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slie, Sara Graviser, Jennifer Aaker, and Carole Robin. “The Psychology of Happiness”. Stanford Graduate School of Business Case M-330. (2010): 1-14.

[주요내용] 박옥룡 등 정리

행복은 객관적이고 지속적으로 측정할 수 있음

행복은 의미 있는 경험과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

우리는 무엇이 우리를 행복하게 하는지 오해하고 있음

  • 사람들은 부를 추구하지만, 부는 행복을 증가시키지 않음
  • 선택의 자유는 기쁨을 주지만 너무 많으면 부담이 됨
  • 우리는 나이를 먹으면서 변화하는 행복개념을 쫓고 있음
  • 우리는 행복을 정확하게 기억하지 못함

행복에서 유전적 요인이 50% 정도로 절대적이며, 개인별로 행복에 대한 고정값(set point)가 있으므로 통제하기 어려움

제한적이지만 행복을 높이기 위해 할 수 있는 일들이 있음

  • 가족, 친구 등 친근한 사람들과 시간을 보내기,
  • 긍정적이고 감사하는 마음 갖기
  • 몰입의 경험 (운동이나 취미에서는 경험하기 쉬움)
  • 목적 있는 삶 (자원봉사자들은 행복함)
  • 삶의 전체적인 관점에서 균형 잡힌 의미 발견하기
  • 행복은 추구하는 것이 아닌 순간의 기쁨과 의미를 발견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