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base home

약력

  • 1863, 미시간 주 웨인 출생, 학업을 중단하고 15세 때 機械工이 되어 자동차 제작에 몰두
  • 1899, 디트로이트에 있는 에디슨전기회사에서 기술책임자로 근무
  • 1903, 동업자와 함께 자본금 10만 달러로 포드자동차회사를 설립
  • 1908, 세계 최초의 量産大衆車인 포드 T-Model 출시
  • 1913, 조립라인방식에 의한 양산체제인 포드시스템을 확립하고 합리적 경영방식을 도입
  • 1914, 최저임금 日給 5달러, 1일 8시간 노동이라는 당시로서는 파격적인 임금정책을 실천
  • 포드자동차회사는 1924년에는 시장 점유율 50%에 육박
  • 1920년대 말에는 경쟁사인 제너럴모터스사(GM)에 수위를 빼앗기고, 경영이 악화
  • 1936, 포드財團 설립

시대적 배경

포드의 전성기(1903~1929)는 내연기관- 전기- 철도 등으로 대표되는 2차 산업혁명의 절정기이자, 미국경제의 고도성장기(1903~1926, 연평균 7.0% 성장)

카네기가 鐵道로 미국의 産業革命- 高度成長을 시작한 인물이라면, 포드는 自動車로 이를 완성


성장 과정

아일랜드에서 이주해온 농부의 아들로 태어남

부친은 헨리가 가업을 이어 농업에 종사하기를 희망했으나 어렸을 때부터 기계에 관심이 높아 디트로이트에서 공장생활을 선택

에디슨電氣會社 재직 시, 에디슨 앞에서 자신의 자동차 모델을 선보일 기회가 있었고(1896) 이때 에디슨은 “내연기관 자동차의 미래를 보았다.”고 격려


주요 업적

거대한 경제성장의 흐름 속에서 성장을 주도하며, 自動車라는 수단을 통해 現代社會의 모습을 根本的으로 變化시킴


후대에 미친 영향

스스로 ‘자동차의 발명가’가 아니라 ‘현대사회의 발명가’로 자처할 만큼, 미국 현대사회의 삶의 모습에 큰 영향

자동차뿐 아니라, 대량생산방식, 현대적 기업, 슈퍼마켓, 더 나아가 중산층 및 이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창출


리더십 특성

① 開放的 혁신가(open-minded innovator)

내연기관에 대한 꿈과 熱情을 품고 과감히 도전

에디슨전기회사에 근무하던 시절 집에 집 뒤에 오두막 작업장을 설치하고 퇴근 후 매일 밤 자동차 제조에 半年 이상 몰두

회사의 고위직에 오른 후, 안정적인 샐러리맨의 삶을 포기하고 36세의 나이에 자동차 사업에 투신

獨不將軍式 發明家가 아니라 협력과 교류를 통한 開放的 革新家

자기만의 것을 고집하지 않고 구할 수 있는 외부의 도움은 최대한 끌어오는 개방적 태도를 견지. 다른 엔지니어들의 협조를 요청하고 구입 가능한 다른 회사의 부품들을 모두 적용

에디슨같이 획기적인 발명보다는, 기존 내연기관 자동차의 아이디어를 응용-개선하고자 함[1]

포드가 자동차 사업에 투신했을 때 이미 자동차가 시장에서 매매되고 있었고 대량생산 시스템은 엘리 휘트니[2]에 의해 이미 도입

그는 새로운 발명을 미국의 경제생활에 접목시키고 정착시키는 데 탁월한 능력을 발휘

그는 市場經濟를 활용, 비효율적 생산자를 퇴출시키고 효율적 생산자를 한층 효율화하여, 미국 경제의 성장패턴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킴

② T-Model로 그랜드 캐니언 走破

자동차가 ‘어른들의 장난감’이던 시절, 모든 사람들이 자동차를 타는 사회를 구상

당시 다른 자동차 제조업자들은 포드와 같은 비전과 전망을 갖지 못함

1912년 T-Model로 그랜드 캐니언에 진입했다가 빠져 나오는 상징적 이벤트를 통해 자동차 보급을 주도. “눈, 진흙탕, 사막의 모래 위에서도 달린다”는 개념으로 기존의 포장도로에서만 달릴 수 있던 자동차와 차별화. 당시 포장도로가 미비한 상황에서도 전국 곳곳, 농촌까지 보급

파격적인 低가격, 高임금 정책으로 대량생산(mass-production)시대 개막

‘가격인하 → 시장확대 → 대량생산 → 규모의 경제 → 저원가- 저가격 유지’라는 선순환 구축. 현재 여건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미래의 이상적 모습을 상정하고 그로부터 현재의 바람직한 전략을 모색하는 逆進式(backward) 思考

‘일당 5달러(Five $ Day)’를 적용하여 高賃金- 高生産性 정책 구현. ‘고임금 →우수직원 유치, 사기제고 →생산성 향상 →지불능력 제고 →고임금 유지’의 선순환 형성

자동차 제조만이 아니라 자동차를 운전하는 라이프스타일 자체를 창조

도시와 농촌의 경계를 낮춤

호환성 있는 자동차 부품의 개발과 공급체계 개선으로 연관산업 발전에 기여

高임금으로 인해 구매력이 높아진 포드社 직원들을 대상으로 저가의 생필품 매장을 개설. 슈퍼마켓 아이디어를 창안

※존 다링거라는 이름의 소년은 헨리 포드가 학교교육에 대해 상당히 편협한 시각을 갖고 있다고 생각해 “할아버지, 이젠 세상이 달라졌어요. 지금은 ‘現代’란 말이에요.” 라고 하자 포드는 “얘야, 그 ‘現代’를 발명한 게 나란다.”고 대답

③ 近代的 勞務管理 창시

포드는 더 많이 주고 높은 생산성을 끌어내는 高임금-低인건비 정책의 창시자

단, 자동화를 통해 비숙련 노동자를 고용하면서 장기고용계약관행을 무시하고 노동의 柔軟性을 극단적으로 강조. 포드는 현대사회도 기계처럼 효율적이고 명확한 것이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노동자의 장기고용은 비합리적이라고 확신

결국 고용안정을 강력하게 요구하는 노조와의 충돌로 流血事態를 초래. 前科者들로 조직된 ‘봉사부(Ford Service Department, 일종의 救社隊)’를 통한 시위 강제진압으로 물의. 과도하게 경직된 노사관리는 향후 GM에게 추월당하는 빌미를 제공


[1]사실상 포드는 자동차, 대량생산 시스템의 창시자는 아님.

[2]엘리 휘트니(Eli Whitney, 1765~1825): 미국의 기계발명가. 소년 시절 남북전쟁 때 침대제작공장 운영. 1792년 예일대 졸업 후, 목화씨 제거를 위한 간단한 구조의 조면기 발명. 1798년에 정부에 1만 개의 머스킷총의 납품을 계약, 互換式(개개의 부품을 따로 제작하는 방식) 생산법을 채택해 대량생산의 기초를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