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 home

Hunter, S. T., Bedell, K. E., & Mumford, M. D. (2005). Dimensions of creative climate: A general taxonomy. The Korean Journal of Thinking and Problem Solving, 15(2), 97-116.

저자

  • Samuel T. Hunter: University of Oklahoma. [psych.la.psu.edu]
  • Katrina E. Bedell: University of Oklahoma
  • Michael D. Mumford: University of Oklahoma

논문성격: 이론 연구


연구목적

1.목적

창의적 풍토를 위한 새로운 분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2.배경

혁신은 개인과 직무 환경 요소의 상호작용에 의해서 발생, 환경 요소 중 중요한 하나가 조직 풍토임

선행 연구들에서 40개의 다른 창의성 풍토 분류 제안됨(98쪽 표 1참고)

본 연구는 창의적 풍토를 위한 새로운 분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분류 원리: 성공적인 분류를 위해서는 명백한 정의의 존재, 인과적 설명, 일반적 타당화 증거 등이 필요하나 창의적 풍토에 관한 연구들에서 이러한 것들 제공하지 못함

창의적 풍토를 작업장에 대한 지각의 모음이 아니라 창의적 직무 환경의 촉진 요소로 봄으로써 분류법 개발 단계와 관련하여 창의적 풍토를 더 잘 이해할 수 있고, 더욱 포괄적인 창의적 풍토 분류를 제안 할 수 있으리라 희망 가짐

직무 환경의 촉진 요소로서 풍토: 혁신에 중요한 여섯 가지 직무 맥락 요소들

1) 새로운 문제나 새로운 상황에의 노출(Exposure to novel problems or situations): 혁신적이게 되기 위해서는 개인이 정기적으로 도전적이고 인지적인 자극이 있는 환경에 노출되어야 함

2) 목표 자각(Goal awareness): 목표가 명확한 만큼 개인은 주의를 기울이고 자원을 투자 할 수 있음, 그러나 명확한 목표는 구조화된 환경과는 차이가 있음, 구조화된 환경은 개인이 과제를 성취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는지를 지시하여 창의성을 저하시키지만 명확한 목표는 주어진 상황에 가장 적합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창의성을 촉진함

3) 자유(Freedom): 혁신은 다른 것을 행하는 것을 포함함, 그런 면에서 개인이 자유가 적거나 없다면 창의적일 수 없음, 그렇기 때문에 종업원의 자율성을 허용하고, 최고 경영자의 지지가 있고, 유연하고, 위험 감수에 관해 지지적인 직무 맥락은 창의적 수행의 촉진 요소임

4) 창의적이게 되어야만 하는 이유(Reason to be creative): 직관적으로 볼 때 보상을 줌으로써 창의성을 증진 시킬 수 있을 것 같지만 이에 관해서는 논쟁 이 있음, 최근 도전적이고 자극적인 직무 맥락에서 외적 보상이 창의성과 관련 있다는 것 발견, 또한 보상이 조직 수준에서 제공될 때 혁신과 정적 관계에 있음, 이를 종합하면 창의적 보상을 지향하는 직무 환경은 창의성과 혁신을 촉진 시킨다고 제안 할 수 있음

5) 자원 가용성(Resource availability): 창의적 아이디어의 적용은 조직의 자원과 관계가 있음, 그렇기 때문에 개인은 주어진 과제를 수행하기 위한 최소한의 자원은 필요함

6) 아이디어 교환(Idea exchange): 혁신은 거의 개인에 이해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집합적 수전에서 이루어짐, 그렇기 때문에 아이디어가 발생하고 교환되는 만큼 창의성은 최대화 됨, 다음과 같은 직무 맥락이 혁신을 촉진 시킬 수 있음

높은 수준의 개인 참여, 상사와 동료와의 좋은 관계, 정적인 개인간 교환, 부서간 강한 연합이나 조직간 강한 연합

여섯 가지를 구체적으로 정리하면 다음의 14 가지 차원으로 정리 할 수 있음

이름 조작적 정의
정적 친구 집단 지지적이고 지적으로 자극적인 동료 집단에 관한 지각. 신뢰, 개방성, 유머, 좋은 의사소통으로 관계가 특징 지워짐
정적 상사 관계 종업원의 상사가 새롭고 혁신적인 아이디어에 관해서 지지적이라는 지각. 상사는 통제적이지 않은 방식으로 일함
자원 조직이 창의적 아이디어를 고무하고 최종적으로 실행 하도록 촉진 할 수 있는 자원을 지니고 있고 그것을 사용할 의사가 있다는 것에 관한 지각
도전 직무 또는 과제가 도전적이고, 복잡하고, 흥미롭다고 지각하는 동시에 지나치게 혹사시키지 않는다는 지각
임무 명확성 목표에 관한 지각과 창의적 수행과 관련된 기대
자율성 종업원이 자신의 직무를 수행하는데 자율성과 자유를 지닌다는 지각
정적 대인간 교환 종업원들이 조직 내에서 단란함과 응집성(cohesion)을 지각하는 것, 종업원들은 조직 내에서 인지적이고 정서적인 갈등을 적게 경험
지적 자극 아이디어에 관한 논의나 논쟁이 조직에 의해서 지지거나 고무된다고 지각하는 것
최고경영자 지지 창의성이 조직의 높은 수준에 의해서 고무되고 지지된다고 지각하는 것
보상 지향 창의적 수행이 조직 내 보상과 관련 있다는 지각
융통성과 위험 감수 조직이 창의적 노력과 관련된 불확실성이나 모호성을 다루고 위험을 감수할 의향이 있다는 것에 관한 지각
생산 강조 조직이 아이디어의 독창성 뿐만 아니라 질도 중요하게 여긴다는 것에 관한 지각
참여 참여가 고무되고 지지된다는 지각. 동료, 상사 및 부하와의 의사소통이 명확하고 개방되고 효과적임
조직 통합성 조직이 내부 요소 뿐만 아니라 외부 요소와도 잘 통합되어 있다는 지각

논문구성

  • Dimensions of Creative Climate: A General Taxonomy
  • Method
  • Results
  • Discussion

연구방법

문헌 검색(Literature search): 문헌 검색을 통해서 창의적 풍토를 다르게 분류하는 45개의 논문 찾음

분류 코딩(Taxonomic Coding): 제안된 14개의 차원에 45개의 논문에서 제안된 차원들을 분류


연구내용

코딩 결과

1) 현존하는 분류법의 차원들은 제안된 분류법의 차원들과 유사

2) 현존하는 논문에서 가장 많이 탐색된 것은 최고경영자의 지지였고 정적 상사 관계와 정적 동료 집단이 뒤따랐음, 가장 적게 탐색된 차원은 생산성 강조와 지적 자극임

이러한 결과가 가장 많이 탐색된 것이 다른 차원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 하지는 않음, 미래 연구에서 이를 살펴볼 필요 있음

3) 많은 연구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차원(예: 생산성 강조)을 포함시킴으로 제안된 분류법은 대부분의 차원들을 측정하는데 충분

대표적 기존 분류법들과의 비교

1) SSSI: SSSI는 리더십, 주인의식(ownership), 다양성에 관한 규범(norm for diversity), 지속적인 개발, 일관성이 포함되어 있었음, SSSI의 차원들은 제안된 분류법의 차원들과 일관됨

예: 리더십은 정적 상사 관계 차원으로 분류될 수 있고, 주인의식은 자율성에 분류될 수 있음

단 한가지 일관성이 분류하기 어려우나, 이 요인은 SSSI 개발들에게도 문제가 되었음

2) KEYS: 내적 동기 모델에 기초한 것으로 8가지 차원으로는 조직 고무, 상사 고무, 작업 집단 지원, 자유, 충분한 자원, 도전적 업무, 작업 부하 압력, 조직적 방해가 있음, KEYS의 모든 차원은 제안된 분류에 포착됨

예: 자유는 자율성에, 자원은 가용한 자원으로 분류 될 수 있음

3) TCI: 팀에 기초한 조직 풍토 측정치로서 참여적 안전, 혁신 지지, 비전, 과제 지향이 포함됨, TCI의 차원도 제안된 분류에 포착됨

예: 비전은 임무 명확성 차원으로 분류되고, 혁신에 관한 지지는 최고경영자 지지에 포함 될 수 있음

4) CCQ와 SOQ: CCQ는 스웨덴에서 개발된 척도(SOQ는 CCQ의 영어 버전)로 10가지 차원으로 포함, 10가지 차원에는 도전, 자유, 아이디어 지지, 신뢰/개방성, 역동성, 쾌활함, 논쟁, 갈등, 위험 감수, 아이디어 시간이 포함됨, 본 연구에서 제안된 분류가 CCQ와 SOQ의 모든 차원들을 포착함

예: 도전은 도전으로, 자유는 자율성으로 분류 될 수 있음


연구의 한계

본 연구는 분류법을 제안한 것이기 때문에 이에 관한 실증 연구가 필요

미래 연구에서 제안된 구조의 요인들에 관해서 분석하는 것이 필요

실천적 함의

현장에 있는 관리자에게 어떻게 풍토가 조직 혁신에 영향을 주는가에 관해서 명확한 보다 그림을 제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분류가 선행 연구들에서 제안된 분류보다 포괄적이라는 점에서 본 연구에서 제안된 분류들을 사용하여 조직 풍토를 측정하는 것은 유용

연구의 가치

본 연구에서 풍토를 창의적 직무 환경의 촉진 요소로서 제안한 개념이 조작적이고 조작적인 어려움을 해결해 준다는 점에서 가치 있음

현존하는 많은 창의적 풍토에 관한 분류들을 통합하여 분류함

키워드

풍토, 혁신, 창의성, 분류법 개발, 직무 환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