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국가 지식생태계(National Knowledge Ecosystem)의 중요성

2. 2015년 바람직한 모습: “동북아 지식강국”

3. 우리의 현주소: “국가 지식생태계의 붕괴”

현상 ① 본원적 지식축적역량 부족 (기초체력 弱)
현상 ② 지식순환 및 인적교류 미흡 (동맥경화)
현상 ③ 총체적 지식관리 부재 (신경계 질환)

원인 ① 자원부족, 의식의 왜곡
원인 ② 개인 및 조직 이기주의에 함몰
원인 ③ 환경변화에 부적응

4. 정책 기조: Middle-up&down

5. 정책대안 및 실천과제

국가 지식생태계 복원을 위한 3대 정책대안
① 지식섹터의 활성화(Revitalization)
② 역동적 지식순환시스템 정비(Dynamism)
③ 국가 지식생태계 조성자로서 역할 재정립(Field Creator)

9대 실천과제
① ‘지식생태계의 허브’, 대학의 기초체력을 우선적으로 복원
② Techno-Knowledge와 Socio-Knowledge를 창출하는 다양한 원천을 개발
③ 국내 토종학계의 대외의존성 탈피와 세계화를 추진
④ 온ㆍ오프라인 지식네트워크를 융합하는 e-Knowledge 체제를 구축
⑤ 지식의 창출과 유통을 촉진하기 위한 법․제도적 인프라 정비
⑥ 국내에서 다양한 ‘지적충돌의 場’을 마련
⑦ 지식강국으로서의 국가비전과 그랜드 마스터플랜을 수립
⑧ 국가비전을 일관성있고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국가조직체제를 구축
⑨ 사회적 파급효과가 큰 공공재적 기반지식을 선행적으로 공급


원문보기_text 18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