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론 목차]
Ⅰ. 2012년 세계의 모습
- 세계 정치경제질서의 변화
- 중기 세계경제 전망과 3대 리스크
- 2012년 세계 시나리오
- 기회 및 위협 요인 분석
Ⅱ. 선진국 및 경쟁국의 국가전략
- 개요
- 선진국의 국가전략
1) 미국: 유일 강대국로서의 입지를 고수
2) EU: 리스본 전략
3) 독일: ‘Agenda 2010’
4) 일본: 활력이 넘치는 국가․사회 실현
- BRICs의 국가전략
1) 중국: 샤오캉(小康) 사회 및 조화(和諧) 사회 건설
2) 러시아: ‘강력한 국가로의 복귀’
3) 브라질: ‘新사회계약’과 개방 경제
4) 인도: ‘India Vision 2020′
- 강소국 및 경쟁국의 국가전략
1) 핀란드: ‘핀란드 2015’
2) 이스라엘: 21세기를 위한 마스터플랜
3) 싱가포르: ‘역동적인 글로벌시티(Dynamic Global City)’ 건설
4) 대만: ‘挑戰 2008: 국가발전중점계획(2002~2007)’
5) UAE(United Arab Emirates): 脫 석유산업 전략
- 시사점
Ⅲ. 한국의 현 위치
- 한국 경쟁력의 현주소
1) 경제력
2) 삶의 질
3) 시스템경쟁력
4) 평가 결과
- 향후 10년의 중요성
1) 3가지 도전과제(Challenges) : 중국, 고령화, 통일비용
2) 마지막 기회의 창(Last Window of Opportunity)
3) 3가지 시나리오
Ⅳ. 2012년 한국의 비전
- 한국사회의 시대정신
1) 시대정신의 변천
2) ’08체제의 시대정신
- 국가 비전 및 전략 방향
- 정책운영 원칙
1) 원칙의 의의
2) 정책영역별 원칙
- 30대 추진 과제
별첨. 경제정책 운영 원칙