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I와 “디지털2″운영위원회가 공동으로 “대한민국이 열어가는 디지털 르네상스”라는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project home

과연 한국은 디지털 강국인가, 디지털로 한국 사회는 얼마나 변했나, 디지털 한국의 미래는 어떻게 될 것인가. 디지털 물결이 최근 몇 년 간 국내 산업과 사회 전반에 몰고 온 변화상과 함께 디지털 한국이 직면한 근본적 화두를 진단했다.
심포지엄 브로셔


환영사. 정구현(삼성경제연구소 소장)

[축사] 디지털과 한국의 미래. 진대제(정보통신부 장관)

[발제] 열린 연구 디지털2, 탄생과 진화에 대하여. 윤순봉.
[관련자료 video 19분+ppt 116p]


1. 디지털과 기업경영의 新 패러다임   

 1.1. 유비쿼터스 경영환경 전망

#1. 유비쿼터스 컴퓨팅 개념의 재정립: U-서비스의 발전 방향에 관한 연구. 이정우(연세대 교수)

#2.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에서의 상거래 비즈니스 모델 변화 이경전(경희대 교수, 경영학)

#3. u-비즈니스 어떻게 볼 것인가? -TISSUE Model. 임춘성(연세대 교수, 산업정보시스템연구실)

1.2. 디지털 마케팅 발전 전망   

#1. 고객주도형 마케팅의 성장과 기업의 과제. 양석준(서울대 박사)

#2. 온라인 쇼핑몰의 진화방향. 이동일(가톨릭대 교수, 경영학)

#3. 디지털 마케팅, 소비자의 진화. 이은영(한국기술교육대 교수)

1.3. 디지털 시대 소비자경제의 변화요인

#1. 디지털 소비사회와 기술적 진화. 최항섭(KISDI 연구위원)

#2. 디지털 시대의 Early Adopter 특성. 김재윤(SERI)

#3. Ubiquitous Personalization: 개인화를 위한 물리공간과 전자공간 융합거리 측정방안. 박주석(경희대 교수), 최경규(서울대 교수)


2. 디지털 시대 국가경제의 새로운 시스템

2.1. 디지털의 경제적 효과

#1. U-IT 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U-IT 실현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김범환(배재대 교수)

#2. The New Economy? A Macroeconomic Analysi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vestment with Fast Structural Changes and Volatile Productivity Growth. 이병태(KAIST 교수), Wesley Shu(Santa Clara University)

#3. Extreme Shock의 시뮬레이션. 오경주(연세대 교수, 정보산업학과)

2.2. 디지털 시대 국가와 기업의 혁신 방안

#1. 디지털기반 선진 국가경영. 김현곤(한국전산원 정보화기획단장)

#2. IT신기술을 사용한 기업투명성 제고와 경제발전 도모 방안. 이재형(서울시립대 수석연구원)

#3. 정보화를 통한 중소제조기업 혁신 방안. 주석정(중소기업정보화경영원 디지털경영센터장), 박성규(가톨릭대 교수, 경영학), 홍순구 (동아대 교수, 경영정보과학), 김나랑 (동아대 경영정보과학부 박사과정)

2.3. 디지털 정보 유통 메커니즘 평가와 대응

#1. Information Cascade on the Net. 양광민(중앙대 교수)

#2. 타인과의 합의: 조직 내 정보화활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가? 양희동(이대 교수, 경영학)

#3. 온라인 외부성 문제와 그 해결 방안: 스팸메일 문제를 중심으로. 이종수(서울대, 기술정책대학원)


3. 디지털과 한국사회의 새로운 지평    

3.1. 온라인 네트워크와 생태계

#1. 온라인 네트워크와 사회구조. 장덕진(서울대 교수, 사회학), 정재기(한림대 교수, 사회학)

#2. 인터넷 생태계의 구조와 변동. 한준(연세대 교수)

#3. Digital Play, Experience & Learning: 디지털 놀이, 경험, 학습. 최인규(인제대 교수, 디자인학부)

3.2. 전자 민주주의와 디지털 거버넌스

#1. 인터넷과 정치참여: 한국의 경험. 강원택(숭실대 교수), 이원대(서강대 교수)

#2. 디지털 거버넌스: 정보사회의 국가-시장-시민의 미래. 조화순(서울산업대 교수), 송경재 (경희대 교수)

#3. 인터넷 담론의 현실 개입 메커니즘. 구본권(한겨레신문 기자)

3.3. 사이버 세대와 문화

#1. 디지털 사회의 문화: 디지털 키드의 디지털 서비스 이용행동의 심리. 황상민(연세대 교수, 심리학)

#2. DMB의 도입과 미디어 환경 변화. 도준호(숙명여대 교수, 언론정보학)

#3. 청년세대의 인터넷 이용과 일상생활의 변화. 배영(숭실대 교수, 정보사회학)


4. 디지털 기술ㆍ산업 패러다임 변화    

4.1. 디지털 기술과 산업

#1. 디지털과 산업간 융합(Heterogeneous Industry Convergence). 김성철(한국정보통신대 교수, 경영학)

#2. Open Source. 백영란(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 박사)

#3. 디지털 기술혁신과 디지털 콘텐츠 산업 패러다임. 황준석(서울대 교수, 기술정책대학원)

4.2. 산업경쟁의 新구도  

#1. 디지털 재화 시장에서의 독과점 현상에 관한 연구. 오정훈(고려대 교수, 국제대학원)

#2. 인터넷 신문의 유료화 전략. 최용제(한국외국어대 교수, 경제학과)

#3. 온라인과 오프라인 시장의 경쟁: 음악산업 사례연구. 윤충한(한양대 교수), 이종수(한국금융연구원)

4.3. 디지털 라이프와 신산업의 태동

#1. 21세기 산업형성의 패러다임 전환: 온라인게임 사례를 중심으로. 위정현(중앙대 교수, 게임콘텐츠연구센터 소장)

#2. Bang On Line: 디지털과 건축의 만남. 유석연(hna온고당건축 대표)

#3. 디지털 병원의 현재와 미래. 이학종(서울의대 교수)


5. 디지털 확산과 생활문화의 新양식   

5.1. 디지털 확산과 문화ㆍ예술의 변화   

#1. 디지털 기술과 영상산업의 발전 방향: 인터렉티브 TV(ITV). 김영용(서강대 교수, 영상대학원)

#2. 패션 상품에 눈뜨는 디지털 세대의 남성. 전양진(명지대 교수, 의상디자인학과)

#3. 디지털 생활 속의 디자인과 예술의 진화: 웹아트 사례 중심으로. 김혜경(경희대 교수, 멀티미디어 창작과)

5.2. 모바일 네트워크 확산과 도시ㆍ교육의 변화

#1. 모바일 미디어의 문화적 특질. 김성도(고려대 교수, 언어학과 & 영상문화학과)

#2. 무선인터넷 확산과 도시의 변화: 효율적 U-city 구축방안. 오명환(한양대 교수, 전자전기컴퓨터공학부)

#3. 미래 교육의 준비: ICT에서 U-learning으로. 김형주(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학박사)

5.3. 디지털 기술과 사회 인프라의 발전 

#1. 디지털시대 미래전쟁 양상과 우리의 대응. 이강택(공군대학 교수)

#2. 지능형 교통 사고 예방 및 조사시스템 개발. 홍유식(상지대 교수)

#3. 사이버범죄 현황과 대응방안. 남길우(한국정보문화진흥원)


[언론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