다.
  • 공식교육기관에서 배우는 것만이 아니라 일상에서 친구에게나 단체에서도 배운다.

지향(DIRECTION: Have goals to look forward to)

  • 당신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무엇인가?
  • 미래 방향과 목적이 있으면 동기부여가 되고 도전하게 되고 즐겁게 된다.
  • 그러나 도전적이면서 실현가능한 목표를 설정해야 한다.

강인(RESILIENCE: Find ways to bounce back)

  • 당신은 어려운 시기를 어떻게 극복하는가?
  • 모든 사람은 스트레스와 실패 등을 겪는다.
  • 이를 어떻게 극복하고 빨리 회복하는가가 중요하다.

감정(EMOTION: Take a positive approach)

  • 당신은 어떻게 긍정 감정을 갖는가?
  • 즐거움, 감사, 만족 등과 같은 긍정 감정은 상승작용을 하며 행복하게 해준다.

수긍(ACCEPTANCE: Be comfortable with who you are)

  • 당신이 진짜로 좋아하는 것은 무엇인가?
  • 완벽한 사람은 없다.
  • 다른 사람과 비교하면 행복하기 힘들다. 자신의 결점도 인정하고 살아가라.

의미(MEANING: Be part of something bigger)

  • 무엇이 당신에게 인생의 의미를 주는가?
  • 의미와 목적을 갖고 있는 사람은 행복하다.
  • 종교나 직업 등에서 인생의 의미와 목적을 찾아야 한다.

직장에서의 행복

직장에서 행복 하려면 아래와 같이 하라고 권고하는 The Happy Manifesto의 내용도 위의 10가지 방법과 비슷하다.

  1. 믿어라
  2. 즐겁게 하라
  3. 자유를 주어라
  4. 개방하고, 투명하게 보여주어라
  5. 태도를 보고 사람을 찾아라, 기술은 훈련시키면 된다
  6. 실수를 용인하라
  7. 공동체와 공동의 이익을 만들어라
  8. 일을 사랑하고, 인생을 즐겨라
  9. 관리를 잘하는 경영자를 선발하라

행복(well-being)을 위한 5가지 방법

  • 영국 지방정부가 주민의 행복(well-being)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해야 할 일을 정리한 보고서에도 비슷한 내용
  • 2009년, 영국정부의 미래연구 싱크탱크인 Foresight가 수행한 연구결과[1]

관계(Connect)

주위 사람들과 함께 살아가야 한다. 직장, 가정, 학교 그리고 지역사회 사람들과 어울려 살아야 한다. 이들과의 관계가 인생에서 아주 중요하다. 그러니 시간을 투자해서 이들과의 관계를 잘 만들어야 한다. 이런 관계를 만들어 가는 것은 일상을 지원하고 풍부하게 만들어 줄 것이다.

운동(Be active)

걷고 뛰어라. 밖으로 나가고 게임을 하고, 정원을 가꾸고 춤을 추어라. 운동을 하면 기분이 좋아진다. 당신이 즐기는 물리적 움직임을 찾아라.

관심(Take notice)

호기심을 갖고, 아름다운 것을 찾고, 비범한 것을 찾아라. 계절의 변화를 알아차려라.

학습(Keep learning)

새로운 것을 배우고 도전해보라. 과거의 관심도 되살려보라.

기부(Give)

친구와 낯선 사람 모두에게 친절하게 대하고 감사하라.


프랑스 정부 보고서

  • 프랑스의 사르코지 대통령은 2008년도 현재의 GDP 와 같은 경제 통계가 경제와 사회발전을 제대로 보여주지 못한다고 생각하여 새로운 통계를 만들라고 지시
  • 경제성과와 사회발전을 정확하게 보여주기 위한 새로운 측정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위원회 발족
  •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스티글리츠 교수(Professor Joseph E. STIGLITZ, Chair, Columbia University)와 센 교수(Professor Amartya SEN, Chair Adviser, Harvard University)가 각각 위원장과 위원장 자문역으로 참가
  • 위원회가 개발한 새로운 측정도구는 개인의 행복, 웰빙을 중요한 요소로 담아야 한다고 제안[2]
  • 미국에서 영문으로 책 출간, 한국어 번역(GDP는 틀렸다, 2011)
  • 행복(sell-being)은 다차원이다. 여러 가지 차원의 다양한 요소가 행복에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기존의 소득 측정에서는 이런 요소를 간과하여 담지 않고 있다. 아래와 같은 차원을 고려해야 한다. 행복의 객관적 그리고 주관적 차원이 모두 중요하다.
  1. 물질생활수준: 소득, 소비, 부(Material living standards: income, consumption and wealth)
  2. 건강(Health)
  3. 교육(Education)
  4. 일 등 개인활동(Personal activities including work)
  5. 정치발언권과 지배(Political voice and governance)
  6. 사회적 연결과 관계(Social connections and relationships)
  7. 환경: 현재와 미래 조건(environment: present and future conditions)
  8. 경제와 물리적 불안정(Insecurity, of an economic as well as a physical nature)

[1] https://neweconomics.org/

[2] pdf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