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abile, T. M., Conti, R., Coon, H., Lazenby, J., & Herron, M. (1998). Assessing the work environment for creativit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39(3), 1154-1184. 원문보기
저자
- Teresa M. Amabile: Professor of business administration at Harvard University. Professor of psychology at Brandeis University(전). 사회적 환경이 동기, 창의성, 혁신에 미치는 영향 연구. 현재는 일상 사건(daily events)이 직무 환경 지각, 동기, 직무에 관한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서 연구 중 [harvard]
- Regina Conti: Assistant professor of psychology at Colgate University. Ph. D. degree in social/developmental psychology at Brandeis University. 현재 지연(procrastination)의 선행 요인(antecedents)에 관해서 탐색하고 인원 감량(downsizing)이 혁신에 관한 조직의 풍토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연구 중
- Heather Coon: Ph. D. Student in the social psychology program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현재 문화 규범과 미국인들의 개인주의에 관해서 연구 중
- Jeffrey Lazenby: Pursuing a Ph.D. degree in social psychology at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현재 고객 만족, 다평정자 환류(multirater feedback), 조직 변화에 관해 연구 중
- Michael Herron: Consultant for Personnel Decisions International in Dallas, Texas. Ph.D. degree in organizational psychology from the California School of Professional Psychology. 현재 개인 평가, 리더십 지도(coaching), 조직 개발과 관련하여 일하고 있음
논문성격: 실증연구
연구목적
본 연구자들은 개인적 특징뿐만 아니라 사회적 환경도 창의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가정아래 창의성에 영향을 주는 환경을 측정할 수 있는 KEYS를 개발하고, 이를 조직 내 프로젝트 팀에 적용시켜서 검증
KEYS와 KEYS의 근간이 된 모델은 창의성과 정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은 자극 척도(stimulant scales)라고 하고, 부적으로 관계가 있는 것(-)은 방해 척도(obstacle scales)라고 명명
논문구성
- background
- conceptual model
- research apporach
-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keys
- a test of the validity of keys
- conclusions
연구방법
참가자: 12,525개의 사례로 구성된 자료를 분석
측정: KEYS는 총 78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었는데 그 중 66개는 직무 환경을 나머지 12개 항목은 응답자들의 두 가지 직무 수행 기준(창의성, 생산성)에 대해 측정
두 가지 연구방법
1) 세 종류의 집단(중간 수준 관리자(1), 독립적 전문가, (1) 외의 다른 팀 구성원)이 프로젝트들을 KEYS에 따라 평가
2) 이 집단들의 평정이 일관적인 정도와 창의성이 높은 프로젝트와 창의성이 낮은 프로젝트 간에 KEYS 상에서 차이가 있는지 분석
연구에 포함된 척도
척도 이름 | 문항 수 | 설명 | 예시 |
자극 척도
조직 고무 |
15 | 공평함, 아이디어에 대한 건설적 판단, 창의적 작업에 대한 인정과 보상, 새로운 아이디어 개발에 관한 기제, 아이디어의 활발한 흐름, 조직이 무엇을 시도할 것인가에 관한 공유된 비전 등을 통해서 창의성을 고무하는 문화 | 이 조직에서 사람들은 문제를 창의적으로 풀도록 고무된다 |
상사 고무 | 11 | 작업 집단에서 좋은 직무 모델 역할이 되고, 적절한 목표를 설정하고, 작업 집단을 지지하고, 개인 기여의 가치를 인정해 주고, 확신을 보이는 상사 | 나의 상사는 좋은 역할 모델이 되다 |
작업 집단 지원 | 8 | 사람들이 원활하게 의사소통 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에 개방적이고, 건설적으로 타인의 업무에 도전하고, 서로를 신뢰하고 돕고, 그들이 하고 있는 일에 몰입을 느끼는 다양한 기술을 지닌 작업 집단 | 나의 작업 집단에는 자유롭고 개방적으로 의사소통 한다. |
충분한 자원 | 6 | 자금, 재료, 시설, 정보를 포함한 적절한 자원에 대한 점근 수단(access) | 일반적으로, 나는 직무에 필요한 자원을 얻을 수 있다 |
도전적 업무 | 5 | 도전적 과제나 중요한 프로젝트를 열심히 해야 한다고 느끼는 것 | 나는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도전을 받는다 |
자유 | 4 | 무엇을 어떻게 할지를 결정하는 것에 대한 자유; 자신의 일에 관한 통제력 지각 | 나는 내 프로젝트를 앞으로 어떻게 수행해 나갈지를 결정할 자유가 있다 |
장애 척도
조직 방해 |
12 | 내부의 정치적 문제, 새로운 아이디어에 대한 맹렬할 비판, 파괴적 내적 경쟁, 위험 회피, 현상에 관한 과대한 강조 등을 통해서 창의성을 방해하는 문화 | 이 조직에는 많은 정치적인 문제들이 있다 |
업무부하 압박 | 5 | 극도의 압박, 생산성에 대한 비현실적 기대, 창의적인 업무로 부터의 주의 분산(distraction) | 나는 매우 짧은 시간 동안 해야 할 일이 너무 많다 |
기준 척도
창의성 |
6 | 많은 창의적인 것이 요구되고, 사람들이 그들 자신이 실제로 창의적인 제작물을 양산한다고 믿는 조직이나 단위(unit) | 이 조직에서 내가 근무하는 곳은 혁신적이다 |
생산성 | 6 | 효율적이고, 효과적이고, 생산적인 조직 또는 단위(unit) | 이 조직에서 내가 근무하는 곳은 효과적이다 |
연구내용
1. KEYS의 심리측정적 특징(연구 1)
결과와 토론
이론의 예측한 것과 일관되게 창의성 자극에 6가지가 요인이 포함되고 창의성 방해에 두 가지 요인이 포함(단, 자유와 도전적 업무의 신뢰도가 약간 낮음)
토론
전반적으로 심리 측정적 특징은 만족스럽지만, 자유 척도의 신뢰도를 증진 시킬 필요 있음
2. KEYS의 타당도 검증(연구 2)
KEYS가 창의적인 제작물이 생산되는 작업 환경과 덜 창의적인 제작물을 구분 할 수 있는지를 살핌
가설
1)가설1. 창의성이 높은 프로젝트가 창의성이 낮은 프로젝트에 비해서 KEYS의 자극 척도(조직 고무, 상사 고무, 작업 집단 지원, 자유, 충분한 자원, 도전)에서 높게 평가될 것이다.
2)가설2. 창의성이 높은 프로젝트가 창의성이 낮은 프로젝트에 비해서 KEYS의 방해 척도(직무 부하 압박(workload pressures), 조직적 방해)에서 낮게 평가될 것이다.
결과
1)표 3에 제시된 것과 같이 창의성이 높다고 명명된 프로젝트가 창의성이 낮다고 명명된 프로젝트보다 도적적 업무, 조직적 고무, 작업 집단 지지, 자유, 상사 고무, 충분한 자원, 창의성, 생산성이 높았고, 조직 방해와 직무부하 압박은 낮음
2)유사한 결과가 다른 두 집단에서 지지됨(표 4참고)
토론
가설과 일치하게 창의성이 높은 프로젝트에 대해서 KEYS 척도에서 제안된 창의성 자극은 평정하고 창의성 방해는 낮게 평정
연구의 한계
결과가 프로젝트 팀에서 팀 수준으로 합쳐 졌기 때문에 팀 수준에만 일반화 가능
다른 수준에 KEYS를 적용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
실험 결과가 아니기 때문에 “직무 환경이 창의성에 영향을 준다”와 같은 인과적 해석 불가능
몇 가지 편견(bias)이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 있음(예: memory biases, idiosyncrasy biases, halo effect 등)
실천적 함의
환경에 관한 지각이 조직 내에서 창의성 수준을 다르게 만들기 때문에 창의적 아이디어 생성에 영향을 주는 조직 맥락을 심각하게 고려 하는 것 필요
KEYS는 창의적 업무를 조장하는 조직의 직무 환경을 상대적으로 진단하게 하고, 환경을 증진하려는 노력을 평가할 수 있게 함
연구의 가치
응답자들이 자신들의 직무 환경을 측정한 첫 번째 양적 연구
작업 환경에서의 창의성 측정치를 독립적으로 분리
다양한 직무 상황에 적용 가능
키워드
창의성, 척도, 사회적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